• 제목/요약/키워드: LTE-M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51초

실제 지형과 기지국 배치를 고려한 UTM 통신을 위한 LTE 통신망 3차원 커버리지 분석 (3D Coverage Analysis of LTE Network for UTM Services Considering Actual Terrain and Base Station Layouts)

  • 장민석;김대호;김희욱;정영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91-98
    • /
    • 2022
  • 150m 이하의 저고도 영역에서 LTE (long-term evolution), 5G 등 상용 통신망을 이용한 드론 등 무인기 안전 운항을 위한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 (UTM: unmanned aircraft system traffic management) 서비스가 여러 국가에서 연구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지형환경과 실제 이동통신 기지국 배치 상황에서 지상 사용자를 위한 LTE 셀룰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UTM 서비스를 위한 3차원 커버리지 확보가 가능한지 여부를 모의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가시선 (LOS: line of sight) 간섭 기지국 수가 증가하여 신호대 간섭 잡음 전력비 (SINR: 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가 나빠지나, 150m 이내 고도에서 일부 영역을 제외하고는 커버리지 확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음영지역에 대해서는 해당 영역 커버리지 보완을 위한 적은 수의 추가 기지국 배치로 음영지역 감소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재난안전통신망의 현황과 미래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of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 홍성화;이성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15-120
    • /
    • 2020
  • 차세대 재난망 기술로서 언급되고 있는 PS-LTE는 LTE 기술을 근간으로 공공안전 통신에 필요한 단말 간 통신, 그룹통신 등을 지원하는 통신기술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구축계획을 수립하여 PS-LTE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도 PS-LTE를 활용한 재난망 시스템 구축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자만 접속할 수 있는 폐쇄망의 특성상 기존 상용망과 별도 구축이 필요하며 많은 기간과 비용의 소요가 예상된다. 효율적으로 재난안전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무조건적인 신규 구축보다는 기존 LTE망에 보안 및 접속우선권 등의 문제를 보완하여 신규 구축하는 PS-LTE망의 연동을 고려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사전 검토가 매우 필요하다.

mVoIP 기술동향 및 시장분석을 통한 산업 활성화 방안 (Industry Activation Scheme through mVoIP Technology Trends and Market Analysis)

  • 박세환;박종규;김정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77-482
    • /
    • 2012
  • mVoIP 서비스는 WiFi, WiBro 및 3G 이동통신망 등을 통해 고속 이동 중에 100Mbps급의 전송률을 갖는 IP 네트워크로서 무선 데이터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된 기술이다. 2010년부터 급속히 대중화되기 시작한 스마트폰과 2011. 7월부터 본격 개시된 4G-LTE 서비스로 인해 mVoIP(mobile VoIP) 서비스가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칩셋/모듈/단말 등의 기술개발 동향과 아울러 시장수요 분석을 통한 국내외 시장동향 조사 등을 토대로 mVoIP 서비스 산업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mVoIP 서비스는 모바일기기에 App을 다운로드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혹은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개발 측면에서 커다란 변화는 없는 편이다. 4G-LTE의 경우 당연한 부가서비스로 제공될 것으로 예상되는바 시장원리 및 수요니즈에 입각한 서비스 전개가 필요하다.

AIS 및 LTE-Maritime 데이터를 활용한 항적 예측 오차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Vessel Trajectory Prediction Error based on AIS and LTE-Maritime Data)

  • 민지홍;이승주;조득재;백종화;박현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76-584
    • /
    • 2022
  • 기존 해상 교통안전을 위한 기반 정보는 AIS 시스템을 사용하여 왔으나, IMO의 e-Navigation 도입이 제기된 이후 LTE 통신을 활용한 초고속 해상무선통신시스템(LTE-Maritime, LTE-M)이 세계 최초로 대한민국에 구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AIS와 LTE-Maritime을 사용하여 수집된 항적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고, 두 가지 종류의 항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상 안전사고 예방에 활용될 수 있는 항적 예측을 수행하였다. AIS 대비 LTE-Maritime의 데이터 수집 간격이 조밀하고 균일하여 항적 예측 오차가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LTE-Maritime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 송·수신 시간 간격은 AIS 대비 항적 예측 오차에 대한 영향이 약 17% 적은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AIS와 LTE-Maritime의 항적 데이터와 그 활용을 정량적으로 비교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LTE-Advanced 표준을 지원하는 $0.13-{\mu}m$ CMOS RF Front-End 송신기 설계 (A $0.13-{\mu}m$ CMOS RF Front-End Transmitter for LTE-Advanced Systems)

  • 김종명;이경욱;박민경;최윤호;정재호;김창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02-40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LTE-Advanced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0.13-{\mu}m$ CMOS RF Front-end 송신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RF Front-end 송신기는 3GPP의 E-UTRA Band 7 주파수인 2500 ~ 2570 MHz 대역을 지원하며 +10 dBm의 출력 P1dB 특성을 가지고, 실제 동작에서는 +0 dBm 출력 전력을 제공한다. 회로의 성능은 레이아웃 후 Post Layout Simulation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0 dBm 출력 시 1.2 V의 공급 전압원으로부터 상향주파수변환기는 14 mA, 그리고 구동증폭기는 28 mA를 소모한다.

  • PDF

생강나무 잎 및 가지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eaf and Twig Extracts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 홍주헌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73-580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leaf and twig (LLW: water extract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leaf, LLE: 50% ethanol extract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leaf, LTW: water extract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twig, LTE: 50% ethanol extract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twig).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LTE were 445.38 mg/g and 302.09 mg/g, respectively.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95.38%) of LT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LE (93.76%), LTW (88.09%), and LLW (82.06%).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f extracts were improved with 50% ethanol condition, rather than hot water.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activity of the extracts were improved with an increase of treatment concentration. All the extracts($1,000{\mu}g/mL$) stimulated a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in macrophage RAW264.7 cells. In particular, the NO stimulating activity of LTE was superior to that of LLE, LTW, and LLW. The antitumor activity of LTE ($500{\mu}g/mL$) in A549, HeLa and SNU719 was 55.63%, 83.87% and 68.11%, respectively. The UVB-induced MMP-1 production in HS68 cells was suppressed by the treatment of LTE (88.28%), LLE (83.96%), LTW (80.59%) and LLW (76.08%).

M-PSK 성운을 이용한 새로운 이중계층 차분 동 이득 전송 기술 (A Novel Dual-Layer Differential Equal Gain Transmission Technique Using M-PSK Constellations)

  • 김영주;서창원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6권7호
    • /
    • pp.627-635
    • /
    • 2015
  • LTE-Advanced(LTE-A), IEEE802.11ac, 그리고 다중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레이더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중계층 차분 동이득 코드북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 성능을 분석한다. 코드북의 코드워드 인자로 M진 위상 편이를 사용하여 단말기에서는 저비용의 전력 증폭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고출력의 송신 전력을 사용하는 레이더 시스템에서 동이득 전송의 기본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차분 코드북은 무선 채널의 시간 상관 특성에 의해 선부호화 행렬 내 양자화된 채널 정보도 천천히 변화하도록 코드북을 설계한다. 이는 시간 상관 특성에 따른 채널 공간 내 일부분 만을 양자화하여 피드백하기 때문에 기존과 동일한 크기의 코드북을 구성해도 가상적으로 보다 정확한 채널정보를 양자화할 수 있어 채널 용량이 증가하는 효과를 갖는다. 제안하는 이중계층 코드북은 LTE 코드북 설계 요구조건을 유지하며, 동이득 전송이 필수인 레이더 시스템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8진 동이득 코드북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인다.

SDN 기반 LTE/EPC 네트워크에서 하이브리드 중앙-분산 이동성 관리 기법 (A Hybrid Centralized-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Scheme in SDN-Based LTE/EPC Networks)

  • 임현교;김경한;김용환;한연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26-429
    • /
    • 2015
  • 최근 급격히 증가한 모바일 기기로 인하여 발생되는 데이터/제어 트래픽은 LTE/EPC 네트워크에서 중앙에 과다한 트래픽 수용문제가 중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기존의 Centralized Mobility Management(CMM) 기반의 LTE/EPC 네트워크에서 Mobility Anchor 역할을 수행하는 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에서는 데이터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다. 또한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DMM) 기반의 LTE/EPC 네트워크에서 분산된 Mobility Anchor 역할을 수행하는 PDN Edge Gateway (P-EGW)에서는 제어 트래픽의 과부하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CMM 기반과 DMM 기반을 결합한 새로운 Software Defined Network (SDN) 기반의 LTE/EPC 네트워크 이동성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P-EGW를 네트워크 내에 분산 배치하고 중앙에 P-GW를 배치한다. SDN 컨트롤러는 EPC의 역할도 수행하며 UE의 이동성에 따라 적절한 CMM 기법과 DMM 기법을 이용하도록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하는 새로운 LTE/EPC 네트워크 구조와 기존의 CMM기반의 LTE/EPC 네트워크 구조, DMM 기반의 LTE/EPC 네트워크 구조를 핸드오버 지연시간과 데이터 전송시간 측면에서 성능 비교 분석을 한다.

3GPP LTE-A 시스템 기반 사용자 특성에 따른 효율적 Random Access 과부하 제어 기술 및 M2M 그룹화 (Efficient Congestion Control Technique of Random Access and Grouping for M2M according to User Type on 3GPP LTE-A s)

  • 김정현;지순배;유철우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3호
    • /
    • pp.48-55
    • /
    • 2015
  • 본 논문은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 Long Term Evolution-Advanced(LTE-A) 시스템을 기반으로 소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M2M 기기가 무수히 존재하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고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을 제시한다. 특별히, 무수히 존재하는 M2M 기기들로 인한 랜덤 액세스 채널의 부족과 이로 인한 지연(latency)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2M 그룹화 기술에 사용자 특성별로 구별하여 허용 가능한 액세스 시도 확률을 차별적으로 제어한다. M2M 기기들을 그룹화 하여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의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를 시도하는 단말 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획득함과 동시에 셀룰러(Cellular) 통신을 하는 단말기와의 충돌을 줄임으로써, 기존 이동 통신 단말과 M2M 기기들이 공존하는 시스템의 랜덤 액세스 평균 지연(average latency) 증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증명한다.

Hybrid OFDMA/SC-FDMA를 이용한 LTE 수신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eiving Performance Improvement of LTE Using Hybrid OFDMA/SC-FDMA)

  • 박찬홍;장성원;박상주;한영환;성현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8-16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현재 3GPP에서 진행되고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표준, 즉 LTE 시스템의 하향 링크 전송방식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지국(BS)과 단말(MS) 사이에 릴레이(RS) 설치를 제안하고, BS의 위치와 설치된 RS의 거리를 각각 500m, 1000m로 하고 RS의 전송방식을 OFDMA와 SC-FDMA를 선택함으로써 수신성능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연구결과 RS의 위치가 BS와 가까울수록 RS에서는 SC-FDMA를 사용하는 것이 좋게 나왔고, 반대로 BS와 RS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RS에서는 OFDMA를 사용하는 것의 성능이 좋은 것으로 나왔다. 또한 BS와 MS 거리의 중심지역에서는 그 상황에 맞는 전송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