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S-DYNA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31초

항공기용 연료탱크 Phase I 충돌충격시험 충격하중 분석 (Analysis of Crash Load in Crash Impact Test for Fuel Tank of Rotorcraft)

  • 김현기;김성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736-3741
    • /
    • 2015
  • 연료탱크 충돌충격시험은 연료탱크의 내충격 성능을 검증하는 시험으로, 충돌충격시험을 통과한 연료탱크는 생존가능 충돌환경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아 승무원의 생존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충돌충격시험은 높은 충격하중 때문에 실패 위험성이 큰 시험이다. 만약, 충돌충격시험을 실패할 경우에는 설계보완 및 시편 재제작 등으로 재시험 준비 기간이 상당히 소요되어 항공기 개발일정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연료탱크 설계 초기에 충돌충격시험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실물시험에서의 실패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충돌모사 프로그램인 LS-DYNA에서 지원하는 입자법을 사용하여 Phase I 인증시험의 연료탱크 충돌충격시험 수치모사를 수행하였다. 수치해석 조건으로 미군사규격(MIL-DTL-27422)에서 요구하는 시험조건을 반영하였고, 실물 연료탱크 소재의 시편시험을 통해 확보한 물성 데이타를 수치 해석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로 연료탱크 소재와 중첩부위, 피팅 부위에 작용하는 충격하중을 분석함으로써, 연료탱크 설계시 접착강도와 중첩범위 결정을 위한 설계하중 획득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열차 충돌하중에 대한 콘크리트 일탈방호시설물(DCP)의 해석적 거동 검토 (Analytical Behavior of Concrete Derailment Containment Provision(DCP) according to Train Impact Loading)

  • 이나현;김지환;강윤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604-613
    • /
    • 2018
  • 전 세계적으로 철도의 노후화 및 고속화 등으로 인한 열차탈선사고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로인한 인적 물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철도교량의 경우에는 가드레일 또는 방호벽 등을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탈선열차차량(train body level)이 방호벽과 충돌함으로써 열차의 탈선운동을 억제하여 정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차량에 의한 탈선방호는 인명피해 위험성 및 2차 피해발생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주행레일 사이에 일탈방호시설물(DCP, Derailment Containment Provision)을 설치하여, 차륜 또는 차축(wheel/bogie level)에서 탈선열차를 방호할 수 있는 시설물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 철도교량의 일탈방호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DCP의 급속시공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으며, 방호벽에 작용하는 충돌하중과 급곡선부에서의 관성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일탈된 열차가 교량 밖으로의 전도 낙하방지 및 반대편 선로의 침입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LS-Dyna을 이용하여, 설계한 DCP의 열차 충돌위치 및 콘크리트 궤도 접합조건에 따른 거동에 대하여 해석적으로 변수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접합조건은 접합재료의 물성치에 따라 끊어짐을 모사하는 Tiebreak contact과 완전 부착되었다고 가정하는 Perfect bond contact으로 나눠 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DCP의 변위, 앵커 및 콘크리트의 응력, 변형률을 확인한 결과 Tiebreak contact이 실제 충돌하중에 대한 거동을 보다 유사하게 모사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충돌위치에 따른 변위는 접합구간에서 가장 큰 변형이 발생하였으며, DCP 블록의 중앙에 충돌이 가해질 경우, 충돌하중이 가해지는 DCP 배면에서 휨 파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충돌해석은 실제 충돌실험의 어려움에 의해 사전적으로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DCP 앵커 설계변경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MM-ALE 유한요소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수중 어뢰폭발에서의 최악파편의 종단속도 추정 (Estimation of the Terminal Velocity of the Worst-Case Fragment in an Underwater Torpedo Explosion Using an MM-ALE Finite Element Simulation)

  • 최병희;류창하
    • 화약ㆍ발파
    • /
    • 제37권3호
    • /
    • pp.13-24
    • /
    • 2019
  • 본 논문은 명시적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하여 군함이나 수상함 아래의 수중에서 어뢰가 폭발할 때의 파편들의 거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LS-DYNA에서 라그랑주-오일러 (ALE) 접근법이라 불리는 유체-구조물 상호작용(FSI) 기법을 적용하여 어뢰파편과 선체의 응답을 관찰하였다. 오일러 모델은 공기, 물, 폭약으로 구성되며, 라그랑주 모델은 파편과 선체로 이루어져 있다. 본 모델링의 핵심은 최악파편이 어뢰로부터 가까운 곳(4.5 m)에 위치한 선체에 파공을 일으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데 있다. 시뮬레이션은 별도의 두 단계로 수행되었다. 첫 번째의 예비해석에서는 팽창하는 어뢰의 외피가 찢어지는 데 폭약에너지의 30%가 소모된다는 가정 하에 수중폭발 시의 파편속도에 대해 잘 알려져 있는 실험결과를 토대로 최악파편의 초기속도를 결정하였다. 두 번째의 총괄해석에서는 최악파편이 선체에 부딪치기 직전에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파편의 종단속도를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주어진 조건 하에서 최악파편의 초기속도는 매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400 및 1000 m/s). 하지만 충돌이 발생할 때의 파편과 선체 간의 속도차이는 불과 4 m/s 정도로 매우 작았다. 이 결과는 물에 의한 큰 항력의 영향도 있지만 선체에 부여한 비파괴 조건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적어도 본 논문에서 가정한 해석조건 하에서는 최악파편의 느린 상대속도로 인하여 선체에 파공이 발생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회전익항공기용 연료탱크 충돌충격시험에 대한 수치해석 신뢰성 검증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Numerical Analysis for the Crash Impact Test of Rotorcraft Fuel Tank)

  • 김성찬;김현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918-923
    • /
    • 2018
  • 항공기용 연료탱크는 평상시에는 연료저장 등의 단순한 기능을 한다. 그러나, 항공기 추락과 같은 긴급 상황에서는 연료탱크 구조건전성은 승무원의 생존과 직결되므로, 관련 성능의 보유 여부를 충돌충격시험을 통해 입증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충돌충격시험은 높은 충격하중으로 실패 위험이 높기 때문에 설계 초기 실물시험에서의 시행착오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실제 시험 전에 수행하는 수치해석도 그러한 노력의 일환이다. 하지만, 수치해석 결과가 설계에 반영되기 위해서는 수치해석의 신뢰성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회전익항공기 연료탱크의 충돌충격시험 수치해석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수치해석 결과와 시험 데이타 간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은 충돌전용 소프트웨어인 LS-DYNA을 사용하였고, 해석방법은 유체-구조연성해석 방법 중 ALE(arbitary lagrangian eulerian) 방법을 적용하였다. 시험데이터 확보를 위해 연료탱크 금속 피팅부에 변형률게이지를 설치하고 데이터 획득장비와 연동시켰다. 수치해석 결과로써 연료탱크 피팅부의 변형률과 응력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실물 연료탱크로 수행한 충돌충격시험을 통하여 확보한 상부피팅의 변형률 측정값과 수치해석으로 계산된 변형률과의 오차를 평가함으로써 수치해석의 신뢰성을 제고하였다.

SPH-FEM 연계기법을 이용한 MDS 발파법의 기폭패턴별 암석파괴 효과 분석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Initiation Sequences of the MDS Blasting Method on Rock Fracturing Using SPH-FEM Coupling Technique)

  • 최병희;김영근;전기찬;오세욱
    • 화약ㆍ발파
    • /
    • 제41권3호
    • /
    • pp.13-25
    • /
    • 2023
  • 종래의 벤치발파 공법은 한 발파의 모든 발파공에 역기폭을 적용하지만 MDS (mixture detonation system) 발파공법에서는 각 발파공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 순서에 따라 정기폭과 역기폭을 교대로 적용한다. 공간적 순서에 따라 교대 적용하는 공법을 SMDS (spatial MDS), 시간적 순서에 따르는 공법을 TMDS (temporal MDS)라 부른다. 또 하나의 변종으로서 MMDS (modified MDS)가 있는데, 이 공법은 비산문제가 있는 현장을 위한 특수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암석파괴 효과의 측면에서 MDS 발파공법을 종래공법과 비교한다. 비교는 LS-DYNA 상에서 2열 벤치발파 모델에 대한 수치적 시뮬레이션으로 이루어진다. 수치모델에서는 SPH-FEM 연계기법을 적용한다. SPH 요소는 발파공 부근의 근거리 영역의 암석에 적용하고, FEM 요소는 그 바깥의 원거리 영역에 적용한다. 암석에 대한 재료모델은 RHT 모델을 사용한다. 실제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벤치고 3.0 m, 저항선 1.6 m의 경우에 SMDS 발파공법이 종래공법에 비해 최대 0.4 m 더 깊은 파괴영역을 보였다. 덧붙여, MMDS 발파공법의 경우, 여타 공법들에 비해 벤치면 전방으로의 암편의 비산속도가 약 2.0 m/s 더 낮게 나타났다.

Optimization of Composite Laminates Subjected to High Velocity Impact Using a Genetic Algorithm

  • Nguyen, Khanh-Hung;Ahn, Jeoung-Hee;Kweon, Jin-Hwe;Choi, Jin-Ho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1권3호
    • /
    • pp.227-233
    • /
    • 2010
  • In this study, a genetic algorithm was utilized to optimize the stacking sequence of a composite plate subjected to a high velocity impact. The aim is to minimize the maximum backplane displacement of the plate. In the finite element model, we idealized the impactor using solid elements and modeled the composite plate by shell elements to reduce the analysis time. Various tes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ameters in the genetic algorithm such as the type of variables, population size, number of discrete variables, and mutation probability.

선박과 해양 구조물의 충돌 해석 (Ship Collision Analysis with Offshore Structure)

  • 김종성;정현;고재용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9-176
    • /
    • 2004
  • Offshore structure crossing navigation waterways must not only be designed to resist gravity, wind, and earthquake load, but also be capable of resisting ship and barge collision load. Current specifications for offshore structure design provide empirical relationships for computing impact loads generated during barge collision, however, these relationships are based on the limited experimental data. In this paper, the dynamic finite element analysis is used to computing force for vessel collision scenarios to offshore structures. Results obtained from the ANSYS/LS-DYNA are compared to AASHTO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 PDF

Compressor Motor Core 타발 공정 해석 (Analysis for Compressor Motor Core Blanking process)

  • 최철주;조동협;정완진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1994년도 박판성형기술의 진보
    • /
    • pp.199-230
    • /
    • 1994
  • The blanking sequence of refrigerator and air-conditioner compressor-motor-core has been determined by trial and error. To improve such problem, 2d-analysis using ANSYS to verify the deformation state has been done firstly. And 3d-analysis following up the real process has been done. Additionally, verified the 3-d analysis result using S/W LS-DYNA.

한국형 고속틸팅차량 구동차 설계초안의 충돌압괴특성 분석 (Crush Analysis of Tilting Train Express M-Car Initial Design)

  • 정현승;구정서;권태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8-743
    • /
    • 2004
  • In this paper, the crush characteristic of the tilting train express M-car was estimated under a head-on collision scenario. The car body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 front, middle, and rear. For each part, crush-force relation was evaluated numerically using LS-DYNA 3-diementional shell element analysis. This result will be used for one-dimensional collision analysis of the full train rake.

  • PDF

자동차용 유리섬유강화 매트 수지(GMT) 범퍼의 충돌성능 평가 수치모사 (Impact Simulation of Automotive GMT Bumper)

  • 백승훈;문종근;정우식;김승조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37-140
    • /
    • 2003
  • Impact of Automotive GMT(Glassfiber reinforced Mat Thermoplastic) Bumper for '5Mhp Barrier Test'was simulated using ls-dyna. The FE model consists of foam which is energy absorber, bumper beam and stay etc. Bumper intrusion and deflection was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Effects of uncertainty of material property and deviation of impact velocity were considered and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base design. Effects of number of integration points through th thickness was also investig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