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RT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7초

통계적 비선형 차원축소기법에 기반한 잡음 환경에서의 음성구간검출 (Voice Activity Detection in Noisy Environment based on Statistical Nonlinear Dimension Reduction Techniques)

  • 한학용;이광석;고시영;허강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986-994
    • /
    • 2005
  • 본 논문은 잡음 환경하에서 적응 가능한 음성구간검출를 구축하기 위하여 우도기반의 음성 특징 파라미터의 비선형 차원축소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차원축소 방법은 음성/비음성 클래스에 대한 가우시아 확률 밀도 함수의 비선형적 우도값을 새로운 특징으로 취하는 방법이다. 음성구간검출기의 음성/비음성 결정은 우도비 검증(LRT)의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며, 선형판별분석(LDA)에 의한 차원축소 결과와 성능을 비교한다. 실험 결과 제안된 차원 축소 방법으로 음성 특징 파라미터를 2차원으로 축소한 결과가 원래 특징백터의 차원에서의 결과와 대등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페트리 네트를 이용한 경량전철시험선 선로의 모형화 (Modeling of Railway Networks for LRT Test Line Using Petri Nets)

  • 최권희;송중호;최규형;황현철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570-576
    • /
    • 2010
  • 본 논문에서 우리는 Petri Net을 사용하여 철도 선로를 모형화 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Petri Net는 병행적, 비동기, 분산, 병렬, 비결정론, 확률론 등의 특성을 가진 정보처리시스템을 기술하고 시스템의 동적거동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고안된 도식적, 수학적 모델링 도구이다. 검증 사례로서, 한국형 경량전철시험선 선로를 철도 시설물의 구성품(세그먼트, 궤도, 분기기, 승강장)으로 모델링하고, 대피선이 있는 단일 궤도에서 두 대의 열차가 동일한 방향에서 함께 진행하고 있거나 반대방향에서 동시에 진행을 하지만 충돌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면서 설정된 진로를 이동하는 Peri Net 모형을 구현하였다.

열차제어 측면의 철도신호안전설비 개발방향 연구 (Direction of research on Railroad Signal Safety Facilities from the viewpoint of Train Control)

  • 김유호;이훈구;이수환;편선호;이영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70-1278
    • /
    • 2008
  • A great deal of development has been made in the field of railroad control in Korea. Like the recent High speed railroad (KTX) and the intercity light rail train (LRT) are being vigorously promoted. Therefore, in concert with the new railroad development projects, improved train control technics are being applied. Along with the focus on these newly developed advanced technologies the need for a reliable safety system for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and railroad control personnel alike is being intensified. New safety facilities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in order to safely introduce and develop these new technologie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afety facilit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ly developed facilities as well as for the presently being used.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study the safe operation of Korean railroad and the implementation situation of the class, functionality, ensured safety range etc. of the safety facilities for users and operators. In studying the material of the kinds of implemented safety facilities and technologies being used abroad we have researched into the most suitabl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safety facilities for the Korean railroad environment.

  • PDF

Uncertainty analyses of spent nuclear fuel decay heat calculations using SCALE modules

  • Shama, Ahmed;Rochman, Dimitri;Pudollek, Susanne;Caruso, Stefano;Pautz, Andreas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9호
    • /
    • pp.2816-2829
    • /
    • 2021
  • Decay heat residuals of spent nuclear fuel (SNF), i.e., the differences between calculations and measurements, were obtained previously for various spent fuel assemblies (SFA) using the Polaris module of the SCALE code system. In this paper, we compare decay heat residuals to their uncertainties, focusing on four PWRs and four BWRs. Uncertainties in nuclear data and model inputs are propagated stochastically through calculations using the SCALE/Sampler super-sequence. Total uncertainties could not explain the residuals of two SFAs measured at GE-Morris. The combined z-scores for all SFAs measured at the Clab facility could explain the resulting deviations. Nuclear-data-related uncertainties contribute more in the high burnup SFAs. Design and operational uncertainties tend to contribute more to the total uncertainties. Assembly burnup is a relevant variable as it correlates significantly with the SNF decay heat. Additionally, burnup uncertainty is a major contributor to decay heat uncertainty, and assumptions relating to these uncertainties are crucial. Propagation of nuclear data and design and operational uncertainties shows that the analyzed assemblies respond similarly with high correlation. The calculated decay heats are highly correlated in the PWRs and BWRs, whereas lower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decay heats of SFAs that differ in their burnups.

무인 경량전철 가용도 산정 및 검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Availability of the Unmanned Light Railway)

  • 권상돈;송보영;이희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8-114
    • /
    • 2019
  • Unattended Train operation(UTO) requires higher safety target than other systems, since all train operations are automatic. The system provider to deliver without accident or failure, and the operator to transport passengers without accident by putting all trains supplied, including them, into service. Safety rates without such failures can be represented as indicators of RAMS, among which availability is continuously controllable to achieve the target, with a clear target. Availability is often required by the licensee from the initial stage of the project to demonstrate that the request for proposal (RFP) is usually specified and to maintain separate availability targets at the operational stage. In particular, unlike unmanned operation light rail in complex systems, simple formulas are often presented to facilitate verification at each stage. This paper presents this method of usability calculation in an integrated manner at all levels and analyzes the existing usability values to ensure reliability of the availability formula for integrated use in unmanned light rail systems.

통계적 모델 기반의 음성 검출기를 위한 변별적 가중치 학습 (Discriminative Weight Training for a Statistical Model-Based Voice Activity Detection)

  • 강상익;조규행;박승섭;장준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194-19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음성의 통계적 모델에 기반한 음성검출기의 성능향상을 위해 변별적 가중치 학습(discriminative weight training) 기반의 최적화된 우도비 테스트(Likelihood Ratio Test, LRT)를 제안한다. 먼저, 기존의 통계모델기반의 음성검출기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MCE(minimum classification error)방법을 도입하여, 각 주파수 채널별로 다른 가중치를 가지는 우도비 기반의 음성검출 결정법(decision rule)을 제시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비정상(non-stationary)잡음환경에서 기존의 동일 가중치를 가지는 기하 평균 기반의 음성검출기와 비교하였으며,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적응형 문턱값을 가지는 2차 조건 사후 최대 확률을 이용한 통계적 모델 기반의 음성 검출기 (Statistical Model-Based Voice Activity Detection Using the Second-Order Conditional Maximum a Posteriori Criterion with Adapted Threshold)

  • 김상균;장준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6-8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음성의 통계적 모델에 기반한 음성 검출기 (voice activity detection, VAD)의 성능 향상을 위해 2차 조건 사후 최대 확률 (second-order conditional maximum a posteriori, second-order CMAP)기법을 적용한 우도비 테스트 (likelihood ratio test, LRT)를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통계적 모델에 기반한 음성 검출기와 CMAP 기반의 음성 검출기를 분석한 다음, 직전 2 프레임에서 음성의 존재와 부재에 대한 조건부 확률에 따라 실시간으로 적응형 문턱값을 구하여 기하 평균한 우도비와 비교하는 음성검출 결정법 (decision rule)을 제시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비정상 (non-stationary) 잡음환경에서 기존의 통계적 모델에 기반한 음성 검출기, CMAP 기반의 음성 검출기와 비교하였으며,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경량전철 추진용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고정자 철손 저감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the Stator iron loss on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for Light Railway Transit Propulsion System)

  • 박찬배;이형우;이병송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376-380
    • /
    • 2012
  • IPMSM의 구동 중에 발생되는 철손은 코어 재료 특성에 의해 크게 좌우되며, 일반적으로 회전형 전동기에서는 모든 자속의 흐름 방향으로 자기적 특성이 동일한 무방향성 전기강판이 코어 재료로 사용된다. 무방향성 전기강판과 비교하여 방향성 전기강판은 자속의 흐름 방향으로의 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PMSM의 철손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코어 재료로써 무방향성 전기강판과 방향성 전기강판을 동시에 사용하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IPMSM의 고정자에 자속 흐름의 방향으로 가공된 방향성 전기강판을 이용한 분할 티스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110kW급 IPMSM과 비교하여 거의 40% 정도의 철손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 Long Term Trends of Tropospheric Ozone in Major Regions in Korea

  • Shin, Hye Jung;Park, Ji Hoon;Park, Jong Sung;Song, In Ho;Park, Seung Myung;Roh, Soon A;Son, Jung Seok;Hong, You Deog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1권4호
    • /
    • pp.235-253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nalyzing the contribution factors on ozone concentrations and its long term trends in each major city and province in Korea through several statistical methods such as simple linear regression, generalized linear model, KZ-filer, correlation matrix, Kringing method, and cluster analysis. The overall ozone levels in South Korea have been consistently increasing over the past 10 years. The ozone concentrations in Seoul, the biggest city in Korea, are the lowest in all areas with the highest increasing ratio for $95^{th}%$ ozone. It is thought that the active photochemical reaction could affect the higher ozone concentration increase. On the other hand, the ozone concentrations in Jeju are the highest in Korea with the highest increasing ratio for $5^{th}%$, $33^{th}%$, and $50^{th}%$ ozone. It is also thought that the weak $NO_x$ titration could be the reason of higher ozone concentrations in Jeju. In case of Jeju, transport related factors is the major factor affecting the ozone trend. Thus, it is assumed that the variation of ozone trend of Asian region affecting the ozone trend in Jeju, where domestic ozone photochemical reaction is less active than urban area. It is thought that the photochemical reaction plays the role of increasing of ozone concentrations in the urban area, even though the LRT affected on the increase of ozone concentrations in non-urban area.

바이모달 트램 도입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BRT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Analysis of the effect of introducing Bimodal Tram - Comparing with BRT -)

  • 장준석;이준;엄진기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9-744
    • /
    • 2010
  • 최근 교통정책이 '녹색교통', '저탄소 녹색성장', '지속가능 발전'이라는 주제로 혼잡감소 및 환경오염감소에 초점이 맞춰짐에 됨에 따라 철도를 포함한 친환경적인 신교통수단의 도입이 중요한 이슈로 거론되고 있다. 현재 신교통수단은 BRT시스템, 바이모달 트램, 경전철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본 논문에서는 바이모달 트램을 중심으로 BRT시스템과 비교 및 분석하여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바이모달트램의 경우, 하이브리드 타입의 추진장치로 인해 타 신교통수단보다 매연과 소음, 진동이 작아 미래지향적이고 친환경적이며 공사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할 뿐 만 아니라 철도의 정시성과 버스의 접근성을 갖춘 시스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도로로부터의 수단전환 교통량, 통행속도, CO2 배출량을 지표로 선정하여 타 신교통수단(BRT시스템)에 비해 바이모달 트램의 도입 적절성이 가장 높음을 제시하고자 하며, 향후 국내 도시의 다양한 기능적 측면에 부응할 수 있는 도입전략에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