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PS(Lipopolysaccharide)

Search Result 1,94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Sulfolaphane이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유도된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lforaphane on LPS-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Expression)

  • 이정태;우경진;권택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75-280
    • /
    • 2010
  • Sulforaphane은 십자가화 채소에 존재하는 화합물로 항염증, 항암 및 신생혈관 생성의 억제 효과가 알려짐으로써 최근 많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LPS에 의한 MMP-9 활성 조절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sulforaphane이 LPS 유도에 의한 MMP-9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해 보았다. Raw 264.7 세포에 sulforaphane을 전처리 한 후 LPS를 처리하여 gelatin zymography를 실시해 본 결과, LPS에 의해 유도된 MMP-9 활성 증가가 sulforaphane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확인 하였다. 또한 RT-PCR과 MMP-9의 luciferase assay를 통한 실험에서 sulforaphane의 MMP-9 억제효과가 전사단계에서 조절됨을 추측 할 수 있었다. MMP-9 promoter 부위에 여러 가지의 전사조절인자 결합부위가 존재한다. 특히 AP-1과 NF-${\kappa}B$가 중요 전사조절인자로 작용하여 MMP-9 발현조절에 관여한다. 본 실험에서 sulforaphane에 의한 MMP-9 억제효과 기전에 이들 전사조절인자들의 중요한 역할을 조사하였다. AP-1과 NF-${\kappa}B$ 결합부위를 변형 시킨 vector를 transfection하여 MMP-9의 promoter 활성을 측정한 결과, 정상 vector에 비해 그 활성도가 현저히 떨어짐을 확인하였고, LPS에 의해 증가되는 AP-1과 NF-${\kappa}B$의 basal promoter 활성 또한 sulforaphane에 의해 감소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sulforaphane의 MMP-9 활성억제효과는 AP-1과 NF-${\kappa}B$와 같은 전사인자들이 MMP-9의 전사를 조절함으로써 일어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sulforaphane은 세포의 invasion능력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을 관찰 할 수 있었는데 이는 MMP-9 활성억제효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추측 할 수 있었다.

LPS 자극 RAW 264.7 세포에 있어서 칼슘의존성 ROS와 NO 생산 및 NF-${\kappa}B$ 활성에 대한 CLA의 억제효과 (Effect of trans-10, 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 on Calcium-Dependent Reactive Oxygen Speci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and Nuclear Factor-${\kappa}B$ Activation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 최태원;강병택;강지훈;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5-140
    • /
    • 2015
  • 염증상태에서의 CLA의 효과와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LPS로 자극한 RAW 264.7 세포에 있어서 ROS와 NO생산 및 NF-${\kappa}B$ 활성에 대한 t10c12-CLA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과가 세포질 내 칼슘이온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LPS 자극으로 ROS 생산은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는 칼슘결합제인 BAPTA/AM에 의해 감소하였다. t10c12-CLA 또한 LPS 자극 RAW 264.7 세포의 ROS 생산 증가를 억제시켰으며 BAPTA/AM과 함께 처리시 더욱 억제되었다. NO의 생산과 NF-${\kappa}B$ p65 활성도 t10c12-CLA, BAPTA/AM, t10c12-CLA와 BAPTA/AM의 동시처리 모두에서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염증 조건에서 CLA는 과도한 ROS와 NO의 생산 및 NF-${\kappa}B$의 활성을 칼슘 의존적으로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마황이 LPS투여 흰쥐의 면역조절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phedrae Herba on Immunomodulatory Activity in Lipopolysaccharide-Exposed Rats and Raw 264.7 Cells)

  • 이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31-437
    • /
    • 2009
  • in vivo 및 in vitro에서 마황의 항염증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마황추출물을 급여한 흰쥐에게 LPS shock로 급성기 염증반응을 유발시킨 후, 혈액 및 간장의 전염증성 cytokines들의 농도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였으며, 한편으로는 Raw 264.7 cell에 LPS shock를 가한 후, 마황추출물이 각종 전염증성 cytokines들의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in vivo 실험에서, 각 처리군 별 plasma IL-$1{\beta}$, IL-6, TNF-$\alpha$ 및 IL-10 농도의 경시적 변동은 전 처리군 모두가 LPS 처리 후, 2h째 급격하게 증가하여, 5h째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Plasma IL-$1{\beta}$, IL-6 및 TNF-$\alpha$의 농도는 LPS처리 후 5h째에서 마황 첨가군 모두가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Plasma IL-10의 농도는 LPS처리 후, 2h째 및 5h째 모두 에서 마황추출물 첨가군 들이 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Raw 264.7 macrophages를 이용한 in vitro 실험에서, IL-$1{\beta}$, IL-6 및 TNF-$\alpha$의 농도들은 대조군보다 마황처리 군들 모두가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IL-10의 농도는 대조군보다 마황처리군들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마황에 내재하는 기능성 물질들이 염증반응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젖소에 있어서 Lipopolysaccharide의 처리가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ra-Uterine Lipopolysaccharides Injection on Immunological Response of Uterus in Lactating Holsteins)

  • 백광수;박수봉;박성재;이왕식;김현섭;정경용;기광석;전병순;안병석;이현준;;김태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0권3호
    • /
    • pp.201-206
    • /
    • 2006
  •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Lipopolysaccharide의 처리가 착유우의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처리구 5두 및 대조구 3두를 공시하여 LPS 처리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PMNL의 비율, PMNL의 생존율 및 탐식 PMNL의 비율 등을 분석하였다. PMNL의 비율에 있어서, 처리전(0시간째)에는 대조구 및 처리구가 각각 41.0% 및 47.2%였으나 24시간째에는 41.7% 및 72.1%, 48시간째에는 41.0% 및 81.6%, 72시간째에는 44.3% 및 79.0%로 24시간째, 48시간째 및 72시간째에 공히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p<0.01)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구와 처리구의 PMNL의 생존율은 처리시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탐식 PMNL의 비율에 있어서, 처리전(0시간째) 및 처리 후 24시간째에는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48시간째에는 각각 1.1% 및 7.7%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다가 72시간째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Lipopolysaccharide 항원에 노출된 발생초기의 림프절내 B 및 T 림프구의 면역학적 변화 (Immunological Change of the Lymph Node and Lymph Follicles, Stimulated LPS in the Popliteal Lymph Node of the Early Postnatal Mice)

  • 안금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775-782
    • /
    • 2011
  • 가슴샘 비의존성 항원이며 B 림프구의 분열원로 알려져 있는 lipopolysaccharide(LPS)를 발육초기의 C57BL/6계 생쥐에 투여한 후 림프조직의 성숙과정에 따른 면역반응의 양상을 발생학적인 측면에서 형태학적으로 규명하고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1. 생후 0일과 3일에 LPS를 주사한 군에서는 주사 후 시간경과에 따라서 림프소절의 총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되지 않았다. 2. 생후 5일과 7일에 LPS를 주사한 후 2-4주가 경과되었을 때 림프소절의 총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3. 생후 0일에서부터 1주 사이에 LPS를 주사한 후 1-4주가 경과된 실험군에서는 모든 림프절과 심층피질의 면적이 대조군에 비하여 약 1.5-3배정도 커졌다. 4. 생후 3일, 5일 및 1주에 LPS를 주사한 후 2-4주가 경과된 실험군에서는 면적이 0.1 mm2 이상인 림프소절들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5. 생후 5일과 1주에 LPS를 주사한 후 2-4주가 경과된 실험군에서는 면적이 0.01 mm2 미만인 림프소절들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미루어 볼 때 LPS의 자극에 의한 새로운 림프소절의 형성능력은 생후 5일-1주에 이루어지며, 또한 새로 생성되는 림프소절들은 면적이 0.01 mm2 미만인 작은 림프소절들일 것으로 예측된다.

Prolonged Exposure to Lipopolysaccharide Induces NLRP3-Independent Maturation and Secretion of Interleukin (IL)-1β in Macrophages

  • Hong, Sujeong;Yu, Je-Wo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115-121
    • /
    • 2018
  • Upon sensing of microbial infections or endogenous danger signals in macrophages, inflammasome signaling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riggering inflammatory responses via producing interleukin (IL)-$1{\beta}$. Recent studies revealed that active caspase-1, a product of the inflammasome complex, causes maturation of inactive pro-IL-$1{\beta}$ into the active form.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 by which this leaderless cytokine is secreted into the extracellular space remains to be elucidated.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prolonged lipopolysaccharide (LPS) treatment to macrophages could trigger the unexpected maturation and extracellular release of IL-$1{\beta}$ through a nucleotide-binding oligomerization domain-like receptor family, pyrin domain-containing 3 (NLRP3)-independent manner. Short-term treatment (less than 6 h) of LPS induced robust production of the IL-$1{\beta}$ precursor form inside cells but did not promote the maturation and secretion of IL-$1{\beta}$ in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or peritoneal macrophages. Instead, prolonged LPS treatment (more than 12 h) led to a significant release of matured IL-$1{\beta}$ with no robust indication of caspase-1 activation. Intriguingly, this LPS-triggered secretion of IL-$1{\beta}$ was also observed in NLRP3-deficient macrophages. In addition, this unexpected IL-$1{\beta}$ release was only partially impaired by a caspase-1 and NLRP3 inflammasome inhibitor. Collectively, our results propose that prolonged exposure to LPS is able to drive the maturation and secretion of IL-$1{\beta}$ in an NLRP3 inflammasome-independent manner.

The Effect of Escherichia coli Lipopolysaccharide on the Hormones in Rabbits

  • Park, Seok-Cheol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9-203
    • /
    • 2000
  • 대장균의 지다당류가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토끼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지다당류 투여 그룹의 콜티졸, 에피네프린, 노어에피네프린 농도는 전체 측정시기에 걸쳐(3시간에서 72시간)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혹은 p<0.01) 이 호르몬들 각각의 최고치는 24시간, 3시간, 12시간대였다. 인슐린 및 글루카곤 농도는 지다당류투여후 12시간까지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p<0.05 혹은 p<0.01) 그 최고치는 각각 12시간과 6시간대였으며, 이후 24시간에서 72시간까지는 대조치보다 약간 낮았다. 콜티졸 농도의 변화는 용량의존적이었으나 나머지 호르몬의 변화양상은 불규칙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대장균지다당류가 콜티졸, 에피네프린, 노어에피네프린과 같은 스트레스성 호르몬의 분비와 내분비계의 혼란을 유도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지다당류로 인한 호르몬계의 혼란은 생리학적으로 치명적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 PDF

Effects of Chromium Supplementation and Lipopolysaccharide Injection on the Immune Responses of Weanling Pigs

  • Lee, D.N.;Shen, T.F.;Yen, H.T.;Weng, C.F.;Chen, B.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0호
    • /
    • pp.1414-1421
    • /
    • 2000
  • Sixteen specific pathogen free 4-wk-old crossbred weanling pigs were allotted into a $2{\times}2$ factorial experiment to evaluate the effects of chromium (Cr) on the immune responses after lipopolysaccharide (LPS) injection. Two factors included (1) no Cr or 400 ppb Cr supplementation from chromium picolinate (CrPic) and (2) LPS injection ($200{\mu}g/kg$ BW, intraperitoneally) on day 21 (d 21) and 35 (d 35) as compared with saline application. Plasma samples were obtained from all piglets before (0 h) and at 2 h, 4 h, 8 h, and 24 h after LPS injection. The changes in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leukocyte populations after LPS injection were not significant on d 21. On d 35, the plasma $TNF-{\alpha}$ level was increased at h 2 postinjection, and supplemental Cr reduced the $TNF-{\alpha}$ level. The leukocyte populations had changed profoundly and lymphocyte subsets of $CD2^+$ and $CD8^+$ were reduced at 8 h postinjection. The blood granulocytes were increased and the percentage of $CD2^+$ was reduced in the Cr-fed group on d 35. Furthermore, Cr supplementation decreased the blastogensis of concanavalin A-stimulated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on d 21. These results suggest that 400 ppb Cr supplementation from CrPic in diets may modulate the immune responses in weanling pigs during LPS injection.

Phosphorylation of Akt Mediates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1-p-Coumaroyl ${\beta}$-D-Glucoside Against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ion in RAW264.7 Cells

  • Vo, Van Anh;Lee, Jae-Won;Kim, Ji-Young;Park, Jun-Ho;Lee, Hee Jae;Kim, Sung-Soo;Kwon, Yong-Soo;Chun, Wanj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8권1호
    • /
    • pp.79-86
    • /
    • 2014
  • Hydroxycinnamic acids have been reported to possess numerous pharmac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tumor properties. However, the biological activity of 1-p-coumaroyl ${\beta}$-D-glucoside (CG), a glucose ester derivative of p-coumaric acid, has not been clearly examin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anti-inflammatory action of CG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 cells. In the present study, CG significantly suppressed LPS-induced excessiv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itric oxide (NO) and $PGE_2$ and the protein expression of iNOS and COX-2. CG also inhibited LPS-induced secre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L-$1{\beta}$ and TNF-${\alpha}$. In addition, CG significantly suppressed LPS-induced degradation of $I{\kappa}B$. To elucidate the underlying mechanism by which CG exerts its anti-inflammatory action, involvement of various signaling pathways were examined. CG exhibited significantly increased Akt phosphoryl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lthough MAPKs such as Erk, JNK, and p38 appeared not to be involved. Furthermore, inhibition of Akt/PI3K signaling pathway with wortmannin significantly, albeit not completely, abolished CG-induced Akt phosphorylation and anti-inflammatory actions. Taken together,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Akt signaling pathway might play a major role in CG-mediated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 cells.

Quercetin-3-O-β-D-Glucuronide Suppresses Lipopolysaccharide-Induced JNK and ERK Phosphorylation in LPS-Challenged RAW264.7 Cells

  • Park, Jin-Young;Lim, Man-Sup;Kim, Song-In;Lee, Hee Jae;Kim, Sung-Soo;Kwon, Yong-Soo;Chun, Wanjo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4권6호
    • /
    • pp.610-615
    • /
    • 2016
  • Quercetin, a flavonol, has been reported to exhibit a wide range of biological properties including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However,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quercetin-3-O-${\beta}$-D-glucuronide (QG), a glycoside derivative of quercetin, have not been extensively examin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anti-inflammatory property and underlying mechanism of QG in lipopolysaccharide (LPS)-challenged RAW264.7 macrophage cells in comparison with quercetin. QG significantly suppressed LPS-induced extracellular secre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itric oxide (NO) and $PGE_2$, and pro-inflammatory protein expressions of iNOS and COX-2. To elucidate the underlying mechanism of the anti-inflammatory property of QG, involvement of MAPK signaling pathways was examined. QG significantly attenuated LPS-induced activation of JNK and ERK in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with a negligible effect on p38.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QG exerts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ugh the suppression of JNK and ERK signaling pathways in LPS-challenged RAW264.7 macrophage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