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PS$NF-{\kappa}B$

검색결과 593건 처리시간 0.027초

The Effect of Extract from Sea Buckthorn on DNCB-induced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 Park, Sang-Yong;Shin, Heon-Sub;Yang, Jung-Eun;Han, Sang-No;Kim, Dae-Sung;Kim, Myong-Jo;Heo, Seong-Il;Yi, Tae-Hoo;Lee, Jung-Mi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82-692
    • /
    • 2012
  •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cough, indigestion, circulatory problems and pain. The associated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is agent is achieved via the inhibition of Nf-${\kappa}B$ signaling, a property that has been demonstrated to effectively control the symptoms of various skin disorders, including atopic dermatiti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icacy of Sea Buckthorn in reducing the production of lipopolysaccharide (LPS) activated nitric oxide (NO) by inhibiting the Nf-${\kappa}B$ pathway, as measured by the symptoms of atopic dermatitis (AD) occurring secondarily to inflammation and immune dysregulation. Our data demonstrate that Sea Buckthor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PS-induced production of NO (p<0.001). Atopic dermatitis was induced by repeated application of 2,4-dinitrochlorobenzene to the dorsal skin of mice. Topical application of 5% Sea Buckthorn extract improved the symptoms of AD, specifically reducing disease severity scores, scratching behaviors and epidermal thicknes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imals treated with Sea Buckthorn exhibited increased serum IL-12 levels and decreased serum TNF-${\alpha}$, IL-4 and IL-5 levels. Such a modulation of biphasic T-helper (Th)1/Th2 cytokines may result in a reduction in serum IgE levels. Our findings suggest that mechanism of action of Sea Buckthorn in the treatment of AD is associated with a marked anti-inflammatory effect as well as an inhibition of Th2-mediated IgE overproduction via the modulation of biphasic Th1/Th2 cytokines. Such results suggest that topical Sea Buckthorn extract may prove to be a novel therapy for AD symptoms with few side effects.

Toll-like receptor 2, 3, 4의 신호전달체계 조절을 통한 curcumin의 항암${\cdot}$항염증 효과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urcumin by the Modulation of Toll-like Receptor 2, 3 and 4)

  • 강순아;;윤형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75-180
    • /
    • 2007
  • TLRs는 병원균이 숙주의 몸 속에 들어 왔을 때, 병원균들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구조를 인식하여 선천성 면역반응과 뒤이어 후천성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는 이번 실험을 통하여 curcumin이 선행연구에서 밝혀낸 TLR4 뿐만 아니라 TLR2와 TLR6 그리고 TLR3를 또한 분자학적인 타깃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Curcumin이 MALP-2(TLR2,6 agonist)에 의해서 유도된 IRAK-1 degradation을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curcumin의 분자학적인 타깃이 IRAK-1위에 놓여 있으며, TLR2와 TLR6가 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curcumin은 viral 자극제인 poly[I:C](TLR3 agonist)에 의해서 유도된 IRF3나 $NF-{\kappa}B$ 활성화를 억제하였지만, TRIF에 의해서 유도된 IRF3 활성화는 억제시키지를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 또한 TLR3 자체가 curcumin의 분자학적인 타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때, curcumin의 분자학적인 타깃이 $IKK{\beta}$ 이외에 모든 TLRs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결과는 curcumin이 그람음성균 뿐만이 아니라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등 여러 병원균들로부터 유도되는 염증반응이나 만성적인 질병들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겠다.

Ardisia arborescens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rdisia arborescens Ethanol Extract)

  • 진경숙;이지영;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713-72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Ardisia arborescens 에탄올 추출물(AAEE)의 항산화능과 항염증 생리활성을 in vitro assay system 및 cell culture model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AAEE의 항산화능을 DPPH radical 소거능으로 분석한 결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와 유사한 정도의 높은 활성을 보여 매우 강한 항산화능을 보유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RAW 264.7 세포주를 이용한 $H_2O_2$ 및 LPS의 유도에 의해 생성된 ROS에 대한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농도의존적인 강한 소거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항산화효소로 천연물에 의한 항산화능 활성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HO-1, TrxR1 및 그 전사 인자인 Nrf2의 단백질 발현이 AAEE의 처리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됨을 보였으며 이러한 HO-1, TrxR1 및 Nrf2의 발현 변화는 상위신호전달계인 MAPKs에 의해 조절될 가능성을 보였다. 한편 AAEE가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세포독성 없이 농도의존적인 NO 생성 저해능을 보였으며 이는 NO 생성 단백질인 iNOS의 발현 저해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AAEE의 NO 생성 억제 효과는 염증 상위신호전달계인 NF-${\kappa}B$ 및 AP-1의 조절을 통해 일어날 가능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AAEE의 높은 항산화능과 항염증 활성을 처음으로 확인하였으며 향후 기능성 소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hibitory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Eucommiae Cortex and Psoraleae Semen Alone and in Combination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 Park, Jin Soo;Park, Ga Young;Choi, Han Gyul;Kim, Seong Joung;Kim, June Hyun;park, Min Cheol;Kim, Yun Kyung;Han, Sang Yong;Jo, Eun Heui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1-18
    • /
    • 2017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Eucommiae cortex (EC), Psoraleae semen (PS), and their combination on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B ligand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Methods : We assayed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cells, cytoplasmic 1 (NFATc1), c-Fos,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nd ${\beta}-actin$ in cell lysates using western blotting. Similarly, mRNA expression levels of NFATc1, c-Fos,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e (TRAP), and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spermatogeni (GAPDHS) from bone marrow macrophages (BMMs) were analyzed using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Furthermore, we determined the anti-osteoporotic effects of the water extracts of EC, PS, and their combination in a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bone-loss mouse model. Results : The in vitro data revealed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EC and PS extract showed a more remarkable inhibit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than each herb did alone. The combination downregulated the induction of c-Fos, NFATc1, and TRAP by suppressing the phosphorylation of p38 and c-Jun N-terminal kinases (JNKs) and inhibiting 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NF-{\kappa}B$). Lastly, the in vivo data showed that PS reduced the LPS-induced bone erosion.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EC and PS could be potential therapeutic agents for bone loss diseases such as osteoporosis.

The Effects of Bee Venom Pharmacopuncture on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Ischemic Cerebral Damage in Mice

  • Lee, Ji-In;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6권4호
    • /
    • pp.220-229
    • /
    • 2019
  • Background: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Bee Venom Pharmacopuncture (BVP) on acute ischemic cerebral infraction was determined in mice in vivo and in vitro. Methods: Analysis of acute ischemic cerebral infraction was performed using 7 week old male ICR mice (n = 20) and microglial BV-2 cells. Bee venom ($5{\mu}g/kg$) was injected into the caudal vein of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mice (1 hour after reperfusion, 3 hours after MCAo probe insertion), and also used to treat LPS-stimulated microglial BV-2 cells (1, 2, $5{\mu}g/mL$). Markers of inflammation were monitored. Results: NO decl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BVP treated MCAo mice compared to the untreated MCAo group (p < 0.05). Compared to the MCAo group, the BVP-treated MCAo group showed a decreased production volume of malondialdehyde, but an increased glutathione/oxidized glutathione ratio. Compared to the untreated MCAo group, the BVP treated MCAo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line in TNF and $IL-1{\beta}$ levels (p < 0.05). BVP inhibited the levels of p65, p50, $p-I{\kappa}B-{\alpha}$, and levels of p-ERK1/2, p-JNK2, p-P38 declined. Conclusion: BVP is effective at dampen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vivo and in vitro and may supplement rt-PA treatment.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 보유 유용 식물 탐색 (Screening of Useful Plants with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y)

  • 이승은;최재훈;이정훈;노형준;김금숙;김진경;정해영;김승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1-449
    • /
    • 2013
  • 본 연구는 식물자원을 재료로 하여 in vitro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함으로써 기능성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유망 후보자원을 발굴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식물추출물 38종을 대상으로 세포증식에 대한 영향, 염증 관련지표(nitric oxide, TNF-${\alpha}$, IL-6, $I{\kappa}B{\alpha}$, iNOS, COX-2) 및 항산화항목(DPPH 라디칼 소거능, LDL 산화저해능) 및 총페놀 함량에 대한 효과를 탐색하고 결과로부터 8종의 시료를 1차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8종의 시료에 대해서는 다시 농도별로 세포증식에 대한 효과, iNOS, COX-2의 발현 및 NF-${\kappa}B$ 전사에 대한 영향, peroxynitrite, ROS, nitric oxide 생성에 대한 $IC_{50}$ 값을 분석하여 보다 가능성이 있는 식물을 유망후보자원으로 선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소사나무(가지), 등골나물(잎), 으름(꽃) 및 개모시풀(뿌리)은 항염증 혹은 항산화활성이 우수하나 농도에 따라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므로 활용에 주의가 필요해보였으며, 어저귀(잎)은 항염증활성과 항산화활성이 비교적 우수하고 실험된 처리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어 향후 in vivo 활성 검정 등 심화연구를 통해 그 활용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Anti-inflammatory Effect of Ribes fasciculatum in IFN-${\gamma}$/LPS-stimulated Mouse Peritoneal Macrophage

  • Kim, Jin Kyu;Kim, Ha Na;Kang, Chung Sik;Seo, Je Han;Seo, Hyun Won;Im, Jun Sang;Kim, Bong Seok;Cha, Dong Seok;Kwon, Jin;Oh, Chan Ho;Ma, Sang Yong;Nam, Jung Il;Jeon, Ho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0권2호
    • /
    • pp.113-118
    • /
    • 2014
  • Ribes fasciculatum which belongs to Saxifragaceae has been widely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symptoms associated with lacquer poison. However, pharmacological studies on the R. fasciculatum are extremely limited until now. Thu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ossibl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R. fasciculatum (ERF) using IFN-${\gamma}$/LPS-stimulated peritoneal macrophage model. We investigated the change in nitrite level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ERF after LPS stimulation, and we found that ERF effectively attenuates the NO produc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without notable toxicity.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the inhibitory action of ERF on NO production, we performed iNOS enzyme activity assay and Western blotting. Here we showed that both of iNOS enzyme activities and iNOS expressions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by ERF, indicating that these dual activities of ERF are responsible for ERF-mediated NO suppression. In addition, ERF inhibitied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COX-2), an another key enzyme in inflammation through suppression of NF-${\kappa}B$ activation. We also teste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ERF not only in vitro, but in vivo using trypsin-induced paw edema model in mice. Our results revealed that the increased paw volume in response to trypsin injection was recovered by ERF supplement dose dependently.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와 마우스 귀 조직에 대한 양파(Allium cepa L.) 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Onion (Allium cepa L.) Peel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RAW 264.7 Cells and Mice Ears)

  • 안나경;강보경;김꽃봉우리;김민지;배난영;박지혜;박선희;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12-1620
    • /
    • 2015
  • 양파 껍질 에탄올 추출물(OPEE)의 in vitro 및 in vivo에서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lipopolysaccharide(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염증 관련 매개인자들의 발현량과 ICR 마우스모델을 이용한 귀 부종 및 조직 분석을 진행하였다. NO 및 염증성 cytokine(IL-6, $IL-1{\beta}$$TNF-{\alpha}$)의 분비량이 OPEE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iNOS 및 COX-2의 발현량은 LPS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OPEE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량이 감소하였다. 전사인자인 $NF-{\kappa}B$의 활성과 인산화효소인 MAPKs(p-38, JNK 및 ERK)에서도 LPS에 의해 증가된 발현량이 OPEE에 의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NO 및 염증성 cytokine의 분비량 감소는 $NF-{\kappa}B$와 MAPKs의 활성 저해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In vivo 실험에서는 croton oil로 귀 부종을 유발한 마우스에 OPEE를 처리하였을 때 prednisolone 처리구와 유사한 수준으로 귀 부종이 억제되었으며, 귀 조직 관찰에서도 경피 및 진피의 두께와 진피로 침윤된 mast cell의 수도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 OPEE는 항염증 소재로서 염증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이용 가능성이 높음을 제시한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와 마우스 귀조직에 대한 참모자반 (Sargassum fulvellum)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Sargassum fulvellum on Lipopolysaccharide 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RAW 264.7 Cells and Mice Ears)

  • 정다현;김꽃봉우리;김민지;강보경;박시우;박원민;김보람;안나경;최연욱;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158-116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천연식물자원인 참모자반 에탄올 추출물(SFEE)의 항염증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 및 in vivo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SFEE의 세포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RAW 264.7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살펴본 결과, SFEE $100{\mu}g/mL$의 농도까지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 type으로 LPS로 염증을 유도한 RAW 264.7 세포에 대하여 NO, IL-6, $TNF-{\alpha}$$IL-1{\beta}$ 분비량과 iNOS, COX-2 및 $NF-{\kappa}B$와 같은 염증성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대식세포 배양액의 $NO{_2}{^-}$ 농도를 측정한 결과 SFEE 첨가 농도에 따라 유의적으로 분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100{\mu}g/mL$의 농도에서 90% 이상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100{\mu}g/mL$의 농도로 첨가 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TNF-{\alpha}$$IL-1{\beta}$ 분비량을 각각 79, 73, 87%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NO 생성과 연관이 있는 iNOS 단백질과 COX-2 및 $NF-{\kappa}B$ 단백질의 발현이 현저히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SFEE의 항염증 효과를 동물모델에서 확인하기 위해 in vivo 실험을 진행한 결과 croton oil로 유도한 마우스 귀 부종을 유의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고, 조직검사 결과 염증 반응에 의한 경피 및 진피 두께의 발달을 현저히 억제시키고 염증성 세포인 비만세포의 조직으로의 침윤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가짐을 입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참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은 염증 반응의 전사인자인 $NF-{\kappa}B$의 발현을 억제하여 iNOS와 COX-2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그에 의해 NO, IL-6, $TNF-{\alpha}$$IL-1{\beta}$ 분비를 억제하여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참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이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LPS로 유도한 RAW 264.7 세포 및 귀부종 동물 모델에 대한 밀배아유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Wheat Germ Oil o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and Mouse Ear Edema)

  • 강보경;김민지;정다현;김꽃봉우리;배난영;박지혜;박선희;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36-245
    • /
    • 2016
  • 밀배아유가 LPS로 자극된 대식세포에서 염증과 관련된 인자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NO 및 전염증성 cytokine의 분비량과 iNOS 및 COX-2의 발현량, NF-κB p65와 MAPKs 활성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ICR 마우스를 이용하여 croton oil로 유도된 귀부종을 통해 귀두께 변화 및 귀조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밀배아유는 LPS로 인해 증가된 NO 및 전염증성 cytokine의 분비량을 감소시켰으며, 특히, IL-6와 TNF-α는 100 μg/ml 농도에서 90% 이상의 분비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LPS에 의해 증가된 iNOS와 COX-2의 발현은 100 μg/ml 농도로 밀배아유 처리시 발현 억제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NF-κB p65의 발현도 밀배아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00 μg/ml 농도로 처리 시 억제 효과가 가장 컸다. 밀배아유는 MAPKs의 인산화를 억제시켰으며, 특히, ERK와 JNK의 인산화 억제가 농도 의존적으로 크게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밀배아유는 croton oil로 유도된 귀부종에서 귀두께를 감소시켰으며, 경피와 진피의 두께 및 진피에 침윤된 비만세포의 수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밀배아유는 NF-κB 및 MAPKs의 신호 경로 조절을 통한 염증성 매개 인자들의 발현 감소로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천연 항염증 소재로서 활용도가 가능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