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LDPE packaging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14초

포장재료와 보관온도에 따른 갈은 마의 저장수명 및 품질변화에 관한 연구 (Effects of Packaging Materials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Shelf-life of Korean Grinded Yam)

  • 고의석;원종화;진형석;송기현;전규배;김재능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3-111
    • /
    • 2014
  • 본 연구는 포장 재료와 보관온도에 따른 갈은 마의 품질변화에 관한 연구이다. 실험 측정을 위해 실험군으로는 불투명 차단성 포장재료인 $PET(12{\mu}m)/Al(9{\mu}m)/LLDPE(60{\mu}m)$와 투명 차단성 포장 재료인 $PET(12{\mu}m)/PE(20{\mu}m)/VM-PET(12{\mu}m)/PE(25{\mu}m)$와 차단성 $NY(15{\mu}m)/LLDPE(60{\mu}m)$를 사용하였으며, 일반 $NY(15{\mu}m)/LLDPE(65{\mu}m)$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색도 변화에서 갈은 마의 냉장온도($5^{\circ}C$)에서는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 모두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Delta}E$값의 경우도 차단성이 떨어지는 포장재인 NY/LLDPE를 비롯하여 모든 포장재(PET/Al/LLDPE PET/PE/VM-PET/PE차단성NY/LLDPE)들이 1.5~3.0 사이의 값으로 초기 상태보다 색과 외관에서 감지할 정도의 차이만 보이며,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상온($20^{\circ}C$)에서의 색도 변화는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 값이 2일차까지 모든 포장 재료들에서 큰 변화를 보였으며, 차단성이 떨어지는 포장재일수록 6일까지 빠른 갈변현상을 보였다. ${\Delta}E$값의 경우는 PET/Al/LLDPE를 제외한 나머지 포장 재료들에서 12에 근접하거나 12를 넘는 값을 나타내 다른 계통의 색으로 판명 되었다. pH는 모든 포장 재료들에서 냉장($5^{\circ}C$)의 경우 4일차까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고 상온($20^{\circ}C$)의 경우는 모든 포장 재료들에서 저장 기간 8일 동안 계속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다. pH변화는 냉장($5^{\circ}C$)과 상온($20^{\circ}C$) 모두 차단성이 좋은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Al/LLDPE가 변화가 가장 적었고 차단성이 떨어지는 NY/LLDPE가 큰 변화를 보였다. 점도 변화는 모든 포장 재료에서 냉장($5^{\circ}C$)과 상온($20^{\circ}C$) 모두 저장 기간이 지날수록 점도가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는데, 차단성이 가장 좋은 포장재인 PET/Al/LLDPE가점도변화가 가장 적었고 차단성이 떨어지는 포장재일수록 점도변화가 컸다. 특히, 상온($20^{\circ}C$)에서 차단성NY/LLDPE와 NY/LLDPE는 6일 이후에 큰 폭으로 감소해 상품가치가 거의 없었다. 미생물의 총 균수에서는 냉장($5^{\circ}C$)의 경우는 저장기간 8일 동안 NY/LLDPE을 제외한 모든 포장재들에서 총 균수의 변화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이는 저온저장이 미생물의 생육 조건에 맞지 않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상온($20^{\circ}C$)에서는 4일차까지 큰 변화를 보이지 않다가 NY/LLDPE에 저장된 갈은 마에서 기준치 이상의 총 균수가 검출되어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잃었고 다른 포장재는 6일까지 변화를 보이지 않다가 그 이후에 기준치를 초과하였다. 관능평가는 냉장($5^{\circ}C$)의 경우는 크게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상온($20^{\circ}C$)의 경우 3일차까지는 맛이나 향미를 평가할 수 있었지만, 4일차가 되면서 갈변 현상이 초기보다 많이 진행되어, 향이나 외관에서 평가자들이 거부감을 느꼈고 맛 또한 평가할 수 없을 정도로 상태 변화를 일으켜 4일차 이후로는 관능평가가 불가능하였다.

  • PDF

중국산 대추(Winter date)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기능성 MA필름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Modified Atmosphere Film for Winter Date)

  • 박형우;;김상희;차환수;박혜란;김윤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5-130
    • /
    • 2006
  • 중국에서 수확한 대추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목적으로 각각 30, $60{\mu}m$두께의 LLDPE필름, 기능성 MA 필름을 사용하여 이를 대조구와 포장구로 나누어 실온 및 $8^{\circ}C,\;0^{\circ}C$에 10주간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중량은 상온 저장 포장구는 3.6%, 0.4%, 대조구는 36.1% 감소하였고, 저온 저장 대조구에서는 10배 이상으로 나타나 유의적으로 높았다. 산도변화에서는 저장기간 동안 모든 포장구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저장 말기에는 포장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총당은 대조구에서 저장 기간중 크게 약 39%증가하였으며, 포장구에서는 약 29.2%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비타민C의 변화도 대조구와 포장구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포장구보다는 대조구에서 다소 높게 유지 되었다. 이에 따라 개발한 필름을 중국산 대추를 수확하여 기능성 MA필름으로 포장하여 활용할 경우 신선도가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장재를 달리한 고춧가루의 저장조건에 따른 capsaicinoids와 색상 함량 변화 (The Changes of Capsaicinoids and AST A Color Value of Red Pepper Powder Packed with Different Packaging Materials)

  • 이선미;박재복;김선아;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39-446
    • /
    • 200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red pepper powder using different packaging materials and various storage conditions. Red pepper powders with 11 and 15% initial moisture content were packed with five different materials and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0, 20, and 30 C) for a one year period. Over the storage period, each combination was periodically sampled, and examined for composition changes. The five packaging materials wer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LLDPE), nylon/LLDPE(Ny/LLDPE), saran coated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B650), nylon/Tie/nylon/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nylon/Tie/LLDPE(RDX-2787) and oriented polypropylene/alumimum/LLDPE(OPP/Al/LLDPE), and the three storage conditions were (28.3${\pm}$1.0)$^{\circ}C$ with (15.5${\pm}$2.8)% relative humidity, (18.6${\pm}$0.5)$^{\circ}C$ with (46.6${\pm}$4.9)% RH, and (0${\pm}$2)$^{\circ}C$ with (80${\pm}$10)% RH,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s of all samples changed according to the relative storage humidity, except those of the samples packed with OPP/Al/LLDPE, which remained constant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The capsaicinoids content of the red pepper powder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for 6 months, but gradually decreased after that until about 85% of the original amount remained at the final stage of storage. The ASTA color values of all samples decreased gradually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The higher the storage temperature, the more severe the deterioration. The color deterioration seemed greatly related to the existence of oxygen, as the deterioration was especially severe in the samples packed with LLDPE and B650, where the oxygen transmission rate were highest among the five packaging materials.

고온기 결구상추의 포장재와 포장방법 적용에 따른 선도 비교 (Application of Different Packaging Methods and Materials for Comparing Freshness of Lettuce (Lactuca sativa L.) harvested in Summer Season)

  • 이정수;최지원;김진세;박미희;최현진;이윤석;김동억;홍윤표;김지강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63-171
    • /
    • 2017
  • 국내산 결구상추의 하절기 생산 제한을 수확 후 포장방법개선으로 공급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기 결구상추의 유통 및 저장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유통 현황과 기존의 결과를 근거하여 개선 가능한 포장방법을 모색하였다. 결구상추의 '유레이크'품종을 이용하여 포장재별 포장 방법에 따라 저장 중 생체중량 변화, SPAD 지수 등을 조사하였다. 포장방법은 관행적인 무포장의 플라스틱 재질 농산물 유통상자에 적재하는 저장방법에 LLDPE와 HDPE 필름 포장재를 이용하여 개별 및 박스 단위 방법으로 포장하여 저장온도 $2^{\circ}C$에서 하였다. 결구상추 저장 시 포장 방법 및 포장재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LLDPE 필름으로 랩 포장한 것이 저장 21일까지 외관품위 등에서 비교적 양호한 상품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생체중량 감소율이 다른 처리구보다 적었고, 저장 중 SPAD나 색상변화 정도가 적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개별 포장한 결구상추의 결구내 수분감소나 경도에서는 처리별 차이를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결구상추는 개별 포장하여 단기간 동안의 선도를 유지할 수 있었으나 개별 포장에 따른 기체 조성 변화에 큰 영향이 없어 MA 효과를 언급하기는 어려웠다. 고온기 생산성이 낮은 시기에 결구상추의 단경기 공급을 위해 개별적인 랩 포장으로 포장방법을 개선함으로써 저장성 연장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산소 투과도를 가진 커버필름과 산소지시물질로 제작된 인쇄형 TTI (Printable Time Temperature Integrator Consisting of Oxygen Indicator and Cover Film with Various Oxygen Permeability)

  • 김도현;장한동;한서현;안명현;이승주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1-4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산소지시물질을 이용한 새로운 UV-activation 인쇄형 시간-온도 이력지시계(time temperature integrator; TTI)를 개발하였다. $TiO_2$와 glycerol이 UV activation을 위해서 첨가되었으며 glycerol의 경우 비가역적반응을 위해 첨가량을 23 mg으로 조절하였다. 또한 인쇄적성을 위해 zein 함량 0.8 g, 90% ethanol 함량 4.0 g으로 조절하였고 silk screen의 mesh는 250 mesh일 때 최적의 인쇄성상을 나타내었다. 서로 다른 커버필름(PE, PET, OPP, and LLDPE)을 이용하여 색변화속도와 온도의존성을 측정하였다. 각 필름의 $E_a$를 측정한 결과 OPP, PE, LLDPE의 경우 60.07-84.47 kJ/mol의 $E_a$를 나타내어 TTI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PET의 경우 $E_a$가 15.76 kJ/mol으로 적용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커버필름의 두께의 경우 $E_a$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nnealing한 필름은 고분자 구조의 변화로 인해 산소 투과도가 annealing하지 않은 동종의 필름보다 PET의 경우 29.8%, PVC의 경우 60.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개발된 UV-activation 인쇄형 TTI는 다양한 커버필름을 통해 산소 투과도와 $E_a$를 조절할 수 있었고 annealing을 통하여 추가적으로 산소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유효기간을 갖는 식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폴리올레핀계 포장재 중의 항산화제 분석 (Determination of Antioxidants in Polyolefin Packaging Materials)

  • 이근택;박영주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0-28
    • /
    • 1995
  • 폴리올레핀계 포장재에 첨가된 항산화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Soxhlet 추출과 HPLC에 의한 분석방법을 검토하였다. Soxhlet에 의한 폴리올레핀계 포장재에서의 첨가제 추출은 약 10시간 이내에 거의 완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HT, Irganox 1076, Irganox 1010, Irgafos 168 등 4가지 항산화제의 동시검색은 역상 HPLC를 이용하여 gradient elution으로 baseline resolution의 분리가 가능하였다. 또한 LLDPE와 OPP 필름 중에 첨가된 4가지 항산화제의 확인 및 정량도 가능하였다.

  • PDF

변성전분과 폴리에틸렌 혼합물의 물성 및 분해성 평가 (Mechanical Properties and Degradability of Modified Starch and Polyethylene Blends)

  • 장시훈;유영선;서종철;박수일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6권2_3호
    • /
    • pp.59-65
    • /
    • 2010
  • Starch was modified with epichlorohydrin(ECH) to improve the miscibility with LDPE and LLDPE. Native starch or epichlorohydrin treated starch was mixed with grycerol and LDPE/LLDPE resin using a kneader and extruded using a single screw extruder to make pallets. The pallets were compression-molded at 145 into composite boards to evaluate their color, oxygen permeation,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and degradability under UV irradiation. Sheets with epichlorohydrin treated starch generally showed higher L-value than that of native starch blend sheets. The hunter b-values in both native starch blends and epichlorohydrin treated starch blends increased with Increasing starch contents. Tensile strength and percent elongation of sheets decreased with increasing starch contents. Tensile strength and percent elongation of sheets decreased with increasing starch contents. The degradability of blends under UV radia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starch contents in both blend types. The results represents that crosslinking of starch with epichlorohydrin may be a good method to improve miscibility of starch with petroleum-based materials.

  • PDF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염이 함침된 흡수성 고분자 복합 필름의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Moisture-absorbing Film Impregnated with Polyacrylic Acid Partial Sodium Salt Material)

  • 이윤석;최홍열;박인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4호
    • /
    • pp.530-537
    • /
    • 2014
  • 수분은 제품의 물리적 변화, 미생물 성장,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품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기능성 포장 필름으로 응용하기 위하여 수분을 흡착력이 우수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염(polyacrylic acid partial sodium salt, PAPSS)을 선상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분자 수지에 함침된 수분 흡착 기능을 가진 복합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수분 흡착 복합 필름은 PAPSS 물질 입자가 LLDPE 고분자 매트릭스에 잘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PAPSS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필름의 투명도가 저하되었다. 고분자에 첨가되는 PAPSS 물질의 증가는 복합 필름의 인장강도와 신장률 값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각각 0.5, 1, 그리고 2% PAPSS 필름들 간에는 큰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4% PAPSS 함침 필름은 다른 농도로 PAPSS 물질이 함침된 필름과 비교하여 인장강도 및 신장률 값의 급격한 감소를 나타냈다. PAPSS 함량의 증가는 필름의 산소 및 수분 투과도 값이 감소됨이 관찰되어 고분자에 PAPSS 첨가는 필름의 가스 차단의 개선을 나타냈다. PAPSS 함침 필름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습도 환경 조건에서 우수한 수분 흡착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4% PAPSS 함침 필름이 다른 PAPSS 농도 함침 필름들에 비하여 높은 수분 흡착율을 보였다. $25^{\circ}C$ 조건에서 필름 샘플의 수분 흡착 등온 곡선에 가장 적합하게 묘사되는 최적의 모델 방정식은 GAB 모델로 나타냈다. PAPSS 첨가는 고분자 필름의 결정화 및 녹는 온도 변화에 영향을 보였으나, 열중량 변화에는 큰 차이가 없이 안정된 열적 특성을 나타냈다.

태국 플라스틱 포장산업 현황에 관한 고찰 (Plastic Packaging Industry of Thailand)

  • 박형우;김상희;고하영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3-106
    • /
    • 2016
  • 태국의 플라스틱 소비는 포장분야 49%, 직물 15%, 건설 11%, 전기전자가 10% 순으로 나타났다. 종사자는 106천명이며 공장생산 용량대비 실제 생산은 85%이고 식품포장용 플라스틱수지 수요는 월간 135천톤에 달한다. 업종별 제조사는 필름가공업체가 503개 공장으로 전체의 39%를 점하며 인젝션 몰딩 사가 231개로 18%, 블로우 몰딩 사가 216개사로 17%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지들의 생산은 PP는 총 1,950천톤을 생산하였으며, LDPE는 685천톤을 LLDPE는 1,150천톤을 생산하였고, HDPE는 1,920천톤을 생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플라스틱 수입은 16,668백만 바트였고 수출은 33,778백만 바트로 수출액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일 크기와 포장 표면적에 따른 낱개 단감 포장의 기체조성 (Internal Atmosphere of Individual Sweet Persimmon Package as Function of Fruit Size and Package Film Area)

  • 김해진;안광환;정미진;안덕순;이동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6권2_3호
    • /
    • pp.53-58
    • /
    • 2010
  • 낱개 단위의 단감 포장에 대해서 선도유지에 적절한 내부 기체조성을 얻을 수 있는 포장조건을 얻기 위하여 $-1^{\circ}C$에 저장시에 포장 표면적과 과중이 포장 내부 기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약 230 g의 대과에서 과실과 바로 맞는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적($0.040\;m^2$)에서는 낮은 투과도 필름들은($35\;{\mu}m$ 혹은$40\;{\mu}m$ 두께의 LLDPE/PP 및 $30\;{\mu}m$ OPP) 산소가 고갈되는 혐기적인 기체조성을 유발시키고 장기저장 시에 갈변발생율을 높혔다. 약 210 g의 중과와 약 190 g의 중소과에서는 $35\;{\mu}m$ LLDPE/PP의 넓은 표면적이 높은 $O_2$와 낮은 $CO_2$를 형성시키고, 장기저장시에 높은 연화와 흑변의 발생을 가져왔다. 이와 달리, 작은 포장 표면적은 낮은 $O_2$와 높은 $CO_2$를 형성시키고 높은 갈변 가능성을 보였다. 생리장해를 줄이는 내부기체조성을 얻기 위해서는 과중, 포장필름 종류, 포장 표면적의 적절한 조합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