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 plant factory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2초

UV LED를 이용한 LED식물공장 유해미생물 살균 분석 (Sterilization Analysis of Harmful Microbes in LED Plant Factory using UV LED)

  • 장준철;허인성;이세일;유영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15-20
    • /
    • 2014
  • Recently, LED (Light Emitting Diode) application research is studying by using a specific wavelength. LED plant factory produced a lot of green plants in a closed spaces, so it should be taken to guard against harmful microbes. Until today, a lot of studies for green plant production in plant factory is proceed but there were no study on harmful microbes in plant factory. Thus, the analysis on sterilization for harmful microbes in plant factory were experimented using UV (Ultra Violet) LED with 282nm of wavelength. As a results on sterilization of three harmful microbes, 50% of sterilization efficiency was achieved after 2.5 hours, 97% was achieved after 12 hours of UV LED irradiation, respectively.

태양전지와 LED 조명을 이용한 가정용식물공장 시스템 실증시험 (An Experimental Study on Plant Factory System Applied Photovoltaic System and LED Lighting)

  • 양준우;정동열;김정열;백종현
    • 융복합기술연구소 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37-40
    • /
    • 2013
  • Plant factory industry as a new agriculture is in the spotlight. In this paper, we experimented plant factory applied photovoltaic system and LED lighting. For growing the plant, red, blue and white LED were placed into 1:4:3. Electric power generated by the photovoltaic system was supplied on DC power supply instead of AC. The designed and experimented power generation amount per day of photovoltaic system were 2,860 Wh and 2,272 Wh respectively. Plant has not been grown at the dead space of LED lighting so it is required to array LED lighting.

  • PDF

식물재배를 위한 최적LED 배열조합설계 (LED array design for optimal combination of plant grown)

  • 이성원;박세광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123-126
    • /
    • 2014
  • This paper is suitable for household plant factory by design and using both energy-saving LED and solar technology. Conventional household plant factory only depending on natural sunlight is sensitive for the change of external environment. Another a big problem of conventional common household plant factory is large power consumption. Recently interest in wellbeing food such as chemical-free is increased abruptly. To solve these two problems, this paper describes hybrid type of household plant. In particular, reducing the power photosynthesis photon flux density (PPFD) is kept uniform to enhance the growth of the plant. Ambient light sensor is adopted for the control of proper combination of sunlight and LED to keep PPFD constant.

LED 식물공장을 이용한 취미용 원격 식물재배 위탁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mote Cultivation Consignment System for Hobby using LED Plant Factory)

  • 조면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49-54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LED 식물공장과 연계하여 식물재배를 환경을 제공받고 사용자는 원격으로 식물재배에 참여함으로써 개인적인 취미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아두이노를 기반으로 다양한 센서들을 통해 식물의 생장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식물생장에 필요한 재배환경을 원격으로 조정함으로써 식물재배 및 수확에 대한 대리만족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 한편, 식물공장은 유휴의 공간을 온라인으로 개인에게 유료 분양함으로써 일정한 소득원을 확보하게 되어 상호 이득이 되는 구조를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아두이노와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하여 원격 식물재배 위탁시스템의 시작품을 제작하여 보임으로써, 제안 시스템의 실현가능성을 보이고 향후 이를 이용한 LED 식물공장의 대중화 및 사업 영역확장에 기여 할 것이다.

태양광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다개층 식물 생산 시스템 (Hybrid Multi-layer Plant Production Systems using a Sunlight)

  • 류봉조;김영식;양윤영;김상활;정순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5-176
    • /
    • 2014
  • The pap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ulti-layer plant production systems using a sunlight and LED. Nowadays most of plant production systems have been developed by plant factory using only LED. In case of plant factory using LED, however, the light quantity is not sufficient for various kinds of medicinal plants. In this paper, authors have tried to apply the both the luminous sources using a natural sunlight and an appropriate LED. During the daytime, a natural sunlight was applied using the Heliostat, while in the nighttime, LED was used. The proposed mixed plant production system was constructed under the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CO_2$ distribu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Through the hybrid plant prodution systems, the growth of Ginseng plants were recorded and demonstrated by CCD camera and monitoring program.

  • PDF

가시광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 농업 시스템 (A Smart Farming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 염태화;박성미;권혜인;황덕규;김정창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5호
    • /
    • pp.479-48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software defined radio (SDR) 기술 기반의 가시광 (visible light) 무선통신 및 RF 무선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농업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스마트 농업을 위하여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구축하여 LED 식물공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LED 식물공장을 자동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농작물 재배지를 항상 최적의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농작물 재배 환경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농작물 재배지가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식물공장의 헬리오스탯을 이용한 태양광 추적성능 및 LED 균일광 조사 (Solar Tracking Performance using a Heliostat and Uniform Irradiation of LED Light for a Plant Factory)

  • 구경완;김태진;김영식;유봉조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4권12호
    • /
    • pp.1761-1767
    • /
    • 2015
  • This paper deals with the solar tracking performance using a small heliostat, the light reduction rate of the sun light, and the performance of uniform irradiation of LED light for a plant factory. A high precision encoder is attached to the heliostat to improve tracking accuracy. As a result, our heliostat-based solar tracking systems track efficiently the movement of the sun light in experimental tests. The reduction rate of the sun light in the plant factory is then measured by using an illumination sensor. The average reduction rate is 4.29%, which represents lower light reduction rates. In uniform irradiation tests of LED light, sixteen points are measured, and overall deviations of irradiation were within eight percents.

식물공장 각종광원의 방사조건과 LED조명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ous Light Source Radiation Conditions and use of LED Illumination for Plant Factory)

  • 윤철구;최홍규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4-22
    • /
    • 2011
  • The artificial lights to be introduced for the plant factories is requiring the artificial light resources with minimizing the energy consumption to reduce the greenhouse gases which is a major cause of global warming, and maximizing the efficiency in photosynthesis effect light-wave range, in which the plants can be greatly grown and developed, and having the signal light-wave range for forming the light types. the best growing and developing environment for the plants has recently realized with utilizing the LED(Lighting Emitting Diode) lamps, as a environment-friendly green lamps, which can elevating the light efficiency with using only the specific light wave range. In this study, to provide the necessary lights for the full artificial light type of the plant factory, the following research/study and experiments has been conducting. experiments of the spectrum for each light sources, and LED,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Irradiance, Photosynthesis Photon Flux Density.

식물공장 광원의 색조합에 따른 광합성활성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otosynthesis Accelerate by Light Color Composition in Plant Factory)

  • 홍지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368-375
    • /
    • 2016
  • 본 연구는 식물에 대한 LED 광색별 성장을 실험하여 효율적인 식물공장 광원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은 Red-LED와 Blue-LED, White-LED 광환경에서 식물의 성장과 이산화탄소 감소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식물의 성장은 Red-LED에서 성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White-LED는 Red-LED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지만, 시간이 경과 할수록 Red-LED의 성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Blue-LED는 가장 낮은 성장을 보였다. 그리고 혼합광과 단색광의 광합성정도를 확인한 결과 Red-LED와 Blue-LED를 조합한 광원에서 이산화탄소 감소가 높게 나타났으며 적색광이 많을수록 이산화탄소의 감소도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 토대로 혼합광과 백색광에서의 성장을 비교 측정한 결과, 적색 4개, 청색 2개의 비율의 광원에서 식물의 성장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식물공장에서 식물의 효율을 높이고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백색의 단색광을 사용하는 것 보다 적색광을 사용하거나, 적색과 청색을 혼합하여 사용하여 파이토크롬 효과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백색광만 사용하는 경우 성장 초기에는 한해서 사용해야 하며 성장이 잎이 커짐에 따라 적생광이 강한 광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식물공장을 위한 회전형 조명시스템 시제품의 광합성유효광양자속 분석 (Analysis of Photosynthetic Photon Flux by Prototype of Rotational Lighting System for Plant Factory)

  • 이원섭;김성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529-534
    • /
    • 2013
  • 식물공장을 위한 회전형 조명 시스템은 기존의 식물공장 조명시스템에 무수히 많이 설치되는 LED를 대신하여 비교적 적은 양의 LED가 설치된 조명장치를 회전시켜 작물들에게 필요한 광을 공급하는 시스템이며, 기존 식물공장 조명시스템에서 발생되는 고가의 초기 설치비용을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식물이 생장하는데 필요한 광합성유효광양자속(PPF)에 대하여 조사하고, 회전형 조명시스템 시제품과 광양자센서를 이용하여 조명시스템의 LED출력과 회전속도 변화에 따른 PPF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블레이드의 회전속도가 20rpm이고 LED의 출력이 IN 73%, CENTER 37%, OUT 50%일 때 모든 영역에서 $200{\mu}mol{\cdot}m^{^-2}{\cdot}s^{^-1}$의 일정한 PPF값이 공급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기존의 식물공장의 조명 시스템에 비해 적은양의 LED를 회전시킴으로써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광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없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