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 lighting Control System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9초

Alternating Current Input LED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Fuzzy Theory

  • Lee, Jae-Kyung;Yim, Jae-Ho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9권4호
    • /
    • pp.214-220
    • /
    • 2021
  •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several scenarios that are required for LED lighting, and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n LED lighting control system to operate these scenarios to confirm their behavior. An LED lighting control system is a hybrid control board that is designed by combining LED controllers and SMPS, consisting of an AC/DC power supply part that converts AC 220 V into DC 12 V, and a drive and control part that controls the scenario and color of the LED module. Conventional LED light controllers have an input power of DC 12 V, so when using the input AC 220 V, the SMPS must be connected to the LED light controller. To eliminate this inconvenience, a hybrid LED lighting control system was configured to combine LED lighting controllers and SMPS into one control system. Furthermore, we designed a control system to represent the most appropriate color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distance and illumination using a fuzzy control system to conduct computer simulations.

식물 성장용 LED조명 모듈 및 제어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LED Lighting Module and Control System for Plant Growth)

  • 이승민;이완범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05-109
    • /
    • 2019
  • LED lighting is used as artificial lighting for plant growth because it has high light efficiency and can radiate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new structure LED lighting modu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LED lighting for plant growth and proposed a lighting control system that can be controlled wirelessly. The proposed LED lighting module was fabricated using optical lens applied to tunnel light and simulated using Relux program. Results of simulation, we confirmed that the light distribution and average illuminance of the proposed lighting were improved. LED lighting control system was developed to wirelessly control R, G, B, W LED lighting according to plant type and growing season. Therefore, it is expected to provide the optimal lighting environment for plant growth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farm productivity and convenience.

독립형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효율적인 하이브리드 LED 가로등 조명관리 시스템 설계 (An Efficient Hybrid LED Street Lighting Management System Design using Standalone Solar Photovoltaic)

  • 홍성일;인치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984-993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sign for an efficient hybrid LED street lighting management system using standalone solar photovoltaic. The proposed efficient hybrid LED street lighting management system was composed of hybrid power conditioning system, gateways, LED street lights and a monitoring server. The hybrid power conditioning system was designed to charge produced power by solar photovoltaic panels in day time, and supply power to the LED street lights in night time. If there is insufficient power, the system was designed to operate using firm power, because the system utilizes photovoltaic power. A system control algorithm allied to the lighting management system, and experimented by being configured to the functions that are able to perform real-time monitoring and remote control through the lighting management system even when absent. In the result of the efficiency analysis of the hybrid lighting management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we were able to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compared to existing lighting control systems 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electricity costs.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LED 조명 제어 기법을 이용한 빌딩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Building System with LED Lighting Control in Heterogeneous Networks)

  • 공인엽;제갈한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053-1059
    • /
    • 2011
  • DMX512 프로토콜은 LED 조명을 제어하는 대표적인 프로토콜로서, 간단하면서도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를 이용한 LED 제어 시스템의 경우 유선으로 연결함으로써, 많은 케이블이 필요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무대 조명과 같이 복잡한 시스템의 경우, 유선 연결을 사용하여 구현하거나 유지 보수를 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무선으로 LED 조명을 개별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LED 조명에 대한 구성과 이동성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센서 기능이 내장된 LED 조명을 기존의 WLAN 환경에 연동하기 위해 필요한 WLAN-ZigBee 변환기를 구현하고 이를 통해 컬러 LED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이종 네트워크가 혼용된 환경에서 이 시스템의 처리 성능을 평가하였다.

RTOS 기반의 다중센서 LED 가로등 점등제어 시스템 설계 (A Development of Multi-Sensors LED Streetlight Lighting Control System Based on RTOS)

  • 인치국;인치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11호
    • /
    • pp.1020-102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LED 가로등의 에너지 효율을 높인 RTOS 기반의 점등제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RTOS 기반의 점등제어를 위하여 LED 가로등의 제어 모듈을 3개의 태스크로 세분화하여 실시간으로 처리하도록 하였다. 첫 번째 태스크는 조도를 측정하여 LED 점등신호를 전달하고, 두 번째 태스크에서는 모션디텍터를 이용하여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전달한다. 세 번째 태스크에서는 앞에서 전달된 신호를 통하여 LED를 점등제어 하도록 설계하였다. 시스템의 검증을 위해 ATmega128 MCU에 직접 포팅하여 동작 상태를 검사하였으며, 실제 LED 가로등의 필드 실험을 통하여 조도분포와 동작 상태를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RTOS 기반의 점등제어 시스템은 여러 기능들을 각각의 태스크 모듈로 분리하여 독립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성능 향상 및 추가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고, 지능적인 패턴 점등제어로 인하여 최적의 에너지 절감 효율성을 보였다.

LED광원을 이용한 실내상시보조인공조명(PSALI)의 성능평가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Permanent Supplementary Artificial Lighting of Interior(PSALI) using a LED Light Source)

  • 이진숙;김병수;김소연;정용규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16-23
    • /
    • 2011
  • Since the first lighting light source was invented, lighting has turned into superior-quality lighting considering the amenity of occupa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light source has developed rapidly. So this research confirmed the lighting performance of a dimmer control system and an ON-OFF control system via the existing light source, and analyzed the basic lighting environment of Permanent Supplementary Artificial Lighting of Interiors(PSALI) through the physical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a LED lamp substituted for a fluorescent lamp used in a dimmer control system, showing that the lighting physical quantity characteristics of an ON-OFF control system and a dimmer control system are similar to each other and that they are effective in terms of energy saving. Besides, it was shown that introducing a LED light source to a dimmer control system improves lighting environments and largely reduces energy consumption.

유무선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LED 가로등 제어 시스템 구현 (Development of the LED Street Lamp by using Wired and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 박성욱;엄우용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0호
    • /
    • pp.235-242
    • /
    • 2014
  • LED 조명 제어 기술은 LED 조명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되는 분야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LED 가로등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유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LED 가로등 원격 제어 장치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된 원격 제어 장치는 조도 센서를 이용한 자동 디밍이 가능하고, RS-485/422나 Wi-Fi를 이용하여 LED 가로등을 개별(또는 통합) 제어가 가능하다. 실험을 통해 개발된 원격 제어 장치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지능형 LED 실내조명을 위한 효율적인 제어 시스템 (An Efficient Control Sy7stem for Intelligent LED Indoor Lighting)

  • 홍성일;윤수정;인치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35-243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LED 실내조명을 위한 효율적인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지능형 LED 실내조명을 위한 효율적인 제어 시스템은 스케줄 정의에 의한 조명 스타일과 재실 감지에 의한 조명 스타일에 PIR 센서와 조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주광강도와 같은 요소를 포함시켜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점등제어를 하고 에너지 절감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재실감지에 의한 실내조명 점등제어는 PIR 센서를 사용하여 미세 움직임을 감지하고, 창측과 내측의 불필요한 조명 밝기 제어는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주광의 수준을 측정하여 제어하였으며, 주광 유입량이 많은 경우 창측 조명은 자동으로 어두워지고, 적으면 조명이 자동으로 밝아지도록 설계하였다. 제안하는 지능형 LED 실내조명을 위한 효율적인 제어 시스템의 효율성 검증 결과, 외부 조명이나 주광이 조금이라도 실내로 유입되면 실내조명의 밝기를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효율적인 LED 제어를 위한 다윗 스타 마방진 알고리즘 (A David Star Magic Square Algorithm for Efficient LED Control)

  • 이경민;인치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09-11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LED 조명 모듈의 소비전력 절감, 램프의 수명 및 열효율 과 점등 제어 효율성을 높인 다윗 스타 마방진 이용한 효율적인 LED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다. 기존의 마방진 알고리즘 이용한 점등 방식은 LED의 점등 시간이 줄어들고 교차 점등되기 때문에 그만큼의 발열이 줄어들어 LED의 효율을 높일 수 있었으나 점등 제어를 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할 경우에는 LED 조명 모듈의 소비전력 절감과 수명 및 열효율 높이는 동시에 LED의 점등 제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LED Matrix에 변형 마방진을 이용하여 12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완전대칭 되는 패턴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이동, 회전 및 반전 기법을 교차 수행하여 패턴을 점등을 하게 된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기존의 마방진을 이용한 점등 방식과 비교한 결과, 조명의 광속과 소비전력 그리고 발열량의 효율성은 기존 마방진을 이용한 LED 점등방식과 동일하고 제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새로운 조명기기 점등제어 시스템 (New Lighting Control System for Light Devices)

  • 인치국;윤달환;인치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61-26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LED 가로등의 소비 전력을 줄이고 수명 및 LED 모듈의 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새로운 조명기기 LED 점등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새로운 조명기기 점등제어 시스템은 조도를 측정하여 주변 조도에 따라 4단계로 구분하고 자동 패턴 조명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그리고 단계검사를 통해 완전대칭을 형성하는 마방진 패턴에 교차점등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점등을 하게 된다. 실험분석 결과, 기존의 조명 시스템과 비교하여 발열량과 소비전력이 최대 30%이상 감소되었고 LED의 수명이 최대 60%이상 향상되었기 때문에 LED 가로등에 적용할 경우 안정적이고 높은 에너지 효율성을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