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 lighting

검색결과 962건 처리시간 0.027초

형광등 대체용 LED조명과 CNT조명에 대한 전기적.광학적특성의 비교고찰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ubstitute LED and CNT Lighting for fluorescent lamp)

  • 황명근;임종민;신상욱;노재엽;조미령;이세현;전상규;최석준;이진우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5-20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LED(light emitting diode)조명과 CNT(carbon nano-tube)조명에 대한 전기적인 특성과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여 비교하고 고찰하였다. 특히 IES format 파일을 사용하여 각각의 조명등기구에 대한 LID(luminous intensity distribution) 분석과 조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최대 및 최소, 그리고 평균조도 등을 분석하였다. 향후 LED 및 CNT 신광원은 면조명으로의 관련 기술기준 및 규격의 작성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방송조명용 LED 램프를 위한 플리커 저감 조광방식 (The Dimming Methods of LED Lamps to Minimize Flicker for the Broadcasting Lighting)

  • 김도영;윤장희;염정덕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7권7호
    • /
    • pp.1-7
    • /
    • 2013
  • LED lamps are appropriate to the light source for use in broadcasting lighting. When the lighting frequency of LED lamp is different from the shutter frequency of camera, however, the flicker appears on the moving image which is taken by the camera under the dimmed light of LED lamp with conventional dimming methods. In this study, a new dimming method for the LED lamps used as the broadcasting lighting is proposed to minimize the flicker. A lighting period in the proposed dimming method is divided into the several sub-periods which have weight of the bits. Also, the proposed dimming method has characteristics that are optimizing the turn-on timings of two LED lamps to reduce the turn-off periods of the lamps and not to overlap the turn-on periods of the lamps. In the experiments, the incidence of the flicker is taken by the camera under several lighting conditions of the conventional dimming methods and the proposed dimming method. In addition, the brightness values of the frames are obtained in the moving image, and incidence of the flicker is evaluated and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s. From the results, the incidence of the flicker in the proposed method is more improved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LED 조명용 One-Stage PFC Flyback 컨버터에서의 출력단 리플 저감과 전해 커패시터의 제거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Elimination of the Electrolytic Capacitors and Reduction of the Ripple Current on the Output Node in the One-Stage PFC Flyback Converter for the LED Lighting)

  • 전용성;진달래;나재두;김영석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1권11호
    • /
    • pp.1625-1633
    • /
    • 2012
  • In the lighting industry, a Lighting Emitting Diode (LED) is increasingly used because of many advantages and a eco-friendly product comparing with the conventional lighting. However, the LED lighting has to include various AC/DC converters because the direct current is used for the LED lighting. Among a lot of power converters, the flyback converter is widely used for the LED lighting and includes some electrolytic capacitors for the voltage regulation. But the electrolytic capacitor has shorter lifetime than the LED element. It makes the expected life-time of the converter having the electrolytic capacitor shorter than the LED element. This paper proposes the single-stage PFC flyback converter without electrolytic capacitors.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nverter, simulated and experimental works were carried out.

지능형 LED 실내조명을 위한 효율적인 제어 시스템 (An Efficient Control Sy7stem for Intelligent LED Indoor Lighting)

  • 홍성일;윤수정;인치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35-243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LED 실내조명을 위한 효율적인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지능형 LED 실내조명을 위한 효율적인 제어 시스템은 스케줄 정의에 의한 조명 스타일과 재실 감지에 의한 조명 스타일에 PIR 센서와 조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주광강도와 같은 요소를 포함시켜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점등제어를 하고 에너지 절감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재실감지에 의한 실내조명 점등제어는 PIR 센서를 사용하여 미세 움직임을 감지하고, 창측과 내측의 불필요한 조명 밝기 제어는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주광의 수준을 측정하여 제어하였으며, 주광 유입량이 많은 경우 창측 조명은 자동으로 어두워지고, 적으면 조명이 자동으로 밝아지도록 설계하였다. 제안하는 지능형 LED 실내조명을 위한 효율적인 제어 시스템의 효율성 검증 결과, 외부 조명이나 주광이 조금이라도 실내로 유입되면 실내조명의 밝기를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조명용 LED와 솔라 셀을 이용한 실내 무선광 통신 (Indoor Wireless Optical Communication Using a Lighting LED and a Solar Cell)

  • 이성호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85-29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조명용 LED와 솔라 셀을 사용하여 실내 무선광 통신이 가능함을 보인다. 조명용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면 조명과 신호의 송신을 겸할 수 있으며, 솔라 셀을 수광 소자로 이용하면 조명광을 수신하여 에너지를 축적하는 동시에 신호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통신 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전송이 가능하여 매우 편리하다. 실험에서는 조명용 LED와 솔라 셀을 사용하여 9.6 kbps 속도로 무선광 데이터 전송을 실시하였다.

AC LED의 안정성과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구동용 DRIVER 연구방안 (Research Method of Driving Driver to improv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AC LED)

  • 윤용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05-210
    • /
    • 2020
  • 최근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정부 시책에 힘입어 실용 수준의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 조명기구가 등장하여 보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매우 큰 에너지 절감효과의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실제 LED 조명을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개인을 위주로 하는 사용은 가능하지만, 대형 가로등이나 전체 홈 조명을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효율의 문제, 안정성의 문제, 신뢰성의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전체 조명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DC LED가 가지고 있는 발열 현상 등의 안전상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AC LED가 개발되기는 하였으나 이 또한 기존의 AC Power를 사용해서는 옥외 조명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품질 안전성 및 신뢰성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AC LED에 적합한 Power를 개발 적용하여야 하며 이러한 LED 조명의 등장은 기존 LED 조명이 가지고 있는 한계상황을 타파함과 동시에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절감을 실천할 수 있는 도구로서 그 역할을 해내게 될 것이다.

색상 및 밝기 조절이 가능한 LED 조명 기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ED Lighting System with Adjustable Brightness and Color Capability)

  • 곽성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579-58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색상과 밝기가 조절 가능한 LED 조명 기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조명 기기는 RGB와 백색 LED로 구성되고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된다. 4색 LED를 사용하여 자연계의 거의 모든 색상을 조명 시스템 내에서 표현하도록 하였다. 조명기구의 수명 연장을 위해 LED를 흐르는 전류는 최대값을 넘지 않도록 PWM을 이용한 전류 제어를 실시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여러 개의 색상과 밝기정보를 저장하고 다시 불러올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원하는 조명을 설정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구현된 조명시스템은 전자기적합성 검사 등을 통과하였으며 실제 조명기구 제품으로 사용가능하다.

퍼지 추론을 이용한 실내 운동 및 휴식 상황에서의 LED 감성조명 설계 (Design of a LED Emotional Lighting System for Indoor Exercise and Resting Situations using Fuzzy Inference)

  • 강은영;김효준;박건준;김용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81-187
    • /
    • 2015
  • 본 논문은 LED 조명을 이용한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가 운동 및 휴식을 취할 때 퍼지 추론을 통하여 상황에 최적화된 LED 감성조명 알고리즘을 구현한다. 기존의 단순 색온도 제어보다 퍼지이론을 사용하여 복잡한 조건하에서 색상과 색온도를 사용자 환경에 맞게 LED 광원을 컨트롤 한다.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감성언어의 색상과 온도에 따른 색상의 배합을 통한 퍼지 추론 기반의 LED 감성조명 시스템을 설계한다. 그 결과 색상과 색온도가 사용자의 감성에 좋은 영향을 주어서 휴식 및 운동에 효과적인 감성조명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ATmega128를 이용한 LED 조명 제어보드 구성

  • 장영호;김환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40-443
    • /
    • 2011
  • 본 논문은 LED 조명 환경에서 LED 조명 제어보드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LED 조명 제어보드는 주변 밝기의 변화에 따라 LED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하였으며, 본 논문에서 구성된 LED 조명 제어보드는 8bit 마이크로컨트롤러인 ATmega128을 사용하여 제어 하도록 구성 하였다. LED 제어는 주변 밝기에 따른 CdS 출력값을 입력받아 ADC값을 결정하며, 결정된 ADC값은 LED 드라이버로 입력할 PWM 파형을 결정하게 된다. 이렇게 결정된 PWM 파형에 의해서 LED 조명의 밝기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실내 환경 집중 및 휴식상황에서의 뉴로-퍼지를 통한 LED 감성조명 시스템 설계 (Design of Neuro-Fuzzy LED Emotional Lighting System for Concentration and Resting Situations in Indoor Environment)

  • 강은영;김효준;박건준;김용갑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58-566
    • /
    • 2015
  • 차세대 조명광원인 LED가 급격하게 발전하고 저 전력, 고효율, 장수명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LED를 이용한 조명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LED를 이용하여 감성조명을 구현하게 되면 기존의 단색의 조명과는 다르게 빛의 3원색을 이용한 모든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간의 감정까지 다스릴 수 있는 LED 감성조명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 환경에서의 집중 및 휴식상황에 맞는 색상을 추출하고 사용자가 느끼는 온도의 색상과 배합하여 상황과 온도에 대한 LED 감성조명을 표현하기 위해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그리하여 뉴로-퍼지시스템을 이용하여 설계된 LED 감성조명은 사용자에게 집중 및 휴식에 대한 감성에 효과적인 영향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