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 light quality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9초

스마트폰을 이용한 그린 LED 감성조명 시스템 (A Green LED Sensitivity Lighting System Using Smart Phone)

  • 조면균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03-111
    • /
    • 2012
  • This paper introduces a novel concept of 'A Green LED Sensitivity Lighting System' which can automatically estimate QoS(quality of service) and emotional requirements of user using smart phone. And it can intelligently control ambient illumination lamp to conserve electric energy and to satisfy human sensitivity. The proposed system has 4 control modes; emotional lighting, smart lighting, green lighting and realistic lighting modes in order to comfort man's emotion, to maximize work efficiency, to save energy consumption and to make the entertainment more fun, respectively. When we choose green lighting mode for indoor office situations, an elaborate simulation shows that the proposed system with home network can reduce the energy by 50% compared to conventional light control system with a fixed time-based switching.

Determination of Germination Quality of Cucumber (Cucumis Sativus) Seed by LED-Induced Hyperspectral Reflectance Imaging

  • Mo, Changyeun;Lim, Jongguk;Lee, Kangjin;Kang, Sukwon;Kim, Moon S.;Kim, Giyoung;Cho, Byoung-Kwa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8권4호
    • /
    • pp.318-326
    • /
    • 2013
  • Purpose: We developed a viability evaluation method for cucumber (Cucumis sativus) seed using hyperspectral reflectance imaging. Methods: Reflectance spectra of cucumber seeds in the 400 to 1000 nm range were collected from hyperspectral reflectance images obtained using blue, green, and red LED illumination. A partial least squares-discriminant analysis (PLS-DA) was developed to predict viable and non-viable seeds. Various ranges of spectra induced by four types of LEDs (Blue, Green, Red, and RGB)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the classification models. Results: PLS-DA models for spectra in the 600 to 700 nm range showed 98.5% discrimination accuracy for both viable and non-viable seeds. Using images based on the PLS-DA model, the discrimination accuracy for viable and non-viable seeds was 100% and 99%, respectively Conclusions: Hyperspectral reflectance images made using LED light can be used to select high quality cucumber seeds.

실고사리(Lygodium japonicum (Thunb.) Sw.) 포자발아와 전엽체 발달조건 (Spore Germination and Prothallium Development Conditions of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권혁준;신소림;임윤경;김수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00-406
    • /
    • 2016
  • 본 연구는 실고사리 포자를 이용한 효율적인 증식방법을 마련하기 위해 배지종류, 배양온도, 광질 조건 등 배양환경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포자 발아율과 전엽체 발달은 무기물 함량이 낮은 Knop 배지와 1/8MS, 1/4MS 배지에서 74% 이상으로 높고, 심장형 전엽체로 발달되었다. 그러나 무기물 함량이 가장 적은 Knop 배지에서는 전엽체 노화가 빠르게 진행되었고 1/4MS 배지에서는 전엽체 증식이 다소 느렸다. 온도에 따른 발아율은 배양온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져 30℃에서 86.7%로 가장 우수하였으나, 25℃에 비해 전엽체가 얇고, 가근이 비정상적으로 발달되어 실고사리 포자의 발아적온은 25℃로 규명되었다. 광질에 의한 발아율은 LED red에서 90.6%로 형광등(77.2%)과 LED blue (5.4%)에 비해 높았고, 심장형 전엽체로 발달이 진행되었으나 파종 15일 후에는 전엽체 발달이 감소하고 길어졌다. 반면 형광등에서는 정상적인 심장형 전엽체 발달이 진행되었다.

고효율 LED 방열효과 증대를 위한 융합형 Heat Sink 장치 방열 해석 (A Study on Analysis of Complex Heat Sink System for High Efficiency LED Thermal Effect)

  • 강창수;강기성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8권2호
    • /
    • pp.12-18
    • /
    • 2011
  • 본 논문은 조명용 LED 모듈과 히트싱크 장치의 방열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수치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해석 케이스는 200 W급의 가로등 또는 보안등용 조명장치이며 용도에 따라 장치의 자세가 달라짐을 고려하여 발광면이 정상부를 향하는 경우와 정하부를 향하는 경우로 나누어서 해석이 진행되었고, 또한 발열소자의 체적이 큰 경우와 작은 경우로 나누어 해석하였다. 해석 결과 현재의 히트싱크 형상으로 충분히 LED의 발열량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장치의 자세와 발열소자의 크기에 따라 방열 성능의 차이가 나타남을 조사하였다.

Optical Fiber Daylighting System Combined with LED Lighting and CPV based on Stepped Thickness Waveguide for Indoor Lighting

  • Vu, Ngoc Hai;Shin, Seoyong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0권4호
    • /
    • pp.488-499
    • /
    • 2016
  • We present a design and optical simulation of a cost-effective hybrid daylighting/LED system composed of mixing sunlight and light-emitting diode (LED) illumination powered by renewable solar energy for indoor lighting. In this approach, the sunlight collected by the concentrator is split into visible and non-visible rays by a beam splitter. The proposed sunlight collector consists of a Fresnel lens array. The non-visible rays are absorbed by the solar photovoltaic devices to provide electrical power for the LEDs. The visible rays passing through the beam splitters are coupled to a stepped thickness waveguide (STW) by tilted mirrors and confined by total internal reflection (TIR). LEDs are integrated at the end of the STW to improve the lighting quality. LEDs’ light and sunlight are mixed in the waveguide and they are coupled into an optical fiber bundle for indoor illumination. An optical sensor and lighting control system are used to control the LED light flow to ensure that the total output flux for indoor lighting is a fixed value when the sunlight is inadequate. The daylighting capacity was modeled and simulated with a commercial ray tracing software (LighttoolsTM). Results show that the system can achieve 63.8% optical efficiency at geometrical concentration ratio of 630. A required accuracy of sun tracking system achieved more than ±0.5o . Therefore, our results provide an important breakthrough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large scale optical fiber daylighting systems that are faced with challenges related to high costs.

Development of Colloidal Quantum Dots for Electrically Driven Light-Emitting Devices

  • Han, Chang-Yeol;Yang, Heesun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449-469
    • /
    • 2017
  • The development of quantum dots (QDs)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solar cells, field-effect transistors, and light-emitting diodes (LEDs). Through successful engineering of the core/shell heterostructure of QDs, their photoluminescence (PL) quantum yield (QY) and stability have been dramatically enhanced. Such high-quality QDs have been regarded as key fluorescent materials in realizing next-generation display devices. Particularly, electrically driven (or electroluminescent, EL) QD light-emitting diodes (QLED) have been highlighted as an alternative to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mostly owing to their unbeatably high color purity. Structural optimizations in QD material as well as QLED architecture have led to substantial improvements of device performance, especially during the past decade. In this review article, we discuss QDs with various semiconductor compositions and describe the mechanisms behind the operation of QDs and QLEDs and the primary strategies for improving their PL and EL performances.

토마토 접목묘의 순화과정에서 적색LED광조사가 접목 활착율과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LEDs during Healing and Acclimatization Process on the Survival Rate and Quality of Grafted Tomato Seedlings)

  • 넉탕부;김영식;강호민;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3-49
    • /
    • 2014
  • 본 연구는 토마토 플러그묘의 접목후, 순화과정에서 단기간 광조사 여부가 접목 활착율과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 되었다. 공시 품종으로 'B-Blocking', 'Kanbarune', 'High-Power'의 3종류 대목 품종에 방울토마토 'Choice' 품종을 각각 접목한 뒤, 활착실에서 10일간 적색LED 광조사구와 무처리(대조구)로 나누어 접목 활착율과 묘소질을 조사하였다. 적색 LED 광조사구의 접목 활착율은 대목품종에 관계없이 무처리구에 비해 높았다. 광조사구 접목 활착율은 세 품종 모두 90% 이상으로 품종간의 유의성이 없었으나, 무처리구의 접목 활착율은 35~72% 정도로 품종에 따른 차이가 매우 컸다. 활착기간 중 곰팡이병 이병율도 'Kanbarune'를 제외하고 광조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품종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묘소질은 경경, 엽수, 엽록소 함량을 제외한 모든 생육지표에서 LED광 조사구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처리에 따른 대목 품종간 유의차는 전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지하부 생육에서 평균 근경을 제외한 뿌리 표면적, 전 근장, root tip수는 광조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모든 품종에서 우세하였다.

의료용 Light 모듈 제어를 위한 IoT 클라우드형 미들웨어 플랫폼 구조 연구 (A Study on IoT cloud type middleware platform structure for medical light module control)

  • 이각희;이민우;차재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3권4호
    • /
    • pp.177-180
    • /
    • 2017
  • 최근 전 세계적으로 노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됨에 따라 인체에 무해하고, 치료 시 부담이 적은 방법으로 Light(UV-LED 등)를 사용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일부 분야에서는 국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피부과, 치과, 이비인후과 등 다양한 의료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대다수의 선진국에서는 이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 의료용 Light를 활용한 치료법은 선진국 대비 매우 뒤처져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Light 모듈을 IoT 클라우든 기반 미들웨어 플랫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환자들에게 인체에 무해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하여 제안한다.

LED 조명의 색이 평사 사육 갈색 산란계의 산란성적, 계란 품질 및 혈액과 난관 내 번식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D Light Colors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and Reproductive Hormone Concentrations of Plasma and Oviduct in Brown Laying Hens Housed on Floor)

  • 김희나;고한서;장현수;강유현;서지수;강환구;오상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45-252
    • /
    • 2018
  • 본 연구는 LED 조명의 색(파장)이 평사에서 사육하는 갈색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의 품질, 난황 콜레스테롤, 혈액 및 난관 $17{\beta}$-에스트라디올과 프로게스테론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각각 적색, 청색, 녹색, 백색의 LED 조명색으로 총 4처리를 두었고, 47주령 갈색 산란계 144수를 처리당 4반복(칸), 반복당 9수로 배치한 후 6주간 시험을 진행하였다. 파장이 긴 적색 조명 그룹의 산란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 그룹의 혈중 $17{\beta}$-에스트라디올의 분비 농도도 가장 높았다. 반면 파장이 짧은 녹색 조명 그룹의 산란율이 가장 낮았으나, 난중은 가장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ED 조명의 색은 난각 색, 난각 강도, 호우 유닛(HU)과 난황 내 콜레스테롤 함량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광원으로서 LED 조명의 경우 조명의 색(파장)이 산란 및 번식대사에 비슷하게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미 충분한 성 성숙이 완료되고, 산란율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주령에도 광 자극이 산란 및 번식 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산란성적, 계란 품질, 번식 호르몬 분비를 고려할 때, 평사에서 사육하는 47주령의 갈색 산란계에 적색 LED 조명이 가장 유리하다는 점을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

계사 내 광원이 육계 후기의 생산성, 도체수율, 육질 특성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Sources in Poultry House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Yield, Meat Quality and Blood Components of Finishing Broilers)

  • 홍의철;강보석;강환구;전진주;유아선;김현수;손지선;김찬호;김희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59-167
    • /
    • 2020
  • 본 연구는 계사 내 광원이 육계 후기의 생산성, 육질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시동물은 육계 초생추(42.2±0.1 g) 수컷 240수를 이용하였으며, 3주령부터 광원을 백열등, LED등 및 형광등의 3처리구로 나누고,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20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6주 동안 사육한 후 체중이 유사한 육계(3.4±0.07 kg)의 도체수율과 육질 특성을 조사하고, 혈액 성분을 분석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시판 사료를 육계 초이(CP 22.5%, ME 3,020 kcal/kg), 전기(CP 18.5%, ME 3,050 kcal/kg), 후기(CP 18%, ME 3,100 kcal/kg)로 나누어 이용하였다. 조사항목은 육계의 생산성, 도체수율, 육질 특성 및 혈액성분이었다. 본 연구의 체중,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체중과 도체중은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도체수율은 세처리구에서 각각 77.7%, 78.2% 및 77.5%로 처리구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육색, 전단력 및 보수력은 처리구간 유의차가 없었으나, 가열감량은 LED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pH와 수분, 단백질, 지방 및 회분 함량은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백혈구(leukocyte, WBC)의 구성 성분인 HE, Ly, MO, EO 및 BA와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H/L 비율은 처리구간 유의차가 없었다. 혈액 적혈구(erythrocyte, RBC)의 구성 성분인 Hb, HCT, MCV, MCH 및 MCHC는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액 생화학 조성 중 GLU는 세 처리구에서 각각 234.5 mg/dL, 256.9 mg/dL 및 250.1 mg/dL로 ICD 처리구에 비해 LED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다른 혈액 생화학 성분은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육계 계사의 점등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