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 driving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35초

일체형 LED Package Board의 노이즈 제거 및 간소화된 전원 공급 회로 개발 (Development of the Integral LED Package Board Power Supply Circuits for Noise Cancellation)

  • 유영진;박종찬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0권2호
    • /
    • pp.72-75
    • /
    • 2011
  • In this paper, the voltage across the LED system supplied by positive voltage of power supply system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ED itself, and uses a lot of transformers and analog devices, such as converter startup problems and constant temperature even when the voltage driving abnormally LED current in the destruction caused by the flow of a lot of problems can occur. In this paper, we obtain the technology of consistent current using PWM(pulse width modulation) mode in order to minimize analog devices and eventually discuss the technology to develop consistent output converter using power drive IC.

고휘도 LED 램프의 전원기술 동향 (A Status of Power Supply Technology for High Intensity LED)

  • 한수빈;정학근;정봉만;박석인;유승원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4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2)
    • /
    • pp.906-909
    • /
    • 2004
  • Status of high intensity LED, one of the recent issue in industry is reviewed. In a system view, various power supply methods for multiple array construction are introduced rather than one for single LED. Custom IC for driving LED and different circuit for applications are also considered.

  • PDF

Totem-Pole AC/DC 변환기 구동의 구형파 전류제어형 LED드라이버 (A Squarewave current control LED driver of Totem-Pole AC/DC Converter Driving)

  • 김재섭;;최재호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7-14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LED드라이버의 지속적인 과제인 고역률, 효율개선 및 장수명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체적인 토폴로지는 역률개선 및 출력전류제어의 성능을 자세히 관찰하기 위하여 투 스테이지 토폴로지를 선정하였으며, 1차측은 고 효율을 위하여 Bridgeless타입의 Totem-Pole bridgeless rectifier를 선정하였으며, 2차측은 LED드라이버의 수명을 좌우하는 DC 커패시턴스를 줄이기 위한 전류제어를 하기 위하여 Flyback DC-DC컨버터 토폴로지를 적용하였다. 일반적인 투 스테이지 토폴로지와 본 논문에서 제안한 토폴로지의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하여 성능적인 분석을 통하여 LED드라이버의 효율증대 및 수명증가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 PDF

1.3$\mu\textrm{m}$파장의 GaInAsP/InP 표면 발광형 LED의 제작과 특성 (The fabrication of the 1.3$\mu\textrm{m}$ GaInAsP/InP surface emitting LED and its characteristics.)

  • 박문호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1989년도 제4회 파동 및 레이저 학술발표회 4th Conference on Waves and lasers 논문집 - 한국광학회
    • /
    • pp.172-175
    • /
    • 1989
  • 1.3${\mu}{\textrm}{m}$ surface-emitting GaInAsP/InP LED was fabricated by two-phase supercooling LPE technique. The lattice mismatch of the grown DH wafer was typically 0.03%. The processes involve SiO2 CVD, lithography, Zn diffusion, lift-off, lapping, annealing, and wire bonding. The fabricated LED shows the optical power of 600㎼ at 70mA driving current, differential resistance of 4$\Omega$, the f3dB of 35MHz, and the FWHM of 1040{{{{ ANGSTROM }}. The peak wavelength of the fabricated LED was at 1.29${\mu}{\textrm}{m}$(100mA).

  • PDF

가로등에 적합한 고효율 멀티채널 LED 조명 구동장치 설계 (The Design of High efficiency multi-channel LED light Driver suitable for Streetlamp)

  • 송제호;김환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489-4493
    • /
    • 2014
  • LED 조명 구동장치는 150W 이상에서 효율과 발열문제가 있고 W(와트)수가 다른 조명기기를 교체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채널 LED 조명 구동장치를 드라이버 연동형 구조의 전원시스템과 멀티채널 구조형태의 드라이버 회로내장형으로 설계하였다. 본 개발품은 전원효율 93% 이상 및 역율 0.98 이상의 자동 제어 컨버터 구조로써 드라이버 연동형 구조의 고효율 LED 조명 구동장치와 자기보상방식의 자기최적화 구조의 드라이버다. 따라서, 본 논문은 THD 10% 이하와 기존 컨버터 대비 중량이 40% 이상 감소하였다.

저 전압스트레스 및 다채널 전류 평형을 위한 Floating 전압 스택형 단일스위치 LED 구동회로 (Floating Voltage Stacked LED Driver for Low Voltage Stress and Multi-channel Current Balancing)

  • 황원선;황상수;강정일;한상규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22-129
    • /
    • 2015
  • In this study, we propose a low voltage stress and cost-effective light emitting diode (LED) driver capable of multi-channel current balancing. Conventional LED drivers require as many boost converters as the number of LED channels, whereas the proposed LED driver requires only one buck converter and several balancing capacitors instead of several expensive boost converters. Additionally, while the components of the boost converter have high voltage stress and depend on the LED driving voltage, components of the proposed driver have about one-half of the voltage stress across all components. The proposed driver exhibits high reliability and cost effectiveness because it only uses few DC blocking capacitors with no additional active devices to balance the current of multi-channel LEDs. The proposed driver exhibits high reliability and cost effectivenes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driver is confirmed through a theoretical analysis. An explanation of the design considerations and experimental results were obtained using a prototype applicable to a 46" LED-TV.

방송조명용 LED 램프를 위한 플리커 저감 조광방식 (The Dimming Methods of LED Lamps to Minimize Flicker for the Broadcasting Lighting)

  • 김도영;윤장희;염정덕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7권7호
    • /
    • pp.1-7
    • /
    • 2013
  • LED lamps are appropriate to the light source for use in broadcasting lighting. When the lighting frequency of LED lamp is different from the shutter frequency of camera, however, the flicker appears on the moving image which is taken by the camera under the dimmed light of LED lamp with conventional dimming methods. In this study, a new dimming method for the LED lamps used as the broadcasting lighting is proposed to minimize the flicker. A lighting period in the proposed dimming method is divided into the several sub-periods which have weight of the bits. Also, the proposed dimming method has characteristics that are optimizing the turn-on timings of two LED lamps to reduce the turn-off periods of the lamps and not to overlap the turn-on periods of the lamps. In the experiments, the incidence of the flicker is taken by the camera under several lighting conditions of the conventional dimming methods and the proposed dimming method. In addition, the brightness values of the frames are obtained in the moving image, and incidence of the flicker is evaluated and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s. From the results, the incidence of the flicker in the proposed method is more improved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열화특성을 고려한 LED 조명의 구동회로 설계 (Design of LED Driving Circuits to Detect Degradation Characteristics)

  • 이미영;이우희;이준하;이흥주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5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81-83
    • /
    • 2005
  •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기존에 전자회로 부품으로 사용되던 LED(Light Emitting Diode)는 차세대 조명용 광원으로 대두되고 있다. LED는 소비전력이 작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명이 길어 유지보수 비용이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현재 신호등과 같은 지시용 조명기기를 대체할 광원으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LED는 자체적인 발열은 적지만 주변온도에 민감하게 광도가 변화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높은 온도는 LED의 수명에도 영향을 미쳐 열화를 빨리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정전류제어를 통해 LED의 전류를 일정하게 하고 온도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광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전류 구동회로에 열화로 인한 LED의 수명의 연장하기 위해 온도변화에 따라 LED의 구동전류와 일정한 광출력을 유지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제어회로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SMPS 구동 대형교통 신호용 LED 신호등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LED Signal Lamp Driving by SMPS for Large-scale Traffic Signal)

  • 신현용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643-6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공항, 철도, 항만 등 대형 교통수단의 표시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SMPS에 의하여 구동되는 LED 신호등을 설계하고 제작된 LED 신호등의 전기적 특성과 EMI 특성을 조사하였다. 10V 이상의 교류 및 직류입력전압에 대한 출력전류는 1.67A이었다. 0.15~30MHz에서 측정한 잡음단자전압은 허용기준 준첨두치와 허용기준 평균치 보다 낮았으며, 30~1000MHz에서 측정한 잡음전계강도는 59.96MHz에서 $23.96dB{\mu}V/m$이었다.

고출력 LED 모듈 역률 개선 방법 연구 (A Study on Methodology to Improve the Power Factor of the High Power LED Module)

  • 노영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35-340
    • /
    • 2014
  •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제어방식이 정 전류구동과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방식으로 구동하므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고 전력 소모가 적으며 효율이 높아 광원 및 조명장치에 활용하는데 유용하다. LED 생산업체는 고출력 LED 모듈의 칩 설계 원천기술의 확보가 필요하고, LED 를 조명으로 적용시키기 위해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는 고출력 LED 모듈 개발을 위한 구동회로 설계와 역률 개선의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 산업현장에서 교류(AC) 직결 LED 구동소자인 HV9910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HV9910에 PFC와 Noise Filter를 추가한 구동회로의 역률 및 효율에 대한 개선방법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는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