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 Indicator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7초

미래신호 탐지 기법을 활용한 위성산업 시장의 진입 전략 수립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a Market Entry Strategy for the Satellite Industry Using Future Signal Detection Techniques)

  • 김세형;박재형;이한솔;강주영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3호
    • /
    • pp.249-265
    • /
    • 2023
  • 우주 산업은 세계적으로 잠재력이 높은 산업 분야로 여겨지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글로벌 시장에 비해 비교적 관심이 저조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최근 위성산업은 전통적인 정부 주도의 산업에서 벗어난 민간 주도의 '뉴스페이스(New Space)' 패러다임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위성산업 관련 민간 기업의 시장 진입 전략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미래의 신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래신호 이론과 Keyword Portfolio Map 등의 이론적 배경을 활용하여, 키워드 성장률과 키워드 등장 빈도 등을 바탕으로 특허 문서 데이터 내 키워드 잠재력을 분석한다. 또한, 뉴스 데이터를 추가로 수집하여 미래신호를 각각 first symptom, early information으로 구분하였다. 이는 해당 키워드가 특허문서 이외에 어떻게 실질적인 잠재력을 드러내는지에 대한 해석적 지표로 활용된다. 본 연구는 미래신호 탐색을 위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 과정을 수록하였고, 키워드 맵의 시각화 자료를 통해 어떤 형태로 활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시각화함으로써 수집된 문서의 각각의 키워드가 약신호에서 강신호로 발전하는 과정을 추적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록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은 기존 미래신호에 관한 연구의 방법론적인 기여와 활용 범위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고, 결과물은 위성 산업에서의 신산업 기획 및 연구 방향성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호소의 취약성 평가 (Lake Vulnerability Assessment)

  • 김응석;윤기용;이승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877-6883
    • /
    • 2014
  • 지속적인 사회발전으로 인하여 호소의 수질오염이 악화되고 있다. 호소의 특성 및 유역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수질오염에 따른 호소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이용하여 호소 취약성-탄력성지수(LVRI)를 산정하였다. 금강 수계의 6개 호소에 대하여 취약성평가로 분류되는 3개의 주요 인자인 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을 대표하는 총 11개 세부평가항목들은 선정하였다. 또한, 엔트로피(Entropy) 방법에 의한 가중치를 산정하여 호소 취약성-탄력지수를 산정하였다. 제안된 호소의 취약성 평가방안의 활용성 검토를 위해 가중치 적용 유 무에 따른 취약성 우선순위를 비교 검토하였다. 본 논문에서 선정된 호소의 취약성 우선순위는 장지적인 수질분석 및 수질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시간 영역 벌크 지표에 기반한 한국어 모음 'ㅜ'의 음성 인식 (Speech Recognition of the Korean Vowel 'ㅜ' Based on Time Domain Bulk Indicators)

  • 이재원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591-600
    • /
    • 2016
  • 네트워크와 컴퓨팅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이 생활하는 거의 모든 일상 환경에 컴퓨팅 기술의 접목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사물 인터넷에 대한 관심이 급속히 증대되면서, 음성 인식은 중요한 HCI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본 논문은 음소 기반 한국어 음성 인식 시스템의 일부로서, 한국어 모음 'ㅜ'에 대한 새로운 인식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분석 대신, 시간 영역에서 계산한 벌크 지표를 분석하여 동작하므로, 계산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벌크 지표를 사용하여 모음 'ㅜ'의 전형적인 파형 패턴들을 탐지하기 위한 네 가지 요소 알고리즘을 제시하며, 이를 결합하여 최종적인 판별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방식이 90.1%의 인식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인식 속도는 어절 당 0.68 msec이다.

시간 영역 파형 패턴에 기반한 한국어 모음 'ㅗ'의 음성 인식 (Speech Recognition of the Korean Vowel 'ㅗ' Based on Time Domain Waveform Patterns)

  • 이재원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583-590
    • /
    • 2016
  • 최근 일상적인 인간 생활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사물 인터넷에 대한 관심이 급속히 증대되면서, 음성 인식은 중요한 HCI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더불어, 모바일 환경에서의 음성 인식 시스템에 대한 수요 또한 급속히 증대되고 있다. 모바일 환경을 위한 서버 기반의 음성 인식 시스템은 대체로 빠른 속도와 높은 인식률을 보이고 있지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단어를 단위로 하여 인식을 수행하므로,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서버에서의 많은 계산량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음소 기반 한국어 음성 인식 시스템의 일부로서, 한국어 모음 'ㅗ'에 대한 새로운 인식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분석 대신, 시간 영역에서의 파형 패턴에 기반하여 동작하므로, 계산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모음 'ㅗ'의 전형적인 파형 패턴들을 탐지하기 위한 요소 알고리즘들을 제시하며, 이를 결합하여 최종 판별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방식이 89.9%의 인식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oastal sand dune plants and edaphic factors in a coastal sand dune system in Korea

  • Hwang, Jeong-sook;Choi, Deok-gyun;Choi, Sung-chul;Park, Han-san;Park, Yong-mok;Bae, Jeong-jin;Choo, Yeon-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9권1호
    • /
    • pp.17-29
    • /
    • 2016
  • We conducted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coastal sand dune plants and edaphic factors from the shoreline to inland in sand dune ecosystem. The application of TWINSPAN classification based on 10 species, led to the recognition of three vegetative groups (A-C), which associated with their habitats (foredune, hummuck in semistable zone and stable zone). The associations were separated along soil gradient far from the seash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pecies composition and environmental gradients were explained by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Distance from the shoreline was an important indicator to determine soil properties (pH, total ion contents, sand particle sizes, organic matters and nitrogen contents) from the seaward area to inland area and distribution pattern of coastal sand dune plants. Group A is foredune zone, characterized by Calystegia soldanella; group included typical foredune species such as Elymus mollis, Carex kobomugi, Ixeris repens, C. soldanella and Glehnia littoralis. Group B on semi-stabilized zone was characterized by Vitex rotundifolia, a perennial woody shrub. This group was associated the proportion of fine sand size (100 to 250 μm). The results on the proportion of soil particle size showed a transition in sand composition,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the proportion of fine sand size that occurred from the foredune ridge at 32.5 m to the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at 57.5 m from the shoreline. Group C on stabilized zone was characterized by Zoysia macrostachya, Lathyrus japonicus and Cynodon dactylon and were associated soil organic matter and nitrogen content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lants in the Goraebul coastal sand dune system may result from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plant species and environmental heterogeneity.

Real-time Intelligent Exit Path Indicator Using BLE Beacon Enabled Emergency Exit Sign Controller

  • Jung, Joonseok;Kwon, Jongman;Jung, Soonho;Lee, Minwoo;Mariappan, Vinayagam;Cha, Jae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6권1호
    • /
    • pp.82-88
    • /
    • 2017
  • Emergency lights and exit signs are an indispensable part of safety precautions for effective evacuation in case of emergency in public buildings. These emergency sign indicates safe escape routes and emergency doors, using an internationally recognizable sign. However visibility of those signs drops drastically in case of emergency situations like fire smoke, etc. and loss of visibility causes serious problems for safety evacuation. This paper propose a novel emergency light and exit sign built-in with Bluetooth Low Energy (BLE) Beacon to assist the emergency self-guiding evacuation using devices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o avoid panic condition inside the buildings. In this approach, the emergency light and exit sign with the BLE beacons deployed in the indoor environments and the smart devices detect their indoor positions, direction to move, and next exit sign position from beacon messages and interact with map server in the Internet / Intranet over the available LTE and/or Wi-Fi network connectivity. The map server generate an optimal emergency exit path according to the nearest emergency exit based on a novel graph generation method for less route computation for each smart device. All emergency exit path data interfaces among three system components, the emergency exit signs, map server, and smart devices, have been defined for modular implementation of our emergency evacuation system. The proposed exit sign experimental system has been deployed and evaluated in real-time building environment thoroughly and gives a good evidence that the modular design of the proposed exit sign system and a novel approach to compute emergency exit path route based on the BLE beacon message, map server, and smart devices is competitive and viable.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지역문화축제의 수익성 모형 개발 연구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Developing the Profitability Model of Local Cultural Festivals)

  • 최락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229-239
    • /
    • 2011
  • 본 연구는현재 각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지역문화축제가 관주도의 연례행사로서 이루어지는 폐해를 극복하고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보다 효과적인 홍보와 마케팅을 연계한 외부 관광객의 참여를 유도하여 지역문화의 구심점이 될 수 있는 지역문화축제의 수익성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축제는 그 이름만으로 매력적이고 사람들에게 흥겨움과 호기심을 불어넣을 수 있지만, 축제행사가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행사로 유지 확대 발전하기 위해서는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품질에 도달할 수 있는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 각 지역에서 많은 위험(리스크)을 안고서도 집행될 수밖에 없는 지역축제의 서비스 특성을 고려하여 수익 창출을 실현하는 수익성 모형을 개발하여 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와 자료 및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포도밭에 대한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해석 (Analysis of Nonpoint Sources Runoff Characteristic for the Vineyard Areas)

  • 윤영삼;이상협;유재정;이재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61-372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runoff by rainfall type in orchard areas for two years. Effluents were monitored to calculate the EMCs and runoff loads of each pollutant. The runoff characteristics for nonpoint sources from vineyards were also inspected based on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runoff such as rainfall and rainfall intensity. The average runoff loads of each pollutant from vineyard_A and vineyard_B were found as follows: BOD 39.13 mg/$m^2$, COD 112.13 mg/$m^2$, TOC 54.98 mg/$m^2$, SS 1,681.8 mg/$m^2$, TN 18.29 mg/$m^2$, and TP 4.06 mg/$m^2$, which indicates that the COD's runoff load was especially high. The average EMCs from vineyard_A and vineyard_B, which represents the quality of rainfall effluent, were also analyzed: BOD 3.5 mg/L, COD 11.5 mg/L, TOC 5.2 mg/L, SS 211.7 mg/L, TN 1.774 mg/L, and TP 0.324 mg/L. This suggested that the COD, as an indicator of organic pollutants, is high in terms of EMCs as well. As rainfall increased, the EMCs of BOD, COD, TOC and SS kept turning upward. At a point, however, the high rainfall brought about dilution effects and began to push down the EMCs. Higher rainfall intensities led to the increase in the EMCs that displays the convergence of rainfall. Low rainfall intensities also raised pollutant concentrations, although the concentrations themselves were slightly different among pollutants.

Estimation of CH4 oxidation efficiency in an interim landfill cover soil using CO2/CH4 ratios

  • Park, Jin-Kyu;Lee, Won-Jae;Ban, Jong-Ki;Kim, Eun-Cheol;Lee, Nam-Hoo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91-197
    • /
    • 2015
  •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applicability of the $CO_2/CH_4$ ratio method in order to assess $CH_4$ oxidation efficiency. To achieve this objective, a comparison between $CO_2/CH_4$ ratios and the mass balance method was conducted. The second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CH_4$ oxidation efficiency in an interim landfill soil cover and assess how a $CH_4$ influx influences the $CH_4$ oxidation efficiency. The results showed that despite the $CO_2$ problems brought by respiration, the $CH_4$ oxidation efficiencies obtained by the $CO_2/CH_4$ ratio method led to similar results compared to the mass balance method. In this respect, the $CO_2/CH_4$ ratio method can be an indicator of the $CH_4$ oxidation efficiencies for landfill cover soils. The $CH_4$ oxidation efficiencies derived in this study through the $CO_2/CH_4$ ratio method ranged between 46% and 64%, and between 41% and 62% through the mass balance method. The results imply that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s (IPCC) default value of 10% for the $CH_4$ oxidation efficiency is an underestimation for landfill cover soils. $CH_4$ oxidation efficiency tends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_4$ influx. Therefore, $CH_4$ influx reaching a landfill cover should be limited in order to increase the $CH_4$ oxidation efficiency.

취업률 향상에 기여하는 공학인증 시스템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perating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System to Contribute to Improving Rate of Employment)

  • 손호재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45-52
    • /
    • 2016
  • The employment rate of a college has long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college survival strategies. Employment rates may not be key to colleges' survival in other countries, but they are fundamental to colleges in Korea as seen in the Korean government-le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which has been underway since its introduction to colleges in Korea. Against this backdrop, if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system can contribute to improving employment rate in this context, it can take root more quickly. The process conducive to improving employment rates can be classified as both direct and indirect methods. With dwindling school-age population having impacts o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environment and the education directions of colleges have rapidly been shift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NCS. Therefore, various survival strategies for colleges need to be developed. An indicator of employment rate of college graduates is among the most important things during this transition process.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at Koje College has consistently shown good records during the past 5 years by matching the accreditation schemes and employment strategies. The department will help put in place the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at the college through its various innovative and effective programs. To formulate a better employment strategy, it is needed to reflect and consolidate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scheme into the existing employment policy of college. In short, this paper examines both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scheme and the employment policy in ways that helps produce a coupling matrix structure. This study looks into the measures for improving employment rates by better adjusting the engineering education methods under the accreditation sche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