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 (Light Emitting Diode)

검색결과 848건 처리시간 0.035초

16칩 LED 패키지에서 칩 크기에 따른 방열특성 연구 (Study on the Thermal Dissipation Characteristics of 16-chip LED Package with Chip Size)

  • 이민산;문철희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85-192
    • /
    • 2012
  • Light Emitting Diode (LED) 칩의 크기는 전도를 통한 열의 방출에 있어 면적의 확대로 인한 열 밀도의 감소와 칩의 외부양자효율 변화로 인하여 LED 칩의 p-n 정션 온도와 패키지의 열 저항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16칩 LED 패키지에서 칩의 크기가 0.6 mm와 1 mm인 두 가지 경우에 대하여 순전압(forward voltage)을 측정하였고, 순간열분석법(thermal transi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정션 온도와 열 저항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LED 칩의 전기적인 특성과 LED 패키지의 구조적인 특성과 연관하여 해석하였다.

LED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알고리즘 (Data Transmission Algorithm for LED Communication Systems)

  • 김경호;황유민;김진영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44-49
    • /
    • 2013
  • LED 통신은 LED(Light Emitting Diode)에서 나오는 가시광선을 이용해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통신기술로 RF(Radio Frequency) 통신의 문제점인 주파수 할당, 인체 내 유해성, 보안의 취약성, 전자기기 간 간섭 등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이다. LED를 이용하여 조명과 통신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융합 기술로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LED, PD(Photodiode) 및 MCU(Micro Controller Unit)를 이용한 LED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구현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Analysis on the Luminous Efficiency of Phosphor-Conversion White Light-Emitting Diode

  • Ryu, Han-Youl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7권1호
    • /
    • pp.22-26
    • /
    • 2013
  • The author analyzes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phosphor-conversion white light-emitting diode (LED) that consists of a blue LED chip and a yellow phosphor. A theoretical model is derived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luminous efficiency (LE) of a white LED, wall-plug efficiency (WPE) of a blue LED chip, and the phosphor absorption ratio of blue light. The presented model enables to obtain the theoretical limit of LE and the lower bound of WPE. When the efficiency model is applied to the measured results of a phosphor-conversion white LED, the limit theoretical value of LE is obtained to be 261 lm/W. In addition, for LE of 88 lm/W at 350 mA, the lower bound of WPE in the blue LED chip is found to be ~34%. The phosphor absorption ratio of blue light was found to have an important role in optimizing the luminous efficiency and colorimetric properties of phosphor-conversion white LEDs.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을 이용한 녹조 구멍갈파래(Ulva pertusa)의 생장 (Growth of Ulva pertusa Kjellman (Chlorophyta, Ulvophyceae) by a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 Source)

  • 권천중;최창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71-574
    • /
    • 2013
  • To determine an efficient growth system for algal cultivation and to develop adequate culture system utilizing LED light,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luorescent and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 source on the growth of Ulva pertusa. U. pertusa was cultured at $17^{\circ}C$ under a light intensity of 35 ${\mu}mol$ photons $m^{-2}s^{-1}$ and a 10L:14D photoperiod using either fluorescent or LED lamps. After 1 week of incubation under the same environmental condition, the length and width of Ulva pertusa grown under LED light were 1.5- and 1.9-fold greater, respectively, than the length and width of algae grown under fluorescent light. After two weeks, length and width were 2.6- and 2.0-fold greater, respectively, in algae grown under LED light. Total length and width of Ulva pertusa after three weeks of incubation were 1.7- and 1.2-fold greater in algae grown under LED light than those grown under fluorescent light. Therefore, the LED light induced significantly higher growth of Ulva pertusa than fluorescent light.

다공성 실리콘을 이용한 LED의 발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Light Emitting Diode with Porous Silicon)

  • 이성훈;이치우
    • 전기화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9-43
    • /
    • 2000
  • n형 실리콘으로 제조한 다공성 실리콘을 이용하여 Light-emitting diode(LED)를 제작하고, LED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전극 물질들을 변화시켰을 때 나타나는 LED의 전류 대 전압의 특성과 공급되어지는 전류의 세기에 따른 전계 발광 (Electroluminescence: EL) 세기의 변화를 관찰하고, 일정 전위에 대한 EL 세기의 시간 의존도를 여러 전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전극 물질과 다공성 실리콘층(Porous Silicon Layer: PSL)의 접촉 면적을 넓혀주기 위해서 In을 PSL 위에 전기 화학적으로 전착시켰을 때 나타나는 LED의 전기적 특성과 EL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LED 트랩을 이용한 온실내 배추좀나방에 대한 유인효과 (Attractive Effects Efficiency of LED Trap on Controlling Plutella xylostella Adults in Greenhouse)

  • 박준환;이상민;이상계;이회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3호
    • /
    • pp.255-257
    • /
    • 2014
  • 배추좀나방에 대한 light emitting diode (LED) 트랩의 시설재배지내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LED 트랩의 유인활성을 광원이 장착되지 않은 no light 트랩과 상업적 대조구인 black-light 트랩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green LED 트랩에서 가장 높은 유인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상업적 대조구로 사용된 black-light의 경우 광원이 설치되지 않은 no light와 비교하여 유인활성을 나타내었으나 green LED 보다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green LED 트랩이 시설재배지내에서 친환경적 해충방제법으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ermal Characteristics: Gap of LED Devices and LED's Lighting Application

  • Liu, Muqing;Zhang, Wanlu;Zhu, Xiaojing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347-1348
    • /
    • 2008
  • The efficacy and its degradation of light emitting diode(LED) are related to its PN junction's temperature(Tj). Currently efficacy in certain temperature and thermo-resistant are defined for the depending. However, the definitions are quite inconvenient for lighting application. The paper focuses on the issue and presents a method to evaluate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LED efficay.

  • PDF

An Estimation Method for the Efficiency of Light-Emitting Diode (LED) Devices

  • Tao, Xuehui;Yang, Bin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6권2호
    • /
    • pp.815-822
    • /
    • 2016
  • The efficiency of light-emitting diode (LED) devices is a significant factor that reflects the capability of these devices to convert electrical power into optical power. In this study, a method for estimating the efficiency of LED devices is proposed. An efficiency model and a heat power model are established as convenient tools for LED performance evaluation. Such models can aid in the design of LED drivers and in the reliability evaluation of LED devices. The proposed estimation method for the efficiency and heat power of LED devices is verified by experimentally testing two types of commercial LED devices.

티크의 기내 줄기 생장 및 발근에 미치는 LED (light-emitting diode) 효과 (Effect of light-emitting diode (LED) on in vitro shoot growth and rooting in teak (Tectona grandis L.))

  • 이나념;김지아;김용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291-296
    • /
    • 2019
  • 본 연구는 티크의 기내 생장 및 발근에 미치는 light-emitting diode (LED)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티크의 정아 절편체의 줄기 신장은 LED 혼합광(BR, 50% 청색광 + 50% 적색광) 하에서 DKW 배지 배양 시 3.2 cm로 가장 좋았고, 줄기유도는 광원 및 배지(MS 및 DKW) 효과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BA 농도 처리 시 최대 줄기 유도는 BR 광원 및 1.0 mg/L 처리구에서 2.4개, 최대 줄기 신장은 BR 및 0.5 mg/L 처리구에서 4.94 cm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발근에 영향하는 IBA 농도 효과는 정아 절편체를 BR 및 0.5 mg/L 처리구에서 배양 시 최대 발근율(93.8%)과 최대 뿌리 길이 신장(1.3 cm)을 보였고, 뿌리 수는 0.2 mg/L (3.1개/절편)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근 식물체는 상토로 이식 후 순화 과정을 거쳐 정상적은 생장을 보였다.

브라켓 접착시 광중합방식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 비교 (The shear bond strength and adhesive failure pattern in bracket bonding with different light-curing methods)

  • 신재호;임용규;이동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33-342
    • /
    • 2004
  • 기존의 가시광선 중합기와 비교해서 plasma are light와 LED) 방식의 중합기를 이용해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접착한 후 탈락시키는 실험을 시행해 각각의 중합방식별로 전단결합강도와 접착파절양상을 비교함으로써 임상에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해 발거한 상, 하악 소구치 60개를 윈통형의 레진블록에 매몰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광중합형 접착레진인 Transbond XT를 이용하여 광중합 방식별로 조건(가시광선 중합기는 40초, LED방식의 중합기는 20춘, 그리고 plasma arc light 방식의 중합기는 3초)에 따라 브라켓을 접착한 후 만능물성실험기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브라켓 기저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해 접착파절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시광선 중합방식과 LED 중합방식으로 중합시킨 군간에 전단결합강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지만 plasma arc Light방식으로 중합시킨 군은 앞의 두 군에 비해 유의성이 있게 작은 간을 나타내었다(p>0.05). 2. 가시광선 중합방식으로 중합한 군과 LED방식을 이용한 군에서는 파절양상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두 군 모두 잔류접착제가 치아면에만 있는 경우가 제일 적은 비율을 도였으며 브라켓 기저면에 50% 이상의 집착제가 남아 있는 양상이 더 큰 비율을 보였다. 3. Plasma arc light 로 중합시킨 경우에는 접착제가 브라켓 기저면에 50% 이하로 남아있는 양상이 큰 비율로 나타났으며 잔류 접착제 전체가 치아면에 남아 있는 경우는 15%였다. 이상의 실험결과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중합 방식이 가시광선이나 LED 방식을 이용한 중합 방식에 비해 유의성 있게(p>0.05) 낮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세 방식 모두 인상적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전단결합강도를 보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