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검사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41초

LCD 구동 모듈 PCB의 자동 기능 검사를 위한 Emulated Vision Tester (Emulated Vision Tester for Automatic Functional Inspection of LCD Drive Module PCB)

  • 주영복;한찬호;박길흠;허경무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11-21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LCD 구동 모들 PCB의 기능 검사를 위한 자동 검사시스템인 EVT(Emulated Vision Tester)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기존의 대표적인 자동검사 방법으로는 전기적 검사나 영상기반 검사방식이 있으나 전기적 검사만으로는 Timing이 주요한 변수가 되는 LED 장비에서는 검출할 수 없는 구동불량이 존재하며 영상기반 검사는 영상획득에 일관성이 결여되거나 Gray Scale의 구분이 불명확하며 검출결과의 재현성이 떨어진다. EVT 시스템은 Pattern Generator에서 인가된 입력 패턴 신호라 구동모듈을 통한 후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직접 비교하여 패턴을 검사하고 아날로그 신호 (전압, 저항, 파형)의 이상 여부도 신속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H/W적인 방법이다. 높은 검출 신뢰도와 빠른 처리 속도 뿐만 아니라 간결한 시스템 구성으로 원가절감 실현 등 많은 장점을 가진다.

  • PDF

병원성세균에 대한 5-Aminolevulinic Acid로 중재된 광역학치료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5-Aminolevulinic Acid Mediated Photodynamic Therap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권필승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73-27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630 nm light emitting diode (LED)와 광감작제인 5-aminolevulinic acid (ALA)를 이용하여 병원균에 대한 광역학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1.5×104 cells/mL의 세균 현탁액을 ALA 농도의 10, 5, 2.5, 1.25, 0.625 mg/mL로 희석하여 30분간 배양 후 LED (energy density 18 J/cm2 )빛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P. aeruginosa 에서는 광감작제를 처리하지 않은 군과 LED 빛만을 쬔 것은 각 평균 415, 245개가 형성되었다. 이에 반해 광역학 치료군인 ALA의 농도 10, 5, 2.5, 1.25 mg/mL에서 평균 109, 225, 297, 285개의 집락이 형성되었다. E. faecalis에서는 대조군인 광감작제를 처리하지 않은 군은 평균 8,750개의 집락을 형성하였고 빛만 쬔 군은 평균 8,000개의 집락을 형성하였다. 이에 반해 광역학 치료군인 ALA의 농도 5, 2.5, 1.25, 0.625 mg/mL 에서 평균 0, 2350, 4825, 7475개의 집락이 형성되었다. 결론적으로 그람음성균이 P. aeruginosa 보다 E. faecalis에서 더 좋은 광역학 치료효과를 보였으며, ALA와 630 nm LED를 이용한 광역학 치료의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라다클로린으로 매개된 광역학치료에 의한 백색 캔디다 바이오필름의 비활성 (Inactivation of Candida albicans Biofilm by Radachlorin-Mediated Photodynamic Therapy)

  • 권필승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73-278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임상 Candida albicans의 바이오필름억제을 위한 Rhadachlorin과 적색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역학치료의 체외적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Candida albicans 부유액을 $9{\times}10^8CFU/mL$을 5% 당이 함유된 YNB배지에 준비하였다. Candida albicans의 바이오필름은 96웰 플레이트에 100 uL씩 분주후 3시간 배양하고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각 웰에 $50{\mu}g/mL$ 부터 $0.39{\mu}g/mL$ 농도로 Rhadachlorin을 부착된 세포위에 처리하였다. 30분간 배양 후 빛을 30, 60, 90분을 630 nm 광원의 LED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이때 각각의 에너지밀도는 14, 29, $43J/cm^2$이였다. 모든 상층액을 제거후에 건조시켰다. 부착된 세포를 safranin O로 염색하였다. 490 nm 파장으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광감작제포화에 의해 Candida albicans의 형광시그널을 관찰하였다. 결론적으로 확연한 억제는 Rhadachlorin의 농도 $50{\mu}g/mL$과 630 nm LED치료에서 Candida albicans의 바이오필름의 72.5%가 감소되었다. 또한 광감작제 Rhadachlorin은 Candida albicans의 30분에서 충분한 축적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이 결과들은 바이오필름형성의 억제는 Rhadachlorin의 농도에 의존되었다. 이 결과들은 Rhadachlorin과 630 nm LED의 광역학치료는 Candida albicans의 바이오필름 억제가 가능한 것으로 제의된다.

Integrated Machine Vision을 이용한 LED Die Bonder 검사시스템 (LED Die Bonder Inspection System Using Integrated Machine Visions)

  • 조용규;하석재;김종수;조명우;최원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624-2630
    • /
    • 2013
  • LED 칩 패키징에서 다이 본딩은 분할된 칩을 리드 프레임에 고정시켜 칩이 이후 공정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는 중요한 공정이다. 다이본딩 공정 중에서, 측정 단계는 정확한 에폭시 토출 위치 지정과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접합할 수 있도록 다이가 정확한 위치에 놓여있는지 상태를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LED 다이 본딩을 위한 머신 비전 기반의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에서 에폭시 토출과 어태칭 상태 검출을 위해 각각 2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였다. 제안된 측정 시스템에 새로운 비전 알고리즘을 적용하였고, 실험을 통해 본 알고리즘의 효율을 검증하였다. 비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측정된 위치 오차는 $X:-29{\mu}m$, $Y:-32{\mu}m$, 회전오차는 3도 이내 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제안된 머신 비전 기반의 측정 시스템을 통해 개발된 다이 본딩 시스템의 향상된 성능을 확인하였다.

고휘도 LED를 이용한 머신비전용 조명광원 제어기 개발 (Using High Brightness LED Light Source Controller for Machine Vision)

  • 박양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311-318
    • /
    • 2014
  • 본 논문은 의료영상시스템, 공장자동화 시스템에서 핵심기술인 정확한 검사와 계측을 위하여 보다 선명하고 안정정인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으로 고휘도 LED를 이용한 조명광원의 제어기를 개발하였다. 고휘도 LED 전용드라이버를 장착하여 정전류 방식으로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계하고, 32비트 ARM 프로세서 코어를 사용하여 화상처리 시 필수적인 요소인 광량을 256단계로 나누어 리모트 컨트롤 및 외부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하여 볼륨의 저항 값 오차로 인하여 발생되는 밝기 값의 부정확을 방지하고 디지털화함으로써 빛의 재현성을 개선하였다. 아나로그 전원에 비하여 조광 범위가 넓고 낮은 레벨에서도 조광이 가능하도록 설계 하였으며 또한 RS-485 통신기능을 추가하여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가 광량조절 및 ON/OFF 제어가 가능하도록 개발 하였다.

콘택트렌즈 회전량 검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ction of Axis-Rotation in Contact Lenses)

  • 이동희;김정희;차정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55-259
    • /
    • 2005
  • 난시 교정용 콘택트렌즈 착용 시 렌즈의 축 방향을 정확하게 하지 않을 경우이거나, 착용 후 순목 시 안검 등에 의해 콘택트렌즈가 회전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이 있을 경우 완전교정상태가 잘못 교정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안정피로를 유발하여 시력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콘택트렌즈가 어느 정도 회전했는지의 파악이 필요하다. 콘택트렌즈가 회전했다면 착용 후 굴절검사에서 잔류 난시가 검출될 것이다. 이것을 이용해서 우리는 콘택트렌즈의 회전량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혈뇨를 보이는 고양이의 편측성 신장이형성 증례 (Suspected Unilateral Renal Dysplasia in a Cat with Intermittent Hematuria)

  • 한재익;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1-93
    • /
    • 2015
  • 6개월령의 중성화 수컷 고양이가 3일전 관찰된 간헐적인 혈뇨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 및 실험실 검사 결과 특이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초음파 검사 결과 복부 중간부분에서 $2{\times}2cm$ 크기의 분리된 낭성 병변이 확인되었다. 병변 내부 물질의 세포학적 검사 결과 다량의 콜레스테롤 결정과 대식구 주종의 육아종성 염증반응이 확인되었다. CT검사에서 낭성 병변은 복부 좌측에 위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환자는 편측성(좌측) 신장 이형성 및 콜레스테롤 결정에 의한 낭 내 염증으로 진단하였다.

임신진단검사기술의 발전사 (Development History of Pregnancy Test Technology)

  • 권영일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82-390
    • /
    • 2018
  • 임신진단검사는 고대 이집트에서 밀과 보리를 이용한 발아시험으로 시작하였다. 이후 Hippocrates와 Galen을 거쳐 uroscopy를 활용하던 중세를 넘어 1800년대 초반까지도 비과학적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1800년대 중반 이후 과학적 실험방법과 근거들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임신의 생리학적 특성에 대한 과학적 연구들이 시작되었다. 이와 같은 과학적 연구결과를 활용하려는 최초 시도는1927년 Aschheim와 Zondek의 rat와 mouse를 이용한 bioassay로 시작되었고, 이후 토끼와 개구리를 이용하는 실험으로 발전하였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면역검사방법은 bioassay의 문제점을 개선하면서 임신진단검사를 일반화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1976년에는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임신진단키트가 출시되어 임신진단을 대중화하는데 기여하였다. 1980년대 이후 진단검사의 기술적 진보는 임신진단검사에도 활용되어 임신진단의 검사신뢰도는 더욱 향상되었으며, 2000년대에는 가정용 임신진단키트의 정확도와 사용편리성이 혁신적으로 향상되었다. 본 조사에서는 임신진단검사의 역사와 과학적 발전과정을 고찰하였다.

스마트 LED 가로등을 위한 고속 전력선 통신 기반 자동제어 시스템 (High Speed PLC-based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Smart LED Streetlight)

  • 김영숙;인치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95-10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LED 가로등을 위한 고속 전력선 통신 기반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자동제어 시스템은 고속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속 통신 주파수 대역과 가로등 안정기 특성 분석 및 실시간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전력선 모뎀부와 모니터링부, 가로등 제어부로 구성하였고, KS 도로조명기준의 조명등급 조건에 만족하도록 설계하였다. 제안된 자동제어 시스템은 기존 가로등 시스템의 비교 결과를 통해 PC를 사용하여 소비 전력을 쉽게 모니터링 하였다. 그 결과, LED 가로등 상태 검사 및 원격 제어를 통해 합리적 소비 전력의 유도에 의해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운영의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또한, 전력요금 절감 및 에너지 효율화, 가로등의 차별화/고급화에 대한 기대효과 향상을 증명하였다.

Miniature Pinscher 견에서 발생한 폐염전의 진단영상 1례 (Diagnostic Imaging for Lung Lobe Torsion in a Miniature Pinscher)

  • 최지혜;김현욱;장재영;반현정;김혜진;김진경;김준영;윤정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10-413
    • /
    • 2007
  • 암컷 4살령치 미니어쳐 핀셔가 간헐적인 기침 증상으로 본 원에 내원하였다. 흉부 방사선 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좌측 폐의 전엽이 경화되고 흉수가 동반된 것을 확인하고 개흉술을 통해 염전된 폐엽을 절제하였다. 본 증례는 흥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폐염전을 진단하여 신속히 수술적인 치료를 적용함으로써 좋은 예후를 얻을 수 있었다. 폐염전은 대형견종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근래 소형 견종에서의 발생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본 증례는 소형 견종 중 미니어쳐 핀셔에서는 처음 보고되는 폐염전 증례로 갑작스러운 호흡 곤란을 보이고 흉부 방사선 검사와 초음파 검사상 흉수와 폐경화, 비정상적인 폐엽의 방향 등의 이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 본 증례와 같이 이전에 폐염전이 발생한 보고가 없거나 드문 소형 견종에서도 폐염전을 감별 진단 리스트에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