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DL-oxidation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5초

추출방법에 따른 복분자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 Extracts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권지웅;이희권;박희전;송지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5-32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biological activities concerning extracts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s from unripened fruit of Rubus coreanus Miq. The extraction methods were HWE (hot water extraction for 4 hr at $100^{\circ}C$), SFE (extraction for 3 hr at $40^{\circ}C$ under 300 bar, 100% of $CO_2$ fluid), USE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for 4 hr at $50^{\circ}C$ with water), USE+HWE (hot water extraction for 2 hr at $100^{\circ}C$ after ultrasonification process for 2 hr), VE (vacuum extraction for 4 hr at $90^{\circ}C$ under 0.9 bar with water). VE extract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178.78{\pm}3.79\;mg/g$) and total flavonoid ($40.93{\pm}0.68\;mg/g$). $IC_{50}$ value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linoleic acid per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and LDL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of HWE extract showed the lowest $35.39{\pm}0.25{\mu}g/mL$, $12.61{\pm}0.31{\mu}g/mL$ and $1.31{\pm}0.02{\mu}g/mL$ among other all extracts, respectively. $IC_{50}$ values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VE and HWE extracts showed lower $14.34{\pm}0.20{\mu}g/mL$ and $15.83{\pm}0.20{\mu}g/mL$ than those of other extracts, respectively. Specifically, HWE and VE extracts have relatively bett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other extracts; these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a bioactive source for health functional foods.

종류가 다른 식용유지에 첨가된 고DHA(Docosahexaenoic Acid) 어유가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ocosahexanoic Acid-Rich Fish oil Added to Different Dietary Fats on Lipid Metabolism in Rat)

  • 이경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8권4호
    • /
    • pp.268-281
    • /
    • 1995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lucidate the effect of DHA-rich fish oil (DHA-rich oil) added to different dietary fats on lipid metabolism. Rats were fed perilla oil, sesame oil and beef tallow with or without DHA-rich oil for 12 weeks. The weight gain was higher in groups with DHA-rich oil than that of groups without DHA-rich oil, with DHA-rich oil, while weight of epididymal fat pad was lower in perilla oil and beef tallow groups with DHA-rich oil. The contents of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in plasma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fat types, but that of total and HDL cholesterol in plasma were higher in sesame oil group than perilla oil and beef tallow groups without DHA-rich oil. The contents of total lipi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rol and LDL cholesterol in plasma were decreased by DHL-rich oil addition. The contents of total lipid,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the liver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fat type. The content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the liver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fat type. The contents of total lipid and TG in liver were not affected by DHA-rich oil addition while hepatic cholesterol increased by DHA-rich oil addition. The activities of glucose 6-phosphate dehydrogenase and malic enzyme were highest in beef tallow group without DHA-rich oil and decreased by DHA-rich oil addition. Peroxisomal ${\beta}$-oxidation had an inverse relationship against the activities of lipogenic enzymes. In conclusion, dietary DHA-rich oil decreased fat accumulation and had hypolipidemic effect, especially in beef tallow group. Also groups with DHA-rich oil showed more hypolipidemic effect than perilla oil group. And DHA-rich oil addition to diets resulted in increasing dietary n-3/n-6 ratio. Therefore increase in n-3/n-6 ratio as well as dietary DHA were considered to be responsible for the hypolipidemic effect resulted from DHA-rich oil addition.

  • PDF

흰쥐에서 L-carnitine 투여 후에 혈청 지방산과 Carnitine의 농도 변화 (Changes of Serum Fatty Acid and Carnitine Levels after Administration of L-carnitine in Rats)

  • 이재원;홍영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9호
    • /
    • pp.1075-1082
    • /
    • 2002
  • 목 적: L-carnitine은 carnitine acyltransferase 효소에 의해 장쇄(long chain)지방산을 세포질에서 미토콘드리아로 이동시킬 때 필요한 효소로 미토콘드리아 내로 이동된 장쇄 지방산은 ${\beta}$-산화를 거쳐 신체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비만 치료 방법의 하나로 L-carnitine을 투여하여 간과 근육세포의 산화를 증가시켜 혈청 지방을 감소시키려는 시도가 있으며, 실제로 L-carnitine이 혈청 지방산을 낮추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250 g 내외의 Sprague Dawley 쥐를 두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A군은 정상 대조군, B군에서 L-carnitine을 200 mg/kg씩 매일 복강 내로 투여하였다. Hitachi 기기를 이용하여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분자량 콜레스테롤, 저분자량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고, 혈청 C6-C18 지방산은 GC/MS 분석에 의해 1일, 1주, 2주에 측정하였다. Cycling 기법을 이용하여 총 carnitine, 유리 carnitine, 아실 carnitine을 정량 분석하였다. 결 과 : 1) 혈청 총 콜레스테롤, 고분자량 콜레스테롤, 저분자량 콜레스테롤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중성지방은 1주일째에 A군은 $131.3{\pm}31.3mg/dL$인데 반하여 B군은 $90.0{\pm}7.0mg/dL$로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다. 2) 혈청 총 지방산은 A군에 비해 B군에서 1주에만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1주일째 장쇄 지방산인 리놀레인 산(linoleic acid)이 B군에서 A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L-carnitine투여 후 carnitine(total, free, acyl) 치는 1일째, 1주일째 및 2주일째에 모두 B군이 A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유리 carnitine 만이 투여 누적 용량에 따라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결 론 : L-carnitine 투여 후 1주일째에 혈중 중성 지방의 농도가 감소하였고, 리놀레인 산이 미토콘드리아 내로 이동함으로 혈중 농도의 감소를 보였다.

느릅나무와 시무나무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 and Hemipteleae davidii P.)

  • 이승은;김윤상;김지은;방진기;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21-327
    • /
    • 2004
  • 한약재로서 혼용되고 있는 느릅나무 및 시무나무의 수피와 근피의 항산화활성 및 총페놀 함량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DPPH 라디칼에 대해 느릅나무 근피와 수피의 80% 에탄올 추출물은 $10\;{\mu}g/ml$의 농도에서도 각각 41.4% 및 35.6%의 활성을 보여 다른 추출물의 활성 $(2.3{\sim}24.0%)$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superoxide 라디칼에 대해서는 $200{\sim}5\;{\mu}g/ml$의 농도에서 느릅나무 및 시무나무의 수피와 근피로부터 얻어진 모든 추출물이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느릅나무 근피의 80%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좀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사람의 저밀도지단백 (LDL) 산화에 대한 실험 결과 느릅나무 수피 및 근피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10\;{\mu}g/ml$의 농도에서 84.3% 및 81.7%로 다른 추출물들의 활성 $(31.3%{\sim}78.2%)$보다 비교적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된 모든 추출물은 linoleic acid 과산화에 대해서 ${\alpha}-tocopherol$보다 낮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총페놀 함량은 느릅나무 근피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50.8%로 가장 높았으며 시무나무 근피의 물 추출물이 5.6%로 가장 낮았다. 이상의 실험결과, 느릅나무의 근피와 수피가 시무나무의 근피와 수피보다 더 효과적인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며 특히, 느릅나무 근피의 80% 에탄올 추출물은 가장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디 추출물(Morus alba L.)의 혈행개선 효과 (Effect of Mulberry (Morus alba L.) Extract on Blood Flow Improvement)

  • 박연실;강성선;최형자;양성준;손호형;서형호;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98-50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국내산(전라북도 부안군) 오디의 혈액순환장애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in vitro 및 고지혈증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MBE가 DPPH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SC_{50}$값은 $89.36{\pm}5.46{\mu}g/mL$로 정제되지 않은 복합물질임을 감안하면 다른 식물추출물에 비해 항산화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RAW 264.7 세포 및 HepG2 세포에 대한 MBE의 세포독성은 2,500 ${\mu}g/mL$ 이하의 농도를 처리한 경우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In vitro 실험에서 COX-2의 활성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MBE의 $IC_{50}$값은 $215.94{\pm}18.15$이었고, human LDL의 산화억제 효과는 최종반응 농도가 200 및 400 ${\mu}g/mL$일 경우 유의적인 감소(P<0.05) 효과가 있었다. 또한 TNF-${\alpha}$에 의하여 활성화된 HUVECs에서 MBE가 증가된 ICAM-1 및 VCAM-1의 발현을 감소(P<0.05)시켰으며 LPS에 의하여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MBE가 증가된 COX-2 및 5-LO의 발현을 감소(P<0.05)시킴을 알 수 있었다. 고지혈증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에서 MBE의 일부 실험군(200 mg 및 400 mg/kg 체중/day, 14 days)에서 혈청 total cholesterol의 수치는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P<0.05)시켰으나 혈청 C-reactive protein의 수치는 모든 실험군에서 음성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지 않았다. 이러한 MBE의 항산화능, COX-2 활성억제 및 COX-2와 5-LO의 발현억제를 통한 염증억제, 혈중 total cholesterol 감소를 통한 이상지질혈증의 개선 효과 및 ICAM-1과 VCAM-1의 발현억제를 통한 혈관협착 방지의 효과들을 종합해 보면 오디추출물인 MBE가 혈액순환장애를 유발하거나 확대시키는 다양한 핵심요소들을 다각도로 개선시킴으로써 혈액순환장애의 예방과 치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to Different Ethanol Extracts of Rubus coreanus Miq.)

  • 권지웅;이희권;박희전;권태오;최혜란;송지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25-333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biological activities to different ethanol extracts from unripened and ripened fruit (Rubus coreanus Miq.). 25% to 75% ethanol extracts of unripened and ripened fruits were similar to extract yield respectively. Yield of ethanol extract of ripened fruit were approximately 3 times higher than that of unripened fruit.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180.04{\pm}0.41$ mg/g) and total flavonoid ($50.43{\pm}0.81$ mg/g).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of unripened fruit were about 2 times higher than those of ripened fruit. $IC_{50}$ value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linoleic acid per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of BHA and ${\alpha}$-tocopherol showed $13.19{\pm}0.21$ and $18.16{\pm}0.23{\mu}g/m{\ell}$, $4.25{\pm}0.04{\mu}g/m{\ell}$ and $5.56{\pm}0.10{\mu}g/m{\ell}$ respectively, but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showed the lowest $23.85{\pm}0.10{\mu}g/m{\ell}$ and $7.34{\pm}0.07{\mu}g/m{\ell}$ among other all extracts. $IC_{50}$ values of LDL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inhibition activity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showed the lowest $1.04{\pm}0.04{\mu}g/m{\ell}$ and $7.21{\pm}0.13{\mu}g/m{\ell}$ among other all extracts respectively. Specifically, 75% ethanol extract of unripened fruit has relatively bett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other ethanol extracts, it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bioactive source for health functional foods.

황정 에탄올 추출물의 비만 조절 유전자에 대한 효과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Polygonatum sibiricum rhizome on obesity-related genes)

  • 전우진;이도섭;손서연;서윤지;연승우;강재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84-391
    • /
    • 2016
  • 선행연구(12,13)에 따르면 10주간 ID1216을 투여한 비만 마우스에서 체중과 체지방이 감소하였고 이는 SIRT1-$PGC1{\alpha}$의 발현을 조절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SIRT1-PGC1{\alpha}-PPAR{\alpha}$의 하위 기전인 UCPs, ACO, aP2의 발현 조절에 ID1216이 영향을 미쳐 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추가로 확인한 것에 의미가 있다. 또한 10주간 ID1216을 투여한 비만 마우스의 혈액 분석 결과에서도 혈중 중성지방, LDL, HDL total cholesterol등의 혈중 지방질 수치가 개선됨과 동시에 free fatty acid의 농도는 감소하였는데 이는 ID1216이 HSL과 같은 지방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조절하여 중성지방의 분해과정에 관여하기는 하나 에너지 대사와 지방산 산화 과정에도 복합적으로 관여하여 최종적으로 나타내는 비만 대사 조절 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ID1216은 $SIRT1-PGC1{\alpha}-PPAR{\alpha}$ pathway를 촉진시켜 세포와 조직 수준에서 열발생(thermogenesis)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UCP1, UCP2, UCP3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beta}$-oxidation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ACO와 aP2의 발현도 증가시켰으며 또한 지방분해(lypolysis)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ATGL과 HSL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나타내어 체지방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방간이 동반된 비만아에서 혈청 지방산과 Carnitine 농도에 대한 연구 (Serum Fatty Acid and Carnitine Levels in Obese Children with Fatty Livers)

  • 이진범;이재원;홍영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9호
    • /
    • pp.1083-1089
    • /
    • 2002
  • 목 적 :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소아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행되기 쉽고 합병증으로 고혈압, 지방간, 동맥경화증이 동반될 수 있다. Carnitine은 장쇄 지방산이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할 때 필요한 조효소로 지방산 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방간을 가진 비만 소아에서 혈중 지방산과 carnitine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L-carnitine을 임상적으로 비만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7-18세의 지방간으로 진단받은 비만아 9명과 정상 대조군 소아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장을 sodium borate를 섞어 원심분리 후 하층을 methylene chloride를 이용하여 계층 분리하였고, MSTFA와 acetonitrile을 넣고 유도체화 반응을 시켰다. GC-MS 자동 분석기로 혈청 지방산 fraction을 정량 분석하였고, carnitine(free, acyl, total)은 cycling technique을 이용하여 415 nm에서 정량 분석하였다. 결 과 : 혈중 총 지방산은 지방간이 동반된 비만아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특히 장쇄 지방산(myristic acid, palmit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이 의미 있게 증가되어 있었다. 총 carnitine과 유리 carnitine 농도가 비만아에서 정상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acyl carnitine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지방간이 동반된 비만아에서 장쇄 지방산이 뚜렷이 증가되었으며, 비만아군에서 정상아에 비해 혈청 carnitine이 증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을 기초로 하여 비만아에서 L-carnitine 투여 후 지방산 대사의 변화에 대해 추후에 연구할 예정이다.

Serum fatty acids, biochemical indices and antioxidant status in goats fed canola oil and palm oil blend

  • Adeyemi, Kazeem D.;Sabow, Azad B.;Aghwan, Zeiad A.;Ebrahimi, Mahdi;Samsudin, Anjas A.;Alimon, Abdul R.;Sazili, Awis Q.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8권2호
    • /
    • pp.6.1-6.11
    • /
    • 2016
  • Background: Dietary supplementation of unsaturated fats in ruminants, if not stabilized, can instigate oxidative stress which can have negative impact on production performance and enhance the susceptibility to various disease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ietary 80 % canola oil and 20 % palm oil blend (CPOB) on serum fatty acids, antioxidant profile and biochemical indices in goats. Thirty Boer bucks (4-5 months old; initial BW, $20.34{\pm}0.77kg$) were randomly assigned to diets containing 0, 4 or 8 % CPOB and fed daily for a period of 90 days. Blood was sampled from the goats on 0, 30, 60 and 90 days of the trial and the serum was analyzed for fatty acids, cholesterol, glucose, total protein, antioxidants and lipid oxidation. Results: Neither diet nor sampling time influenced serum TBARS valu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ies, LDL cholesterol, VLDL cholesterol, triglycerides, glucose and total protein. Goats fed 4 and 8 % CPOB had higher (P < 0.05) total cholesterol and HDL cholesterol than the control goats on day 30, 60 and 90. The proportion of C15:0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 of CPOB on day 30 and 60. Serum C18:1n-9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 of CPOB in diet on day 60. The proportion of C18:3n-3 and C22:5n-3 increased (P < 0.05), while the proportion of C18:2n-6 decreased (P < 0.05) with increase in the level of CPOB on day 60 and 90. Dietary CPOB did not affect serum total carotenoid and ${\delta}$-tocopherol but did increase (P < 0.05) ${\alpha}$ and ${\gamma}$-tocopherol. Conclusion: Dietary canola oil and palm oil blend could be supplemented in diets without instigating oxidative stress in goats.

털부처꽃 뿌리로부터 조제된 분획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Organic Solvent Fractions from Lythrum salicaria L. (Root))

  • 이승은;김금숙;한희선;이은숙;김영옥;이정훈;성낙술;이상원;김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23-328
    • /
    • 2010
  • Root extract of Lythrum salicaria reported a hepato-protective effect on $CCl_4$-induced liver toxicity of rat was prepared into fractions such as n-hexane up layer (HA), n-hexane down layer (HB), diethyl ether (E), ethylacetate (EA), n-butanol (B) and water (W). Fractions prepared were tested their activities in vitro and in vivo condition. All of the fractions showed effective antioxidant asctivities on DPPH radical and $CuSO_4$-induced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and 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98.1% at $50\;{\mu}g/m{\ell}$) on linoleic acid autoxidation at $40^{\circ}C$, which was more effective than $\alpha$-tocopherol (82.4%). Five fractions (H = HA plus HB, E, EA, B, and W, 150 mg/kg/day) were fed into Sprague Dawley, male rats for 4 days, which were intoxicated with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arbon tetrachloride ($1\;m{\ell}/kg$ in corn oil) at the 4th day and were sacrificed in 24 hrs. Serum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 proinflammatory cytokine, elevated with $CCl_4$-intoxication in negative control group ($83\;pg/m{\el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 fraction-supplemented group ($18\;pg/m{\ell}$). Cu, Zn-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increased in negative control group (0.12 U/mg protein) was decreased in E fraction (0.07 U/mg protein). From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ether fraction from root extract of L. salicaria would be a potent antioxidant candidate for ameliorating liver injury induced by chemical intox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