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DL-C

검색결과 822건 처리시간 0.022초

홍국 장기투여가 SHR의 혈압 및 혈중 콜레스테롤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nascus koji on Blood Pressure and Serum Cholesterol Composition of SHR by Chronic Dietary Administration)

  • 류미라;김은영;한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64-468
    • /
    • 2003
  • 홍국의 장기섭취가 자연발증 고혈압 쥐(SHR)의 혈압상승 및 혈중 콜레스테롤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Monascus ruber IFO 32318 균주로 제조한 홍국을 각각 0.03%, 0.1%, 0.3% 첨가한 식이를 8주간 섭취시킨 후 모든 실험군을 일반식이로 전환시켜 다시 2주간 사육하였다. 식이섭취 2주 째부터 대조군에 비해 홍국 섭취군에서 수축기혈압, 이완기 혈압 및 평균혈압의 유의적인 상승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식이에 첨가된 홍국의 양에 비례하였고 홍국첨가 식이를 중단하면 실험군 간의 각 혈압의 유의적인 차이는 사라졌다. 또한 홍국은 SHR의 혈중 VLDL-C의 함량을 유의적으로 저하시켰으며 TC 및 LDL-C은 홍국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HDL-C은 대조군, group I 및 group II가 거의 동일하였으며 홍국 첨가량이 가장 많은 group III에서만 약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동맥경화의 지표가 되는 TC과 HDL-C의 비율 및 non-HDL-C과 HDL-E의 비율은 홍국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LDL-C과 HDL-C의 비율 또한 홍국 섭취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모든 효과는 홍국을 식이 섭취량의 0.1% 이상 첨가한 실험군에서 뚜렷이 나타났다.

40대 폐경 전 여성에서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 폐 기능의 연관성: 후향적 코호트 연구 (Association between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Pulmonary Function among Premenopausal women in their 40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 고혜진;윤창호;김성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694-6701
    • /
    • 2014
  • 저밀도 지단백과 폐 기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2001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일개지역 대학병원의 건강증진 센터를 방문하여 2회 이상 검사를 시행한 40-49세의 폐경 전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최종 384명의 대상자를 LDL(mg/dL)을 기준으로 초기와 추적검사에서 모두 100미만인 A군, 초기 검사에서는 100미만이었으나 추적검사에서 100이상인 B군, 초기 검사에서는 100이상이었으나 추적검사에서 100미만인 C군, 초기와 추적검사 모두에서 100이상인 D군으로 나누었다. 네 군간 폐 기능 검사는 초기, 추적검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나이, 체질량지수, 흡연, 운동, 추적기간을 보정하여 LDL 변화량과 폐 기능 변화량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FEV_1/FVC$/FVC에 대해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beta}=-0.109$, S.E.=0.029, P<0.001), 그 외에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LDL과 폐기능 변화량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향후 대규모의 연구가 필요하다.

수용성계의 Linoleic Acid와 LDL에 대한 한국산 홍삼의 산화방지효과 (Antioxidant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on Aqueous Linoleic Acid and LDL)

  • 이종원;이성계;도재호;성현순;이형옥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283-288
    • /
    • 1997
  • 1% linoleic acid를 함유하는 수용성 완충용액과 LDL(low-density lipoprotein, 1 mg protein/ml)을 함유하는 수용성 완충용액 각각에 $H_2O_2$$FeCl_2$를 가하여 유발된 산화과정 중 한국산 홍삼 extract(red ginseng extract; RGE)에 대한 산화방지활성을 비교물질로 ${\alpha}-tocopherol$을 사용하여, HPLC를 이용한 MDA(malondialdehyde) 정량법과 fluorometry를 이용하여 측정 비교하였다. LDL(0.25 mg protein/ml)에서 생성된 conjugated diene도 spectrometry로 측정하였다. Linoleic acid를 기질로 사용한 경우, MDA 생성량으로 비교한 산화방지효과에 있어서 1000 ppm RGE의 첨가로 71.8%의 우수한 산화저해율이 나타났으며, 이때 비교물질로 사용한 100 ppm ${\alpha}-tocopherol$의 경우에는 76.1%이었다. LDL(1 mg/ml)을 기질로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RGE 200 ppm 첨가시 가장 우수한 항산화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때의 산화저해율은 25.2%이었고, 100 ppm ${\alpha}-tocopherol$의 경우는 21.2%이었다. 또한 LDL(0.25 mg protein/ml)을 기질로 사용하여 생성된 c-diene을 측정한 경우에도 50 ppm RGE의 첨가로 44.2% 저해효과가 입증되었다.

  • PDF

한국인의 고지혈증에 관한 연구 -고콜레스테롤혈증 소견자의 혈액학적 특성과 위험인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Hyperlipidemia in Koran -Specially Related to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Hypercholesterolemia-)

  • 황금희;노영희;허영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710-721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hypercholesterolemia(HC) in Korean. 344 adult men who took the annual health check ups at D or J hospitals were participated in this cross sectional study. The subjects were grouped by plasma total cholesterol level into three groups: normal cholesterolemic(n=139), borderline hypercholesterolemic (n=93) and hypercholesterolemic(n=112) groups. The data of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SBP/DBP), hemoglobin, plasma glucose, albumin and cholesterol levels were collected from medical records. The levels of plasma triglyceride(TG), HDL C, phospholipid, insulin, apo A and apo B were measured. The levels of plasma LDL C, VLDL C and atherogenic index(AI) were calculated. The subjects with HC had significantly higher SBP and DBP, albumin, TG, phospholipid, HDL C, LDL C, VLDL C and apo B level than those of the normal subjects. The relative and attributable risks on HC were 1.59 and 0.18 for hypertension(SBP/DBP$\geq$160/95), 2.08 and 0.35 for hypertriglyceridemia (TG $\geq$400mg/dl). Plasma total cholesterol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veral hematologic parameters: age(r=0.1242, p<0.05), DBP(r=0.1194, p<0.05), albumin(r=0.2029, p<0.001), plasma TG(r= 0.3829, p<0.001), phospholipid(r=0.6036, p<0.001), LDL C(r=0.8572, p<0.001), HDL C(r=0.2399, p< 0.001), AI(r=0.3116, p<0.001), apo B(r=0.2602, p<0.05) and Lp(a)(r=0.1372, p<0.05). However, plasma total cholesterol leve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s of Apo A1(r= 0.2922, p<0.001), and ABR(r= 0.3598, p<0.001).

  • PDF

중량부하 음악줄넘기 운동이 여자중학생의 혈중지질과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sic Rope-jumping with Weight Loading on Middle School Girls` Blood Lipids and Growth Hormone)

  • 정필재;이미경;양정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8호
    • /
    • pp.1115-1122
    • /
    • 2008
  • 경남 양산시 Y여중학교 1,2학년 24명을 대상으로 중량부하 음악줄넘기 운동군 8명, 음악줄넘기 운동군 8명, 대조군 8명으로 분류하여 운동전 후 혈액성분과 성장호르몬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중량부하 음악줄기 운동과 혈중지질의 집단별 비교에서 중량부하 음악줄넘기 운동군은 WBC, RBC, 글루코스, T-C, TG, HDL-C, LDL-C 등에서 증감을 보여 유의성이 있었고(p<0.05), 음악줄넘기 운동군은 RBC, T-C, TG, HDL-C, LDL-C 등에서 증감을 보여 유의성이 있었으며(p<0.05), 대조군은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량부하 음악줄넘기 운동군과 성장호르몬의 집단별 비교에서 중량부하 음악줄넘기 운동군은 성장호르몬이 증가하여 유의성이 있었고(p<0.05), 음악줄넘기 운동군도 성장호르몬이 증가하여 유의성이 있었으며(p<0.05), 대조군은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량부하 음악줄넘기 운동이 혈액성분과 성장호르몬의 변화에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연구의 실험대상자수가 적었고, 12주라는 실험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이를 일반화하여 해석하는 것은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중량부하 음악줄넘기 운동이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운동처방과 운동프로그램 작성에 참고자료로 활용 가능하리라 사려 된다. 또한 성장기 때의 중량부하 음악줄넘기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학교의 체육수업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이 따라야 할 것이다.

방풍통성산가미방(防風通聖散加味方)이 비만유도(肥滿誘導) 백풍(白嵐)와 지방세포(脂肪細胞) 분화(分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Anti-obestic Effects of Bangpoongtongsungcankamibang(BTSK) in 3%3-L1 preadipocyte cells and the Lipid Metabolism of Obesity induced Rats)

  • 이진용;김덕곤;안홍식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19-240
    • /
    • 2006
  • Objective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anti-obestic effects of Bangpoongtongsungcankamibang(BTSK). Method : In vitro, BTSK extracts of various concentration (50,100, 200 $200{\mu}g/ml$)were added examination.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of $C/EBP{\alpha}$ and $PPAR{\gamma}$ receptor was measured by western blot assay and RT-PCR. In vivo, BTSK extracts of various concentration (100, $200{\mu}g/ml$) were orally administered to induced hyperlipidemic rats by poloxamer-407 for consecutive four weeks and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were measured. This method applied to induced hyperlipidemic rats by triton WR-1339, too. Obesity induced rats by the high fat-diet for six weeks were orally administered BTSK extracts of various concentration (100, $200{\mu}g/ml$) and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hydroxy radical, superoxide dismuatse activity were measured. Results : I. In vitro 1. The 3T3-L1 cells' differenti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BTSK. 2. expression of $C/EBP{\alpha}$ and $PPAR{\gamma}$ wa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BTSK. II. In vitro 1. BTSK significantly reduced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contents in poloxamer-407 treated rat. 2. BTSK significantly reduced serum triglyceride, contents in Triton WR-1339 treated rat. But Total cholesterol did not show a significant change. 3. BTSK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gain of rat and adipose tissue mass of rats and serum triglyceride, LDL-cholesterol, content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HDL-cholesterol, HTR(HDL-cholesterol/Total-cholesterol) in rats with obesity induced by the high fat-diet. 4. BTSK reduced blood lipid peroxide, hydroxy radical and increased superoxied dismuatse(SOD) activity.

  • PDF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and traditional game-base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on lipid profile improvement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West Java Indonesia

  • Yulia, Cica;Khomsan, Ali;Sukandar, Dadang;Riyadi, Had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4호
    • /
    • pp.479-491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One ongoing effort to curtail dyslipidemia in school children is through lifestyle intervention. This study analyzes outcomes of the intervention of nutrition education and Javanese traditional game-based physical activity, on lipid profiles of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SUBJECTS/METHODS: The experimental study consisted of three steps: data collection (October to December 2016), intervention processes (January to March 2017), and final report preparation (April to May 2017). This was a split-plot block study, enrolling a total of 72 subjects. Traditional game intervention (12 meetings) and nutrition education (9 meetings) was carried out within 3 months with material related to obesity. RESULTS: Our results showed no decrease in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in the group receiving nutrition education (rise by 1.56 mg/dL), but when compared to subjects without intervention, total cholesterol levels experienced was increased. The group which did not receive physical activity showed increase in the total cholesterol, whereas the traditional game intervention group showed a decrease of 0.05 mg/dL total cholesterol at the end of the intervention. Nutrition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did not influence any reduction in the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levels, but rather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t the end of the intervention. However, the increase in LDL-c levels in the traditional game group was lower than in other intervention groups. Duncan's test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did not differ from the cut-off values of LDL-C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CONCLUSIONS: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in the traditional game group tended to decrease at the end of the intervention, but the results did not differ much from other intervention groups. We deduce that nutrition education and traditional game-base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are not capable of improving blood lipid profiles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within 3 month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ime of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to maintain the lipid profile in another study.

어유의 섭취가 젊은 여성의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Fish Oil on Serum Lipid in Young Healthy Females)

  • 장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1호
    • /
    • pp.1-10
    • /
    • 1990
  • $\omega$-3계의 지방산의 함량이 많은 어유는 혈청 지질을 저하시키므로 동맥경화증의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어유의 효과가 식이중 지방함량이 낮은 수준에서더 현저한가에 대해서는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식사중 지방 함량이 서양인보다 적고,CHD의 예견인자가 다른 한국인에게, 실험군에 따라 1일 9g, 12g 및 15g 의 어유를 1주간 투여한후 혈청 지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청 TC함량은 어유 투여 후 및 투여 중단 1주째에 유의적인 감소(p<0.01)를 나타내었으며, 혈청 TG함량은 어유 투여 후에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2) 혈청 지단백질의 전기영동 결과, VLDL함량은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고, LDL은 투여중단 1주째에 세 군 모두에서 유의적인 감소(p<0,05)를 나타내었으며, HDL은 9g군에서만 유의적인 증가(p<0.05)를 나타내었다. 3) HDL-C함량은 12g군과 15g군에서 투여 중단 1주째 및 투여 중단 3주째에 유의적인 증가(p<0.05)를 나타내었다. LDL-C 함량은 투여 후 유의적인 감소(p<0.05)를 나타내었고, 투여 중단 1주째에 세 군 모두에서 유의적인 감소(p<0.001)를 나타내었다.

  • PDF

Effects of Cod Liver Oil and Chromium Picolinate Supplements on the Serum Traits, Egg Yolk Fatty Acids and Cholesterol Content in Laying Hens

  • Lien, Tu-Fa;Wu, Chaen-Ping;Lu, Jin-Jen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8호
    • /
    • pp.1177-1181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d liver oil and chromium picolinate on the serum traits and egg yolk fatty acids and cholesterol content in laying hens. One hundred 45-week old single comb white Leghorn laying hens were assigned randomly to four groups. These groups were: (1) control (soybean oil), (2) 1,000 ppb (${\mu}g/kg$) chromium (organic form chromium picolinate) (Crpic), (3) 3% cod liver oil (CLO), and (4) 1,000 ppb chromium with 3% cod liver oil (CLO+Crpic).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40 days. Results indicated that serum triacylglycerol (TG) and cholesterol contents in the CLO group and the serum glucose content in the Crpic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05-0.01). The yolk cholesterol content in the CLO and Crpic groups were also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p<0.01). The lipoprotein profile displayed that in the Crpic group, high-density lipoprotein (HDL) and HDL-cholesterol (HDL-C)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e control group. Meanwhile, low-density lipoprotein+very low-density lipoprotein (LDL+VLDL) and LDL-C+VLDL-C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e control group. Notably, of all four groups, the CLO group displayed a more profound effect on serum traits and lipoprotein (p<0.05-0.001). Furthermore,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egg yolks presented that C18:2 in the CLO and Crpic groups was significantly lower (p<0.05-0.001) compare to the control. However, only in the CLO group, C18:3, C20:5 and C22:6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01) than the control. Only serum glucose and LDL+VLDL showed the CLO${\times}$Crpic interaction (p<0.05), most parameters did not. Therefore, supplemented chromium picolinate or cod liver oil in the diet of laying hens had beneficial effects. However, when these two factors were combined, there was no interaction with most parameters.

하타요가 운동이 폐경기 비만중년여성의 렙틴농도와 대사증후군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tha Yoga Exercise on Serum Leptin and Metabolic Syndrome Factors in Menopause Obese Middle-Aged Women)

  • 이정아;김도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100-1106
    • /
    • 2010
  • 본 연구는 체지방률이 35% 이상인 폐경기 비만중년여성 26명을 대상으로 하타요가 운동이 체조성과 렙틴 및 대사증후군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과 렙틴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증후군인자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하타요가 운동을 16주간 실시한 후 운동전과 후의 체조성, 렙틴 및 대사증후군인자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운동 후에 하타요가집단에서 체중,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엉덩이둘레비 및 내장지방면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골격근량(SMM)은 증가하였다.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렙틴, 총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인슐린, 글루코스 및 인슐린저항성지수(HOMA-IR)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하타요가집단의 렙틴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증후군인자는 HDL-C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하타요가운동으로 체지방의 감량이 렙틴저항성을 개선하여 렙틴의 감소와 대사증후군인자의 개선으로 생활습관병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