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DH isozyme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9초

척추동물의 Isozyme에 관한 비교연구: III. 한국산 뱀목의 Lactate 및 Malate Dehydrogenase Isozyme

  • 김순옥;조동현;박상윤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5-65
    • /
    • 1973
  • 한국에서 서식하는 뱀과, 살모사과, 및 북살모사과에 속하는 몇종의 파충류에서 각 장기별로 MDH 및 LDH isozyme을 조사하였던 바 MDH는 2개의 isozyme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동일하였다. 그러나 대륙유혈목이의 MDH isozyme은 이동속도가 빠른 점이 다른 종과 다르다. 뱀과, 살모사과 및 북살모사과의 구성원 각 종에서 4개의 LDH isozyme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과 간조직의 LDH isozyme은 근본적으로 같은 pattern이었고 $LDH_4$가 없는 것이 뱀과, 살모사과 및 북살모사과의 특징이었다. 한편 심장에서는 2개의 LDH isozyme이 발견되는데 근조직과는 반대되는 pattern 이었다. 위 homogenate에서 나타나는 LDH isozyme은 심장의 pattern과 동일하다고 볼수 있는데 살모사과와 북살모사과에서는 4개의 isozyme이 나타나는 점이 독특하였다. 따라서 실험 동물의 MDH 및 LDH isozyme pattern에서 의미있는 다양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脊椎動物 腦와 網膜에 있어서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 Pattern의 比較 (A Comparison of the Lactate Dehydrogenase (LDH) Isozyme Patterns in Vertebrate Cerebrum and Retina)

  • 김순옥;박상윤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0
    • /
    • 1979
  • 脊椎動物 網膜과 腦에 있어서 LDH isozyme pattern을 系統的으로 밝히기 위하여 cellulose acetate 電氣泳動法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붕어와 잉어의 網膜과 腦의 LDH isozyme은 $LDH_1$$LDH_2$에 해당되는 부위에 彌滿된 단일 band가 觀察되었다. 잉어의 心臟, 胞筋, 肝臟, 胃의 LDH isozyme도 모두 다같이 퍼진 단일 band로 나타났다. 2. 도룡농과 개구리의 腦에 있어서 LDH isozyme pattern은 다르게 觀察되었다. 도룡뇽에서는 음극으로 移動된 단일 band가, 개구리에서는 $LDH_5$$LDH_4$ 두 개의 band가 검출되었다. 3. 유혈목이의 網膜과 腦에서는 다같이 하나의 band로 觀察되나 자라에서는 網膜과 腦의 isozyme이 다르다. 卽 자라의 網膜에서는 5個의 isozyme band가 觀察되었는데 그 농도는 $LDH_5, LDH_4, LDH_3, LDH_2$$LDH_1$의 순으로 낮아 졌다. 4. 닭과 사랑새의 網膜과 腦에 있어 LDH isozyme은 다같이 단일 band로 나타났다. 5. 집토끼, 개. 돼지, 소의 網膜에서도 포유류의 特徵的인 5個의 isozyme band가 검출되었고 mouse, albino rat, 관박쥐의 腦에서도 5個의 band가 검출되었다. 이러한 사실들로 미루어 보아 網膜과 腦의 LDH는 그 電氣泳動 이 대체로 비슷하여 두 器官은 유사한 pyruvate 代謝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척추동물의 Isozyme에 관한 비교연구: II. 개구리목 뇌조직의 Lactate 및 Malate Dehydrogenase Isozyme

  • 박상윤;조동현;고정식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05-110
    • /
    • 1972
  • cellulose acetate 전기영동법으로 한국산 개구리목의 동물 6종에서 LDH 와 MDH isozyme을 조사하였다. 개구리목의 MDH 와 LDH isozyme은 종에 따른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었으며 포유류나 조류와는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참개구리와 금개구리에서는 LDH 나 MDH 모두 두개의 isozyme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이두 isozyme의 pattern 역시 거의 같다고 볼 수 있었다. 산개구리 전뇌의 LDH isozyme 역시 두개의 isozyme만을 보였으나 그 pattern은 참개구리나 금개구리와 근본적으로 달랐다. 두꺼비와 무당개구리는 다섯개의 LDH isozyme을 가지고 있으나 그 pattern은 전혀 달랐다. 한편 옴개구리에서는 세개의 LDH isozyme을 볼 수 있었다. 모든 시험동물에서 두개의 MDH isozyme을 발견 할 수 있었는데 참개구리의 후엽과 소뇌 및 연수혼합 물에서는 단 하나의 MDH isozyme만이 검출되었다.

  • PDF

척추동물의 Isozyme에 관한 비교연구: IV. 한국산 개구리목의 Lactate 및 Malate Dehydrogenase Isozyme

  • 고정식;조동현;박상윤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3-201
    • /
    • 1973
  • Cellulose acetate strip 전기영동법으로 한국산 개구리목 동물 6종에서 각 장기별로 LDH 와 MDH isozyme을 조사하였다. LDH isozyme은 포유류와 조류의 그것과는 달리 뇌와 골격근의 isozyme형이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과에 따른 LDH isozyme의 특징은, 무당개구리는 5개의 isozyme이 모두 나타났으며 두꺼비과의 물두꺼비는 5개의 isozyme이 나타났으나 무당개구리에 비하여 이동속도가 빠르고, isozyme사이의 간격이 조밀하다. 개구리과의 개구리, 금개구리, 옴개구리 및 산개구리에서는 2개 내지 4개의 isozyme만이 나타났다. 개구리목의 LDH 와 MDH isozyme은 종에 따른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과 사이의 특징도 아울러 살필 수 있다.

  • PDF

메기 (Parasilurus asotus)의 장기내 젖산수소이탈효소 아이소자임 형에 미치는 동이온의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of Copper Ion on the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 Patterns in Organs of Catfish, Parasilurus asotus)

  • 정영훈;이춘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5-92
    • /
    • 1984
  • 메기 (Parasilurus asotus)의 심장, 간장, 신장, 골격근 및 난소내의 젖산수소이탈효소 isozyme 형에 미치는 동이온의 영향을 cellulose acetat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법으로 연구하였다. 1. 정상인 메기의 심장에서는 LDH-1과 LDH-2가 나타났으나 동이온 처리구에서는 LDH-1, LDH-2, LDH-3 및 LDH-4가 나타났다. LDH-1의 양은 감소되고 LDH-2, LDH-3 및 LDG-4의 양은 증가되었다. 2. 정상인 메기의 간장에는 LDH-4만 있었으나 동이온 처리구에서는 LDH-4의 양이 감소되고 LDH-5가 새로 나타났다. 3. 신장에서는 대조구와 처리구, 2군에서 LDH-1, LDH-2 및 LDH-4가 나타났는데, 동이온 처리후 LDH-1의 양은 증가되고 LDH-2와 LDH-4는 감소되었다. 4. 대조구의 골격근에는 넓은 band의 LDH-5가 하나 있었으나 처리구에서는 LDH-4와 LDH-5가 나타났는데 특히 LDH-5는 하나의 M형 sub-band를 가지고 나타났다. 5. 정상인 난소에서는 LDH-3 하나만 나타났으나 동이온 처리구에서는 LDH-1에서 LDH-5RK지의 5개 LDH isozyme이 모두 나타났다. 6. 동이온 처리 기간중 심장, 간장 및 골격근에서는 대개 유기대사와 연관된 심장형 LDH isozyme은 감소되었지만 무기대사와 연관된 근육형 LDH isozyme은 증가되었다. 이들 기관은 동중독시의 무기대사의 중요한 기능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의 역학적 특성 (Kinetic Properties of Lactate Dehydrogenase in Tissues from Rana catesbeiana)

  • 염정주;하은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8-127
    • /
    • 2014
  •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 I (2월)과 II (8월)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 동위효소의 발현 및 역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I의 골격근에서 LDH 활성, $A_4$ 동위효소 및 LDH/CS (EC 4.1.3.7, citrate synthase)가 높게 측정되었고, II의 여러 조직에서 LDH $B_4$ 동위효소의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심장과 뇌조직에서 LDH 활성이 크게 확인되었다. 면역침강반응 후 native-PAGE에 의해 눈조직에서 LDH eye-specific C 동위효소가 확인되었고, LDH C가 LDH B에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LDH $A_4$ 동위효소를 oxamate-linked affinity chromatography로 정제하였고, 하부단위체 A의 분자량은 32.0 kDa이었다. II의 LDH는 $Km^{PYU}$이 높았고, 심장과 뇌조직의 $Vmax^{PYU}$이 높았으며, 조직들의 $Vmax^{LAC}$도 높고, 젖산에 대한 내성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정제한 $B_4$ 동위효소와 눈조직 LDH가 젖산에 대한 내성이 가장 크게 확인되었다. $Km^{LAC}$$Km^{PYU}$보다 컸다. 피루브산 10 mM에 의해 I, II 조직 LDH의 하부단위체 B의 비가 증가함에 따라 LDH 활성의 억제정도가 높았다. 실험 결과, 황소개구리에서 LDH eye-specific C가 확인된 것이 특징적이었고, 황소개구리 I의 골격근 LDH의 활성이 높아 혐기적 대사가 우세하였으며, 황소개구리 II의 경우 LDH B가 증가되고 젖산에 대한 내성이 커져 잘 적응되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Trihalomethane을 경구투여한 흰쥐조직에서 LDH의 활성도 및 Isozyme양상의 변화 (Alteration of Lactic Dehydrogenase Activity and Isozyme of Rat Tissues Treated with Trihalomethanes)

  • 신동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6권1호
    • /
    • pp.79-88
    • /
    • 1983
  • There has been some evidence concerning the fact that trihalomethanes(THMs), toxic chlorinated compounds, may be present in drinking water. One of the important methodologies to evaluate the toxicity of THMs is to determine enzyme alteration in experimental animal tissues after treatmen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how lactic dehydrogenase(LDH) of rat tissues is affected by administration of chloroform($CHCl_3$) and dichloromonobromomethane($CHCl_2\;Br$). THMs, high dose(1/10 LD50) or low dose(1/50 LD50) of $CHCl_3$ or $CHCl_{2}Br$ were administered orally to experimental rats for 4 or 8 weeks. The treated groups of rats were sacrificed to determine LDH specific activity and isozyme pattern in various organs which were liver, thigh muscle, kidney and brain. The conclusions were obtained as follows: 1. Alteration of LDH activities and isozyme patterns were revealed before morphologic changes in tissues. 2. The LDH specific activitie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liver and brain after administration of high concentrations of $CHCl_3$ and $CHCl_{2}Br$ for 4 weeks respectively. Otherwise, they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liver, muscle and kidney after administration for 8 weeks. 3. The isozyme activities of LDH-4 and LDH-5 were increased in muscle, brain, and especially the liver. 4. It was more distinct for the decrement of LDH H-type isozyme than the increment of M-type isozyme in muscle.

  • PDF

Insulin이 흰쥐의 LDH Isozyme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sulin on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 in the Liver, Muscle and Serum of Albino Rats.)

  • 임중기;최기송
    • 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2-96
    • /
    • 1976
  • A series of experimental groups has been studied in the state of hypolycemia caused by a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insulin after 24 hrs of fasting albino rats and then the variation of LDH activities and LDH isozyme patterns in the liver, muscle and serum had been reported. The total LDH activity has been elevated in the liver and the muscle above the average level for control group, but increased continusly during 20 min and decreased in the 20-45 min intervals and increased again 45 min in the serum. The change of LDH isozyme patterns had been shown that in the liver LDH$_{5}$ was increased, LDH$_{4}$ was decreased and in the muscle LDH$_{1}$ was diminished by 30 min ws restored again after 45 min and LDH$_{2}$ decreased about 94 percentage at 30 min, decreased by 45 min and increased greater again after 45 min and in the muscle LDH$_{3}$, LDH$_{4}$, and LDH$_{5}$ were increased to the greatest by 20 min, decreased in 20-45 min intervals and increased again after 45 min.

  • PDF

쥐노래미 eye-specific LDH C4 동위효소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ye-Specific Lactate Dehydrogenase C4 Isozyme in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 조성규;염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65-1572
    • /
    • 2011
  •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 눈 조직의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 eye-specific $C_4$ 동위효소를 affinity chromatography 및 continuous-elution electrophoresis system으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eye-specific LDH $C_4$ 동위효소의 분자량은 154.8 kDa이었다. 효소반응의 최적 pH는 8.5로 나타났다. 피루브산을 기질로 하였을 때 eye-specific LDH $C_4$ 동위효소의 $K^{PYR}_m$ 값은 $1.88{\times}10^{-5}$ M로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 eye-specific LDH $C_4$ 동위효소의 활성 측정 시 pH를 고려해야만 하고 eye-specific LDH $C_4$ 동위효소는 LDH A4 동위효소보다 피루브산에 대한 기질결합친화성이 큰 것으로나타났다. 생성된 eye-specific LDH $C_4$ 동위효소에 대한 항체는 사람에서의 병증진단 및 어류에서의 비교생리학적 연구에 폭 넓게 사용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칠성장어(Lampetra japnica) 간조직 젖산탈수소효소와 대구(Gadus macrocephalus) liver-Specific C4동위효소의 특성 및 진화적 관계 (Characterization and Evolutionary Relationship of Lactate Dehydrogenase in Liver of Lampetra japonica and Liver-specific C4 Isozyme in Gadus macrocephdus.)

  • 박선영;조성규;염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708-715
    • /
    • 2004
  • 칠성장어(Lampetra japonica) 간조직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 동위효소는 affinity chromatography에서 buffer를 유입한 후 용출된 분획에서 정제되었다. 대구(Gadus macrocephalus)의 liver-specific $C_4$동위효소는 열처리한 후 affinity chromatography하여 NAD+ 를 함유한 buffer에서 용출되기 시작하여 buffer를 유입한 후 $B_4$ 동위효소와 함께 용출되어, DEAE-Sephacel chromatography에 의해 정제되었다. 대구 간조직에서 열에 대한 안정성은$C_4$$B_4$$A_4$ 동위효소의 순서로 나타났다. Chromate-focusing에 의해 정제한 칠성장어 간조직의 pH 7.45 분획의 LDH 동위효소는 정제된 간조직 LDH보다 피루브산에 의한 기질저해도가 컸다. 칠성장어 간조직 LDH의 최적 pH는 7.5, liver-specific $C_4$동위효소는 pH 8.5였다. 칠성장어 간조직 LDH는 항원-항체반응에서 꺽지 $A_4$ 항체와 liver-specific $C_4$ 항체의 순서로 반응하였고 eye-specific $C_4$ 항체와는 반응 정도가 낮았다. 따라서 칠성장어 간조직 LDH는 하부단위체 A와 liver-specific $C_4$의 구조와 유사하게 진화되었으며, 하부단위체 C 는 진화속도가 매우 빠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칠성장어 간조직의 LDH는 단일 동위효소가 아니라, 하부단위체 A, B 및 C로 구성된 동위효소들인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