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C20

검색결과 639건 처리시간 0.04초

토양 중 음이온 바이오사이드의 HPLC-MS/MS 동시 정량분석법 (Simultaneous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nion biocides in soil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 양은영;신호상
    • 분석과학
    • /
    • 제28권5호
    • /
    • pp.317-322
    • /
    • 2015
  • 토양 중 음이온 바이오사이드인 chlorite, chlorate, cyanuric acid와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Na-DBS)의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동시 분석방법을 개발하였다. Chlorite와 chlorate는 물로 추출하였으며, cyanuric acid와 Na-DBS는 0.25 mM ammonium formate를 함유한 20 mM formic acid와 acetonitrile (1:1) 이동상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필터 후 직접 LC-MS/MS로 주입하였다. 분석물질이 검출되지 않는 토양에 각 성분들을 첨가한 후 정도관리를 실시한 결과 검출한계는 chlorite 0.04 mg/kg, chlorate 0.04 mg/kg, cyanuric acid 0.27 mg/kg 그리고 Na-DBS의 경우는 0.05 mg/kg 이었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AI로 소독제를 많이 사용한 장소 40개 지역과 사용하지 않은 지역 10개 대조 지역의 토양을 분석한 결과 대조지역을 포함한 모든 조사지역에서 네 가지 음이온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Normally Scattering(NS)/Normally Transparent (NT) 고분자 분산형 액정 모드에서 UV 조건에 따른 전기 광학특성 연구 (Study on the Electro-Optic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UV Condition in the Normally Scattering(NS)/Normally Transparent(NT)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Mode)

  • 김미숙;서영현;이명훈;이종문;이택수;이승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2
    • /
    • pp.1050-1053
    • /
    • 2003
  •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mode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ses, normally scattering mode (NS) and normally transparent (NT) mode according to an initial state. Electro-optic characteristic NS/NT PDLC mode can be improved by controlling the factors to influence the phase separation. In case of NS PDLC mode, we inspected change of a phase separation as a function of curing temperature for the mixture of E7 and NOA65 with different ratios. When the LC concentration is less than polymer such as LC : NOA65 = 40 : 60wt%, the PDLC cell is influenced strongly by the curing temperature. However, when LC concentration is much less than polymer such as LC : NOA65 : 80 : 20wt%, it is influenced slightly by the curing temperature. In case of NT PDLC mode, we observed change of a phase separation as a function of the ratio of the mixture and UV conditions such as curing temperature, UV intensity The cell made with strong UV intensity and curing temperature of $20^{\circ}C$, in case that the ratio of LC to polymer is 70:30wt%, showed good electro-optic characteristics.

  • PDF

고분자 분산형 액정 셀에서 혼합물의 비율에 따라 노광 온도가 초기 산란도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Initial Scattering State as a Function of Curing Temperature for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Cells with Different Mixing Ratio)

  • 김미숙;서영현;이명훈;이종문;이택수;이승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59-64
    • /
    • 2004
  • We have fabricated the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 cell where a control of phase separation is very important. The factors to influence the phase separation are mixing ratio of LC and polymer, curing temperature and UV intensity. In this paper, we inspected the change of a phase separation as a function of curing temperature for the mixture of E7 and. NOA65 with different ratios. When the LC concentration is less than polymer such as LC:NOA65 = 40:60wt%, the PDLC cell is influenced strongly by the curing temperature. However, when the LC concentration is much less than polymer such as LC:NOA65 = 80:20wt%, it is influenced slightly by the curing temperature. The reason is because the mixture shows upp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behavior an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know the behavior of phase separation as a function of curing temperature of the mixture.

교합면을 포함하지 않는 2급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수복물의 변연누출 (MARGINAL LEAKAGE OF CLASS 2 GLASS-IONOMER CEMENT RESTORATIONS NOT INVOLVING OCCLUSAL SURFACE)

  • 이영란;허복;이희주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1호
    • /
    • pp.288-295
    • /
    • 1998
  • The microleakage of direct-access Class 2 restorations was evaluated. Cavities were prepared at mesial and distal proximal enamel surfaces of 20 extracted human molars through buccal window. Prepared cavities were filled with Ketac-Fil, Ketac-Silver, and Fuji II LC, following manufacturer's instructions. 4 specimens of each restorations were made through sectioning 1/4 of bucco-lingual length mesio-distally after thermocycling between $5^{\circ}C$ and $60^{\circ}C$ and imerging 0.5% basic-fuchsin dye solution. Leakage at both occlusal and gingival margin of each specimen was scored 0 to 3 with stereo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t occlusal margin, leakage in Ketac-Fil group was more than Ketac-Silver and Fuji II LC group (ANOVA p<0.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etac-Silver and Fuji II LC group(p>0.05), and at gingival margi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ang materials (p>0.05). 2. Occlusal margin leaked more than gingival margin in Ketac-Silver and Fuji II LC group (t-test p<0.05). 3. Leakage was different according to bucco-lingual location in Ketac-Fil and Fuji II LC group, and lingaul specimen exhibited more leakage(ANOVA p<0.05).

  • PDF

셀로비오스의 미백화장품 소재 가능성 평가를 위한 멜라닌 세포에서 자가포식 및 멜라닌 생성 효능 연구 (Evaluation of the Potential of Cellobiose as a Material for Whitening Cosmetics based on Autophagy and Melanin Production Efficacy in Melanocytes)

  • 차병선;이석주;;정소영;이소민;;이상훈;;빈범호;곽병문;허효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65-372
    • /
    • 2022
  • 셀로비오스(cellobiose)는 식물 등에 널리 분포하는 셀롤로오스의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이당류이다. 환원당인 셀로비오스는 2 개의 β-1,4 결합으로 결합한 구조를 가지며, 식물 등에 존재하는 천연물로서, 건강식품이나 식품의 감미료, 화장품 원료, 의약품 원료로서 활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게 유용될 셀로비오스를 기능성 화장품인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자가포식 활성화 및 멜라닌 생성저해 효능을 검토하였다. 인간 유래 멜라닌 생성 세포로 알려진 MNT-1 세포에서 셀로비오스의 농도에 따른 독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20 mg/mL이하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공초점 현미경을 통해 셀룰비오스 처리에 따른 자가포식 표지자인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 light chain 3 (LC3) puncta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또한 LC3의 형태가 LC3-I에서 LC3-∏로 변환됨을 확인하였으며, 농도와 시간에 따라 LC3-II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셀로비오스를 동일 세포에서 20 mg/mL 농도로 7 일간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량을 분석한 결과, 50% 이상 멜라닌 생성 감소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멜라닌 생성 관련 단백질TYR 및 TYRP1의 발현량을 western blot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발현이 저해되어 멜라닌 생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내용을 기반을 토대로 셀로비오스를 함유한 화장품 크림제형을 확보하여 4 주 동안 제형의 변화를 확인 해본 결과 성상이 고온에서 액채형태로 변화하였지만 pH는 변화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자가포식 활성화 및 멜라닌 생성 억제 과정에 셀로비오스가 관여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인체 혈장 중 Ginsenoside Rg1의 정량을 위한 LC-MS/MS 분석법 검증 (Validation of LC-MS/MS method for determination of ginsenoside Rg1 in human plasma)

  • 김윤정;한송희;전지영;황민호;임용진;이선영;채수완;김민걸
    • 분석과학
    • /
    • 제26권4호
    • /
    • pp.221-227
    • /
    • 2013
  • LC-MS/MS를 이용하여 인체 혈장 중 ginsenoside Rg1의 신속하고 정확한 분석법을 개발하고 이 분석법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혈장 분석을 위하여 internal standard인 digoxin을 첨가한 후 acetone과 methanol용액 (80:20)으로 전처리하고, 그 상층액을 진공농축 한 후, LC-MS/MS로 분석하였다. 최적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은 0.1% formic acid 첨가된 water와 methanol을 이동상으로 하여 Agilent Eclipse XDB-C18 column ($4.6{\times}150mm$, $5{\mu}m$)을 이용하여 0.9 mL/min의 유속으로 gradient mode로 수행하였다. 혈장 중 ginsenoside Rg1의 표준 검량선은 1~500 ng/mL의 농도 범위에서 우수한 직선성($r^2=0.9995$)을 보였으며, 일내, 일간 정밀성은 변동계수 7.53% 이하, 정확성은 98.28% 이상이었다. 결과적으로 본 분석법은 ginsenoside Rg1의 약동학 연구에 적용되기에 충분한 감도와 특이성, 직선성, 정밀성 및 정확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LC-MS/MS를 이용한 소변 중 크레아티닌 분석의 측정불확도 평가 (Uncertainty evalu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creatinine in urine by LC-MS/MS)

  • 김진영;권운용;서승일;인문교
    • 분석과학
    • /
    • 제25권1호
    • /
    • pp.83-90
    • /
    • 2012
  • 소변 중 크레아티닌의 정상적인 농도범위는 30 - 300 mg/dL로 마약류 감정에 앞서 크레아티닌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소변 시료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있다. 크레아티닌 농도 측정을 위해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량분석법(LC-MS/MS,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을 사용하였다. 우선 소변 시료를 고속으로 원심분리한 후 10 ${\mu}L$를 분취하여 증류수 390 ${\mu}L$와 혼합하여 희석하였다. 희석된 시료 20 ${\mu}L$에 내부표준물질(5 ${\mu}g/mL$) 30 ${\mu}L$와 acetonitrile 10 ${\mu}L$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여과한 시료를 LC-MS/MS에 주입하였다. 크레아티닌은 multi-mode ODS column (Scherzo SM-C18, 75 ${\times}$ 2.0 mm, I.D. 3 ${\mu}m$)을 이용하여 분리하였고, 이동상은 0.2% formic acid와 acetonitrile로 구성되었으며 유속은 150 ${\mu}L$/min으로 하였다. 크레아티닌과 내부표준물질은 [M+H]$^+$ precursor ion과 특징적인 product ion을 한 쌍으로 m/z 114.0${\rightarrow}$ 86.0과 m/z 117.0${\rightarrow}$ 89.1에서 모니터링하여 정량에 적합한 크로마토그램을 얻을 수 있었다. 측정불확도 평가에 앞서 정량분석시 측정값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찾아내고 각각의 요소들이 측정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았다. 시료 희석, 검정 곡선, 재현성, 표준물질의 인자 순으로 측정불확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제 사람의 소변에서 크레아티닌 농도를 측정한 결과, 측정값에 대한 오차 범위의 상대불확도는 14.2%로 산출되었다.

출력 리플 저감을 위한 LED 드라이버의 주회로 방식 특성 비교 (Comparison of Main Circuit Type Characteristics of LED Driver for Output Ripple Reduction)

  • 박대수;김태경;오성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91-499
    • /
    • 2019
  • 최근에,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파워의 품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IEC 61000-3-2 규격은 조명을 위한 AC/DC 전원 공급 장치에 대하여 역률(PF)과 전체 파형 왜곡률(THD)에 대한 규격을 만족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또 출력단의 전류 변화에 의해 발광체 광량이 바뀜에 따라 발생되는 플리커 현상에 대해 유럽권 선진국가는 ripple rate의 기준을 15~30%로 설정해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기준을 마련하고 규제를 추진 중에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은 PFC 규격을 만족하고, 회로 1차, 2차 간 절연 기능을 가지기 위해 Flyback 컨버터를 적용하며, LED 전류의 저주파 리플을 저감하기 위해 Flyback, Coupled Inductor, LC 병렬 공진 필터, LLC 공진 필터, Cuk을 이용한 각각의 LED 구동회로를 PSIM을 통해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각각의 방식들을 비교하였으며, 출력측 리플 저감을 위해 1차측에 Coupled Inductor와 2차측에 LC 공진을 적용한 Coupled LC 공진 회로를 제안하였으며, Coupled LC 공진 방식은 출력 커패시터가 78uF으로 작으며, 출력 리플은 전압 2.38V, 전류 0.05A로 기존의 방식보다 22%의 출력 리플 저감을 확인 하였다.

2'-푸코실락토오스의 자가포식을 통한 멜라닌 감소 연구 (A Study on Melanin Reduction through Autophagy by 2'-Fucosyllactose)

  • 정소영;유한준;허효진;이소민;;차병선;;이상훈;빈범호;이미기;곽병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05-112
    • /
    • 2022
  • 2'-fucosyllactose (2'-FL)는 사람의 모유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올리고당(human milk oligosaccharides, HMOs)으로, 장내 유용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알레르기,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는 것에 도움을 준다. 다양한 긍정적 기능을 가진 2'-FL의 미백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통해 멜라닌 생성 저해 효능 및 자가포식 유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인간 유래 멜라닌 생성 세포로 알려진 MNT-1 세포에서 독성 실험을 진행하여 40 g/L 이하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동일 세포에서 20 g/L 농도로 7 일간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량을 분석한 결과, 40% 멜라닌 생성 감소를 확인하였다. 멜라닌 생성 관련 인자 TYR 및 TYRP1의 단백질 발현량을 western blot 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2'-FL 처리는 이들을 감소시켰으며, 더불어 자가포식 표지자인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 light chain 3 (LC3)의 형태가 LC3-I에서 LC3-𝚷로 변환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초점 현미경을 통해 2'-FL 처리에 따른 LC3 puncta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2'-FL로 활성화된 자가포식이 TYR 및 TYRP1 단백질 발현량을 저해시킴으로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시사된다. 결론적으로 2'-FL은 자가포식을 유도하여 멜라닌 생성이 억제됨이 확인되어 미백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