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BS 기반

검색결과 548건 처리시간 0.042초

특허 분석을 통한 LBS 기술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e-of-the-Art of LBS through Patent Analysis)

  • 조대수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65-75
    • /
    • 2006
  •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s: LBS)는 현재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전 세계 이동통신시장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차세대 기술 분야이다. 국내에서는 최근 이동통신 회사에서 위치기반서비스에 기반을 둔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위치기반서비스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위치기반서비스는 기술별로 위치측위기술, LBS플랫폼 기술, LBS 응용서비스 기술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1991년부터 2005년까지 위치기반서비스의 기술 분야별로 출원 및 등록된 특허를 분석함으로서 위치기반서비스의 기술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LBS 기술 개발에 있어 중복을 방지하고, 기존 기술과의 차별화된 기술개발 방향을 모색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위피 기반 LBS 단말 표준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LBS Terminal Standard Platform based on WIPI)

  • 장정아;최혜옥;김경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4A권5호
    • /
    • pp.309-316
    • /
    • 2007
  • 본 고에서는 최근 기술 개발되고 있는 위피 기반 LBS 단말 표준 플랫폼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위피 기반 LBS 단말 플랫폼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모바일 표준 플랫폼 규격에서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API 이다. 이러한 위피 기반 LBS 단말 표준 플랫폼은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단말 HAL API, 위피 C API, Java API 의 세가지 규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HAL 부문과 C 부문은 Generic I/O 기반으로 개발 정의하였고, 이에 대하여서는 본 고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표준 플랫폼을 통해 위치정보기반 컨텐츠의 활용, 모바일 단말기 개발자에게 위치정보의 활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LBS) 관련한 새로운 견해: 서비스사용으로 이끄는 요인들과 사생활염려의 모순 (New Insights on Mobile Location-based Services(LBS): Leading Factors to the Use of Services and Privacy Paradox)

  • 천은영;박용태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4호
    • /
    • pp.33-56
    • /
    • 2017
  • 위치기반서비스는 이동기기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한 향상된 서비스로 최근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응용프로그램에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관련한 기술 및 서비스 개발에 비해 위치기반서비스의 사용의도에 관한 실증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하다. 또한 선행연구들은 어느 한 요인을 중심으로 단편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사용의도와의 직접적인 영향 관계에 대해 제시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위치기반서비스 시장에서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자의 위치기반서비스 수용의도 및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모델을 제시하였고 3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조사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 맞춤화, 서비스 품질과 개인적 혁신성은 위치기반서비스의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용의도는 실제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위치기반서비스의 맥락 하에 서비스 맞춤화와 개인적 혁신성은 사생활보호염려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사생활보호염려는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의도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위치기반서비스에서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정보는 위치에 관한 정보로 금융거래에 관련한 정보에 비해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고 추측할 수 있으면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자들은 전자상거래와 같은 정보시스템 사용자들에 비해 사생활보호에 대해서 예민하게 받아들이기 보다는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의 이점을 더 중시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위치기반서비스의 맞춤화가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 결과는 인공지능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위치기반 서비스 사용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수요 특성을 효과적으로 충족시켜줄 수 있는 맞춤화된 서비스의 제공으로 사용자의 사용의도를 강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자의 사용의도와 실제사용에 미치는 요인들을 새롭게 다면적인 측면에서 실증적으로 조사하여 위치기반서비스와 관련하여 새로운 쟁점을 제시했으며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자의 사용의도와 실제사용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위치기반서비스 시장의 성장과 사용자들에 대한 효과적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개방형 고정밀 LBS(위치기반서비스) 플랫폼 구축과 공공부문 활용성 제고 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 for Setting up Open High Density LBS Platform and Improving the Public Usage)

  • 안종배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77-184
    • /
    • 2014
  • 스마트폰의 폭넓은 보급으로 LBS(위치기반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세월호 최초 신고자에게 위도와 경도를 해경이 문의할 정도로 LBS의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이 미비되어 있다. 특히 현재의 국내 LBS는 위치측위 오차범위의 한계가 커서 200M에서 1KM까지 오차가 발생하여 정밀한 위치 추적이 필요한 경우에는 위치정보의 실효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이에 5M 이내의 고정밀 위치측위 기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를 기반으로 LBS의 공공서비스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고정밀 LBS 플랫폼 구축을 위한 방안을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하여 개방형 고정밀 LBS 플랫폼의 구축 목적과 비전 그리고 개방형 고정밀 LBS 플랫폼의 구성체계와 구축방안 그리고 개방형 고정밀 LBS 플랫폼의 운영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개방형 고정밀 LBS 플랫폼의 공공부문 활용 방안과 중요도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국가 LBS 를 위한 4S 기반 프레임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4S Framework Structure for National LBS)

  • 김민수;주인학;오병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77-80
    • /
    • 2001
  • 이동통신시장 및 IT 시장의 급성장, Mobile 인터넷 기술의 발전 그리고 4S 관련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국내에서도 LBS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LBS 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4S 기술의 개념적 정의를 살펴보고, 특히 LBS 사업에 직간접 적으로 필요한 4S관련 기반구축연구 및 4S 핵심기술개발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4S 핵심기술개발 분야에서는 우선적으로 LBS 의 기반 기술이 되는 4S 핵심기술 및 상호연계 기술[3], 4S-Mobile 관련 기술 그리고 4S-VAN 관련 기술 개발 사항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며, 4S 관련 기반구축연구분야에서는 LBS 산업을 활성화하고자 할 때 문제 될 수 있는 4S 및 LBS 관련 표준화 작업, 법 및 제도연구 그리고 감리지침 모델 도출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이러한 4S 기반 프레임워크 구축이 향후 LBS 와 4S 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살펴본다.

  • PDF

모바일 와이맥스 망의 위치 기반 서비스 지원을 위한 위치 결정 방식 (An Enhanced Location Determination Mechanism for Supporting Location Based Service of Mobile WiMAX Networks)

  • 이계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29-334
    • /
    • 2010
  • 무선 이동 통신망의 발전으로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가 출현하고 있다. 와이브로 망과 같은 모바일 와이맥스 망에서도 LBS (Location Based Service) 서비스의 제공은 망 기술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와이맥스 포럼은 최근 LBS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망 구조 및 프로토콜을 네트워크 워킹 그룹의 release 1.5 문서에 포함하여 표준화 하였다. 그동안 와이브로 망에서 측위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어 왔지만, 최근 확립된 와이맥스 포럼의 LBS 표준을 고려하여 표준에 적합한 위치 결정 방식에 관한 연구는 아직 없다. 본 논문에서는 와이맥스 포럼의 LBS 표준을 고려하여, 이에 부합하는 위치 결정 방식을 제안한다. 이 방식은, RTD (Round Trip Delay) 방식을 결합하여 기존 TDOA 방식을 개선하였다.

LBS기반 M-Commerce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Commerce System-based on LBS)

  • 이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20-2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LBS(Location-Based Services)에 기반한 모바일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를 사용하여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고 실험결과 제안 시스템이 서버의 부하를 줄이고 접속시간을 단축하고, 마케팅 및 고객관리측면에서 효율적임을 확인 하였다. 향후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LBS기반 무선 전자상거래는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s)

  • 최혜옥
    • TTA 저널
    • /
    • 통권86호
    • /
    • pp.59-69
    • /
    • 2003
  • 본 고에서는 차세대 정보통신 핵심기술과 서비스로 대두되고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 기술 및 표준화 동향에 대하여 서술한다. 통합기술로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기술과 국내외 서비스 현황, 관련 기술에 대한 국내외 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 LBS 표준화포럼을 통하여 진행되고 있는 국내 LBS 표준화 활동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기술수요 조사 (Technological Review for Location Based Services)

  • 진희채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3-25
    • /
    • 2003
  • LBS의 등장은 무선인터넷의 이동성 특징에서 기인한다. 이 이동성을 대변하는 것은 바로 위치정보이고 무선인터넷 시장이 확산되면서 무선인터넷의 킬러 애플리케이션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한 분야로 급속하게 확장되고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의 기술모델을 수립하고 관련 기술들에 대한 중요도 등의 수요조사를 수행하는 것이다. 위치기반 서비스의 기술모델 구성 부분에서는 해외 모델들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여 각 기술구분에 의한 개념적 모델을 구성하였다. 이 모델은 일반화된 위치기반 서비스의 구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기술 분야의 기술수요조사를 가능하게 한다. 기술수요 조사에서는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의 개발과 제공에 대비한 수요자별 기술수요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함으로써 합리적인 기술개발, 관련 산업정책, 사업추진 및 산업 활성화 등에 효율성 및 적정성 유도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위치기반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 (Business Models for Location Based Services)

  • 김태성;전효정;남광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9B호
    • /
    • pp.848-856
    • /
    • 2006
  •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는 구난신호 등의 공익적인 활용을 포함한 이용 활성화와 위치정보라는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 강화의 측면에서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는 LBS 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을 위치정보흐름을 중심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비즈니스 모델 세부 유형별로 위치정보의 보호에 관련된 관점에서 검토를 한다. 마지막으로 LBS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의 성공을 위하여 필요한 LBS 서비스별 정보보호 문제 해결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해 정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