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BS

검색결과 870건 처리시간 0.032초

모바일 와이맥스 망의 위치 기반 서비스 지원을 위한 위치 결정 방식 (An Enhanced Location Determination Mechanism for Supporting Location Based Service of Mobile WiMAX Networks)

  • 이계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29-334
    • /
    • 2010
  • 무선 이동 통신망의 발전으로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가 출현하고 있다. 와이브로 망과 같은 모바일 와이맥스 망에서도 LBS (Location Based Service) 서비스의 제공은 망 기술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와이맥스 포럼은 최근 LBS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망 구조 및 프로토콜을 네트워크 워킹 그룹의 release 1.5 문서에 포함하여 표준화 하였다. 그동안 와이브로 망에서 측위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어 왔지만, 최근 확립된 와이맥스 포럼의 LBS 표준을 고려하여 표준에 적합한 위치 결정 방식에 관한 연구는 아직 없다. 본 논문에서는 와이맥스 포럼의 LBS 표준을 고려하여, 이에 부합하는 위치 결정 방식을 제안한다. 이 방식은, RTD (Round Trip Delay) 방식을 결합하여 기존 TDOA 방식을 개선하였다.

Continuous Moving Pattern Mining Approach in LBS Platform

  • LEE, J.W.;Heo, T.W.;Kim, K.S.;Lee, J.H.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597-599
    • /
    • 2003
  • Moving pattern is as a kind of sequential pattern, which can be extracted from the large volume of location history data. This sort of knowledge is very useful in supporting intelligence to the LBS or GIS.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continuous moving pattern mining approach in LBS platform and LBS Miner. The location updates of moving objects affect the set of the rules maintained. In our approach, we use the validity thresholds that indicate the next time to invoke the incremental pattern mining. The mining system will play a major role in supporting the various LBS solutions.

  • PDF

Mobile Client Webservice Architecture for Personal Navigation Service

  • Hong, Sang-Gi;Kim, Kyong-Ho;Park, Jong-Hy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691-693
    • /
    • 2003
  • The development of an open LBS platform makes it easy to us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elecommunication companies which have different platforms and to develop various LBS solutions using position information. This paper proposes a mobile webservice solution providing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to the mobile subscribers.

  • PDF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LBS) 관련한 새로운 견해: 서비스사용으로 이끄는 요인들과 사생활염려의 모순 (New Insights on Mobile Location-based Services(LBS): Leading Factors to the Use of Services and Privacy Paradox)

  • 천은영;박용태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4호
    • /
    • pp.33-56
    • /
    • 2017
  • 위치기반서비스는 이동기기의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한 향상된 서비스로 최근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응용프로그램에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관련한 기술 및 서비스 개발에 비해 위치기반서비스의 사용의도에 관한 실증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하다. 또한 선행연구들은 어느 한 요인을 중심으로 단편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사용의도와의 직접적인 영향 관계에 대해 제시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위치기반서비스 시장에서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자의 위치기반서비스 수용의도 및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모델을 제시하였고 3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조사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 맞춤화, 서비스 품질과 개인적 혁신성은 위치기반서비스의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용의도는 실제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위치기반서비스의 맥락 하에 서비스 맞춤화와 개인적 혁신성은 사생활보호염려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사생활보호염려는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의도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위치기반서비스에서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정보는 위치에 관한 정보로 금융거래에 관련한 정보에 비해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고 추측할 수 있으면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자들은 전자상거래와 같은 정보시스템 사용자들에 비해 사생활보호에 대해서 예민하게 받아들이기 보다는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의 이점을 더 중시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위치기반서비스의 맞춤화가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 결과는 인공지능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위치기반 서비스 사용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보수요 특성을 효과적으로 충족시켜줄 수 있는 맞춤화된 서비스의 제공으로 사용자의 사용의도를 강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자의 사용의도와 실제사용에 미치는 요인들을 새롭게 다면적인 측면에서 실증적으로 조사하여 위치기반서비스와 관련하여 새로운 쟁점을 제시했으며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자의 사용의도와 실제사용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위치기반서비스 시장의 성장과 사용자들에 대한 효과적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위치기반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 (Business Models for Location Based Services)

  • 김태성;전효정;남광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9B호
    • /
    • pp.848-856
    • /
    • 2006
  •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는 구난신호 등의 공익적인 활용을 포함한 이용 활성화와 위치정보라는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 강화의 측면에서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는 LBS 서비스의 비즈니스 모델을 위치정보흐름을 중심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비즈니스 모델 세부 유형별로 위치정보의 보호에 관련된 관점에서 검토를 한다. 마지막으로 LBS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의 성공을 위하여 필요한 LBS 서비스별 정보보호 문제 해결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해 정리한다.

Trusted Certificate Validation Scheme for Open LBS Application Based on XML Web Services

  • Moon, Ki-Young;Park, Nam-Je;Chung, Kyo-Il;Sohn, Sung-Won;Ryou, Jae-Cheol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권1호
    • /
    • pp.86-95
    • /
    • 2005
  • Location-based services or LBS refer to value-added service by processing information utilizing mobile user location. With the rapidly increasing wireless Internet subscribers and world LBS market, the various location based applications are introduced such as buddy finder, proximity and security services. As the killer application of the wireless Internet, the LBS have reconsidered technology about 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LBS middleware server for various application, and diverse contents processing technology. However, there are fears that this new wealth of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will lead to new security risks, to the invasion of the privacy of people and organizations. This paper describes a novel security approach on open LBS service to validate certificate based on current LBS platform environment using XKMS (XML Key Management Specification) and SAML (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 XACML (extensible Access Control Markup Language) in XML security mechanism.

위치기반(LBS) 모바일게임의 활성화방안 -국내게임과 해외게임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Methods for the Revitalization about LBS Mobile Game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nternal and Overseas Case Study-)

  • 유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74-84
    • /
    • 2008
  • 다양한 모바일 콘텐츠들 중에 모바일 게임은 이동통신사 서비스 중 킬러 콘텐츠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위치기반(LBS) 서비스는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며 차세대 킬러콘텐츠로 주목 받고 있다. 전문가 들은 향후 모바일 게임에 위치기반 기술이 결합된 형태의 LBS모바일 게임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로써는 여러 가지 제약 조건으로 인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직 활성화 되지못한 LBS 모바일게임의 활성화를 위한 문제점과 고려사항들에 대하여 2개의 LBS게임 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첫째는, 사용자에게 장기간의 네트워크 게임사용에 따른 요금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새롭고 다양한 요금제가 필요 하다는 것이다. 둘째는, 개인정보호의 노출에 대한 우려를 없앨 수 있는 정보 보호 정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속도와 위치 정보 등에 관한 주변 인프라의 확충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사용자가 개인정보가 보호된 상태로 편리하게 원하는 정보만을 받을 수 있는 데이터 수신에 관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가 되어져야 한다.

iBeacon을 이용한 지하철 도착 알림 시스템 (A Subway Arrival Notification System Using iBeacon)

  • 정현희;남춘성;신동렬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2호
    • /
    • pp.272-279
    • /
    • 2015
  • 현재 스마트 디바이스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는 점점 복잡하게 되어가고 있다. 대부분의 IT 전문가들은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추가적인 기능들이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주장한다. 모바일 서비스 형태의 대부분이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를 고려하기 때문에 이는 특히 중요한 연구로서 집중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Wi-Fi 기술은 위치 즉, 네트워크 존(Network Zone)이 변경됨에 따라 새로운 연결을 요구하기 때문에 위치 파악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GPS는 부정확한 실내 데이터를 가지기 때문에 실내 환경에서 LBS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여전한 시스템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iBeacon 기술이 설계되고 Wi-Fi 혹은 GPS 대신에 LBS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Bluetooth 4.0 LE 기술 기반 iBeacon을 사용하여 우리는 현재의 사용자 위치와 지하철 도착 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mLBS(micro LBS) 서비스를 정확하고 알맞게 제공하기 위한 M-SAS(Mobile-Subway Alarm Service System)을 제안한다.

실시간 모니터링 기법을 이용한 모바일 성능 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Mobil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Using Real-Time Monitoring Method)

  • 정택원;이철한;이종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894-1902
    • /
    • 2009
  • 최근에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LBS(Location Based Service), MDT(Mobile Data Terminal)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서비스가 일반화되면서 이들 서비스에 대한 성능을 자동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구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사용자 필드에서 사용자와 단말기 그리고 단말기와 모바일 서버간의 성능테스트가 가능하도록 모바일 성능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시나리오 관리 모듈, MDT monitoring, LBS monitoring, PDA monitoring의 4개의 모듈로 구성되며 시나리오 관리 모듈에 의해 각 모듈이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성능을 관리하도록 하였다. LBS 모니터링은 LBS 발신 단계, 호 연결 상태, 접속 상태에서의 LBS 테스트 단계를 거쳐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 호의 상태에 따라 성능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였다. MDT 모니터링은 입력상태에 따라 command가 수행하도록 구현하였으며, PDA 모니터링은 설정메뉴와 실행메뉴에 따라 모니터링이 수행되도록 구현하였다.

공연산업에서 NFC와 LBS 마케팅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Marketing of NFC and LBS in Public Performance)

  • 박범진;장정환;이창호;이광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01-308
    • /
    • 2015
  • To invigorate and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in public performance, this thesis reviewed the literatures such as papers, academic materials and internet information on marketing in public performance. We performed surveys for specialists and non-specialists of public performance from on-line or off-line for questionnaire which is classified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endency for seeing public performance and for knowledge of NFC and LBS, and analyzed the questionnaires for knowing the effects of NFC and LBS marketing in public performance. This thesis revealed generally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NFC than LBS, especially for specialists as compared with non-specilists. The reason of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LBS than NFC is that LBS technique has privacy problem about personal information by exposing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The reason of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NFC to non-specialists is that there are insufficiency of promotion for NFC technique and contents utilizing NFC. A total average score for a level of satisfaction of NFC and LBS service was revealed high as more than 3.50 out of 5.00. Through this thesis we suggest the public performance marketing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