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ATE

검색결과 1,726건 처리시간 0.031초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있어서 Sodium Pyruvate와 Hemicalcium Lactate 및 Glucose의 영향

  • 임성묵;김정익;정희태;양부근;박춘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64-64
    • /
    • 2003
  • 본 연구는 돼지의 미성숙란을 체외에서 성숙, 수정시킨 후 생산된 체외수정란을 NCSU23 체외배양액에 sodium pyruvate, hemicalcium lactate 및 glucose를 첨가해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NCSU23 체외배양액에 Glucose 0 mM, 2.78 mM, 5.56 mM 및 11.12 mM을 처리하여 체외배양한 결과 분할율은 glucose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나타냈으며(P<0.05), 상실배까지 체외발육률 또한 glucose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나타냈다 (P<0.05). 한편 배반포까지의 체외발육율은 5.56 mM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Glucose와 0.4mM sodium pyruvate, 2mM hemicalcium lactate 공동배양 처리구와 glucose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의 분할율은 처리구간 커다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 발육율도 처리구간 커다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각 처리구간 분할율은 hemicalcium lactate와 glucose공동배양 처리구가 가장 좋은 성적을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 발육율은 hemicalcium lactate만 첨가한 처리구가 가장 좋은 성적을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Sodium pyruvate를 체외수정 후 8시간, 48시간, 96시간, 120시간에 제거하였을 때 분할율은 sodium pyruvate를 제거하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분할율이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 발육율은 제거하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체외 발육율이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배양시 glucose의 첨가는 체외발육을 증진시키는 결과가 있었으며, glucose와 sodium pyruvate, hemicalcium lactate 공동배양은 체외배양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Pre- and Post-workout Energy Bar Supplementation on Blood Lactate and Fitness in Young Adults with CrossFit Training: A randomized crossover study

  • Byung-Gul Lim;Xinxing Li;Wook Song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61-71
    • /
    • 2023
  • Purpose : Energy bars are increasingly popular among active individuals, yet their timing and nutrient combinations' impact on exercise adaptation remains unclear.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is knowledge gap by investigating whether the combination of pre- and post-workout supplementation can synergistically enhance fitness and alleviate fatigue in trained CrossFit participants. Investigate if combining pre- and post-workout supplements can enhance fitness and blood lactate management in trained CrossFit participants, potentially improving exercise performance for this group. Methods : In a randomized crossover study, 20 trained CrossFit individuals (11 males, 9 females) completed thrice-weekly 60-minute CrossFit sessions for 3 weeks, with a one-week washout perio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chocolate bar group (CH, 45 g, 225 kcal) or an energy bar group (ES, 48 g, 238 kcal, with protein, caffeine, taurine, and BCAAs). For one week, participants consumed two bars of their assigned supplement five minutes before and after workouts. After a washout period, they switched supplements. Blood lactate levels and a visual analog scale (VAS) were assessed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30 minutes post-workout. Fitness tests (hand grip, broad jump, sit-ups) were conducted at baseline and 30 minutes post-final workout. Data were analyzed using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p<.05), 95 % confidence intervals, and magnitude inferences. Results : Hand grip strength (t=-5.60, p=.000), broad jump (t=-3.43, p=.003) and sit up (t=-3.94, 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S group. Compared to CH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time and group interactions for blood lactate level (F=5.51, p=.008) and VAS(F=31.67, p=.000) in the ES group. Conclusion : Pre- and post-workout energy bar supplementation may have a beneficial effect on blood lactate clearance and fitness in trained CrossFit individual. The combination of proprietary supplements taken may provide benefits for removing the blood lactate during high-intensity functional exercise.

전기자극 시 활동주기 형태의 변화가 혈중젖산과 혈장효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anging Duty Cycle With Electrical Stimulation on Blood Lactate and Plasma Enzyme)

  • 고태성;정호발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0-97
    • /
    • 2005
  • By measuring changes in blood lactate and plasma enzyme (CPK, GOT, GPT) with electrical stimulation applied at two duty cycles,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which type of duty cycle may have more effects on blood lactate and plasma enzyme constituents through animal experiment so as to determine any duty cycle appropriate for electrical treatment. In this study, electrical stimulation was applied to total 20 Korean house rabbits (weight: 3~3.5 kg) by means of an electrical therapeutic apparatus called TS6000 (made in Netherlands) at duty cycle of 50% and 20% respectively for 30 minutes. Here, 5 cc of blood was collected from their carotid artery before stimulation and in 30 minutes after stimulation respectively to carry out biochemical experiment and analysis. As determined through the above experiment, blood lactate rate was increased to 333.07% at 50% duty cycle after experiment and 185.71% at 20% duty cycle after experiment respectively. In both cases, blood lactate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higher level after electrical stimulation than before. Moreover, the rate of change in the average of blood lactate rate at both duty cycles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PK rate was boosted to 301.82% at 50% duty cycle after experiment and 321.35% at 20% duty cycle after experiment respectively. In both cases, CPK rate was remarkably boosted to higher level after stimulation than before (p<.05). However,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change in average CPK at both duty cycles (p<.05). GOT rate was significantly boosted up to 38.97% at 50% duty cycle after experiment (p<.05), while it was slightly increased to 1.68% at 20% duty cycle after experiment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 Rather, GPT rate dropped slightly at both duty cycles after experiment, but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Although blood lactate and GOT were relatively less generated at 20% duty cycle after electrical stimulation than at 50% duty cycle, the change of duty cycle didn'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CPK rate. In this regard, this study failed to come any consistent conclusion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change of duty cycle and muscle fatigue. Therefore, it is advisable that follow-up studies seek various ways to a little more effectively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o laboratory animals by avoiding their muscle fatigue. GOT rate was significantly boosted up to 38.97% at 50% duty cycle after experiment (p<.05), while it was slightly increased to 1.68% at 20% duty cycle after experiment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 Rather, GPT rate dropped slightly at both duty cycles after experiment, but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Although blood lactate and GOT were relatively less generated at 20% duty cycle after electrical stimulation than at 50% duty cycle, the change of duty cycle didn'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CPK rate. In this regard, this study failed to come any consistent conclusion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change of duty cycle and muscle fatigue. Therefore, it is advisable that follow-up studies seek various ways to a little more effectively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o laboratory animals by avoiding their muscle fatigue.

  • PDF

꼬막 패각으로 제조한 젖산칼슘과 구연산칼슘의 순도 향상에 대한 연구 (Purity Improvement of Calcium Lactate and Calcium Citrate Prepared with Shell of Anadarac tegillarca granosa)

  • 강미숙;소관순;신동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28-133
    • /
    • 2005
  • 꼬막 패각 회화분을 이용하여 칼슘 보조제로서 사용 할 수 있는 젖산칼슘과 구연산칼슘을 제조하였으며, ammonium chloride process(ACP) ammonium nitrate process(ANP)법을 적용하여 이들의 순도를 높이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꼬막 패각 회화분을 젖산용액과 구연산용액과 반응시켜 얻은 젖산칼슘과 구연산칼슘의 순도는 각 용액의 농도에 따라 각각 $94.35-96.72\%$$87.58-93.06\%$이었다. 꼬막 패각 회화분에 ACP법 혹은 ANP법을 적용하여 정제한 탄산칼슘으로 제조한 젖산칼슘과 구연산칼슘의 순도는 각 용액의 농도에 따라 각각 $99.53-100.34\%$$99.32-99.88\%$를 나타내어 꼬막 패각 회화분을 직접 이용하여 제조한 것보다 순도가 상당히 높아졌으며, 식품첨가물공전의 규격기준에 적합한 칼슘제제를 얻을 수 있었다 꼬막 패각 회화분으로 제조한 젖산칼슘과 구연산칼슘의 백색도는 각각 91.8과 92.9이었으나 ACP법 혹은 ANP법을 적용한 경우는 각각 94.8-98.5와 99.4-101.5로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폐기물로 버려지는 꼬막 패각 회화분에 ACP법과 ANP법을 적용하여 정제한 탄산칼슘으로 제조한 젖산칼슘과 구연산칼슘은 순도와 백색도에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포장 어묵의 수분활성 저하에 미치는 식품첨가제의 영향 2. 전분류, glycine, sodium lactate의 영향 및 어목의 수분활성예측법 (Effect of Food Humectant on Lowering Water Activity of Casing Kamaboko. 2. Effect of Lowering Water Activity of Starch, Glycine and Sodium Lactate and Prediction of the Water Activity Lowering Ability of Humectants)

  • 김동수;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4-82
    • /
    • 1982
  • 포장 어묵을 제조할 때에 수분량을 일정하게 조정하여 각종 수분황성저하제를 첨가하였을 재 제품에 미치는 첨가제의 수분활성 저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보(Kim and Park,1981)에 이어 전분류, glycine, sodium lactate의 영향을 살펴보았고 또한 실제 측정된 수분활성치와 Raoult의 식으로 계산한 예측치 및 Sloan and Labuza(l976)가 제안한직선경사법에 대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1. 옥수수, 감자, 고구마 및 소맥 전분은 다른 첨가물에 비하여 수분활성 저하 효과가 적었으며 가전분류의 효과는 거의 비슷하였다. 2. glycine 의 경우는 전분류에 비하여 상당히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sodium lactate 보다는 떨어졌다. 3. sodium lactate의 수분활성 저하 효과는 상당히 우수하여 glycine의 3배 정도 효과가 있었으나 약간 짠맛이 있어 이를 완화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고 생각된다. 4. 동일 첨가제에 있어서는 제품의 수분함량이 적은 경우가 수분활성 저하효과가 다소 나은 경향을 보였다. 5. Raoult의 식에 의하여 계산된 예측치는 식염과 sodium lactate의 경우를 제외하면 거의 실측치와 일치 되었다. 6. 본 실험에서 구한 각종 humectant의 회귀식은 수분활성 예측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Bacillus cereus에서 유래한 Lactate Dehydrogenase 동질효소 유전자의 대장균 내 발현 및 효소특성 규명 (Enzymatic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s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 장명운;박정미;이홍균;이소라;김태집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13-218
    • /
    • 2010
  • Lactate dehydrogenases (LDHs)는 세포 내의 생화학적 대사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효소로서 오랜 동안 많은 관심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미생물 genome database의 탐색을 통해 Bacillus cereus ATCC 14579 genome으로부터 LDH로 추정되는 3종의 유전자를 발견하고, 대장균에서 클로닝 및 대량 발현하였다. 모든 BcLDH 동질효소들의 상동부위 아미노산 잔기 대부분이 기존의 $NAD^+$-의존형 LDH와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한편 314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BcLDH1과 2는 86%의 서열 상동성을 보였으나, BcLDH3와는 49%의 상동성을 나타냈다. 흥미롭게도 BcLDH1만이 $NAD^+$ 조효소 존재 하에서 L-lactate와 pyruvate 간의 상호전환 활성을 나타냈으며, 그 외의 동질효소들은 거의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BcLDH1은 전형적인 $NAD^+$-의존형이며, L-lactate에 특이적인 dehydrogenase 효소임을 확인하였다.

젖산 산화효소-카탈라아제-미토콘드리아 전극 제작 및 특성 분석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ate Oxidase-catalase-mitochondria Electrode)

  • 시키;마니칸단 키에르티 부샨;최영봉;김창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2권3호
    • /
    • pp.238-245
    • /
    • 2024
  • 젖산 전극은 환자의 건강상태와 스트레스 수준, 및 운동선수의 피로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젖산 센서 또는 젖산 연료전지 전극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젖산 산화효소, 카탈라아제, 미토콘드리아로 구성된 고성능 전극을 제작하고 전극의 표면분석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로 개질된 탄소종이(CPSWCNT)는 개질 전보다 전기 전도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젖산 산화효소, 카탈라아제, 그리고 미토콘드리아가 부착된 전극(CP-SWCNT-LOx-Cat-Mito)은 젖산 산화효소와 카탈라아제가 부착된 전극에 비하여 많은 전류를 생산하였다. 빌리루빈 산화효소(BOD)가 부착된 전극(CP-SWCNT-BOD)이 생산하는 환원전류량은 전해질의 산소 존재 유무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다. CP-SWCNT-LOx-Cat-Mito (anode)와 CP-SWCNT-BOD (cathode)로 구성된 연료전지는 133 ㎂/cm2로 방전 시 0.2 V의 셀 전위를 유지하며 29 ㎼/cm2의 전력을 생산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미토콘드리아가 젖산 센서 및 연료전지 성능 향상에 필수적인 생체물질임을 시사한다.

Recovery of Lactic Acid from Fermentation Broth by the Two-Stage Process of Nanofiltration and Water-Splitting Electrodialysis

  • Lee, Eun-Gyo;Kang, Sang-Hyeon;Kim, Hyun-Han;Chang, Yong-Keu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4호
    • /
    • pp.313-318
    • /
    • 2006
  • A two-stage process of nanofiltration and water-splitting electrodialysis was investigated for lactic acid recovery from fermentation broth. In this process, sodium lactate is isolated from fermentation broth in the first stage of nanofiltration by using an NTR-729HF membrane, and then is converted to lactic acid in the second stage by water-splitting electrodialysis. To determine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for nanofiltration, the effects of pressure, lactate concentration, pH, and known added impurities were studied. Lactate rejection was less than 5%, magnesium rejection approximated 45%, and calcium rejection was at 40%. In subsequent water-splitting electrodialysis, both the sodium lactate conversion to lactic acid and sodium hydroxide recovery, were about 95%, with a power requirement of $0.9{\sim}1.0\; kWh$ per kg of lactate.

Preparation and in vivo Evaluation of a Sildenafil Lactate-loaded Solid Self-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 Jung, Si-Young;Kim, Dong-Wuk;Lee, Dong-Won;Woo, Jong-Soo;Kim, Jong-Oh;Yong, Chul-Soon;Choi, Han-Gon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41권4호
    • /
    • pp.249-253
    • /
    • 2011
  • To develop a sildenafil lactate-loaded solid self-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SEDDS) with a fast onset of action and immediate action of erection, sildenafil lactate (0.3 g), which was prepared using a spray dryer, was dissolved in 4.7 g of the mixture of glyceryl monooleate/Transcutol/ Tween 20 (3/0.5/1, g). Its emulsion droplet size and pharmacokinetics in rabbits were evaluated compared with sildenafil citrate-loaded commercial tablet. The sildenafil lactateloaded SEDDS showed an emulsion droplet size of about 300 nm. In pharmacokinetics study, it gave significantly faster Tmax than did the commercial tablet. Thus, the sildenafil lactate-loaded SEDDS at the one-third drug dose compared to sildenafil citrate-loaded conventional tablet might induce a fast onset of action and immediate erection without enhanced bioavailability compared with the sildenafil citrate-loaded commercial tablet.

호르몬, 아미노산 및 단백질이 첨가되지 않는 단순배양배지내 소 난포란의 탄수화물 요구량 (Carbohydrate Requirements of Follicular Bovine Oocytes Cultured in a Chemically Defined, Hormone-, Amino Acid- and Protein-Free Medium)

  • 임정묵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권1호
    • /
    • pp.1-8
    • /
    • 1997
  • 본 연구는 단순배양체계내 소 난포란의 성숙에 요구된는 탄수화물 (glucose, lactate와 pyruvate)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GV(germinal vesicle) 단계의 난구세포로 둘러싸인 소 난자를 단백질, 아미노산 및 호르몬이 첨가되지 않은 modified Tyrodes (mT)에서 24시간, 5% $CO_{2}$ 배양기를 이용하여 성숙배양하였다. Glucose 무첨가군 (0-61%)에 비해 5.6mM의 glucose 첨가군 (71-74%)이 유의적으로 높은 (P<0.05) M-II단계로의 난자 발육을 나타내었다. Glucose를 함유한 배지내에서는 lactate(10mM0와 pyruvate(0.5mM)의 첨가에 따르는 M-II 단계로의 발육에 있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glucose 무첨가 배지에서는 pyruvate와 lactate를 첨가하는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condensed GV(76%vs. 0-2%), M-II, (43-61%vs. 0%)단계에 이른 난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Glucose 함유 mT배지에 lactate와 pyruvate를 첨가하여 난자를 배양하였을 때, 동결융해 정자와 24시간 정치한 후 난자중 87-93%가 정자침투되었고 39-44%가 전핵단계로 발육하였다. 침투난자의 26-30%는 다정자수정이었다. 결론적으로, GV 단계의 소 난포란은 에너지원으로 lactate, glucose와 Pyruvate를 이용하지만, 감수분열 성숙을 유지하는데 glucose가 가장 효과적이다. 이 결과들로 보아 단순배양배지는 소 난포란의 체외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물질들을 연구하는데 잠재적으로 유용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