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1Hs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6초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정상 C-반응성 단백질 농도를 가진 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가지는 임상적 의의 (The Clinical Value of Intima-media Thickness in Patients with Stable Coronary Artery Disease and C-reactive Protein within Normal Limits)

  • 권종범;박건;최시영;박찬범;김용환;허성호;박만원;이종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5호
    • /
    • pp.482-489
    • /
    • 2010
  • 배경: 본 연구에서는 정상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hs-CRP) 농도를 가진 안정형 관상동맥 질환 환자에서 관상동맥 질환의 중증도를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서 신뢰도가 높고, 용이한 방법인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688명의 안정형 관상동맥 질환 환자에서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인($\geq$0.5 mg/dL) 121명의 환자를 제외한 5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미 알려진 관상동맥 유발 위험 인자들과 좌측 경동맥 내중막 두께 그리고 관상동맥 질환 중증도의 연관성을 알아 보았다. 환자들은 중간값(median-value)을 기준으로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높은 군과 낮은 군으로 나누었고 관상동맥 조영술 상 3개의 주 관상동맥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관상동맥에서 원래 직경의 50% 이상 좁아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567명의 환자들 중, 중간값인 0.76 mm을 기준으로 300명(52.9%)은 경동맥 두께가 낮은 군에, 267명(47.1%)은 높은 군에 속하였다.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하면 높은 연령(49세 이하 vs. 70세 이상; 상대적위험률=6.552), 높은 공복 혈당(99 mg/dL 이하 vs. 120 mg/dL 이상; 상대적위험률=1.713), 관상동맥질환의 중증도(1 혈관질환 vs. 2 혈관질환; 상대적위험률=1.711, 1 혈관질환 vs. 3 혈관질환; 상대적위험률=1.714)에서 유의하게 의미가 있었다. 결론: 우리는 안정형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의의있게 큰 경우 C-반응성 단백질의 농도가 정상이라도 관상동맥 질환이 더 다혈관질환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할 수 있다.

Clostridium butyricum NCIB 9576에 의한 당으로부터 혐기적 수소생산 (Hydrogen Gas Production by Fermentation from Various Sugars Using Clostridium butyricum NCIB 9576)

  • 김미선;문광웅;이인구;이태진;성창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2-69
    • /
    • 1999
  • Clostridium butyricum NCIB 9576 evolved hydrogen gas and produced various organic acids from glucose, lactose, starch, and glycerol. Total amount of hydrogen gas produced from 1 and 2% glucose were 630 and 950ml $H_2$/l-broth, respectively, for the first 24 hrs of incubation and the maximum hydrogen production rates were 42 and 94ml $H_2$/hr/1-broth, respectively. Teh initial pH 6.8 decreased to 4.2~4.5 during the first 12~16 hrs of fermentation when the pH was not controlled, resulting in ceasing the cell growth and hydrogen evolution and in degradation of 82 and 40% glucose after 24hrs of incubation from 1 and 2% glucose, respectively. When pH was controlled to 5.5, glucose was consumed completely and resulted in increasing hydrogen production approximately 38~50% compared to the experiments without the pH control. C. butyricum NCIB 9576 produced hydrogen gas approximately 644, 1,700 and 3,080 ml $H_2$/l-broth with 0.5, 1 and 2% lactose, respectively and the maximum hydrogen production rates were 41, 141 and 179ml $H_2$/hr/l-broth, respectively. All of the lactose added was degraded completely during fermentation even though pH was not controlled. C. butyricum NCIB 9576 produced 183 and 709ml $H_2$/l-broth with 0.1 and 0.5% starch for 48 hrs, respectively, when pH was not controlled. The maximum rates of hydrogen gas production were 43 and 186ml $H_2$/l-broth, respectively and 80~100% of starch added was fermented. Approximately 107ml $H_2$/l-broth was produced using 1% glycerol by C. butyricum NCIB 9576 and the pH was maintained higher than 6.1 during fermentation without pH control. The degradation of glucose, lactose, starch and glycerol by C. butyricum NCIB 9576 were affected by the pH of fermentation broth and the organic acids released during fermentation. The pH of feremtntation broth dropped to 4.2~4.6 after 12~14 hrs incubation when glucose was used as a substrate while pHs were maintained above pH 5 under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when lactose, starch and glycerol were used. The organic solvents and acids produced during glucose fermentation were mainly ethanol, butyrate, acetate and a little of propionate, while butyrate was the main organic acids during the lactose, starch, and glycerol fermentation by C. butyricum NCIB 9576.

  • PDF

저온성 세균 Acinetobacter calcoaceticus A1-1의 원유분해 특성 (Crude Oil-degrading Properties of Psychrotrophic Bacterium Acinetobacter calcoaceticus A1-1)

  • 윤희정;김상진;민경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4-81
    • /
    • 1993
  • 저온성 세균 Acinetobacter calcoaceticus A1-1의 유류분해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환경적 요인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세균의 성장율과 유화활성도에 대한 적정 환경조건은 온도 $15^{\circ}C$, pH 7.5, 염분도 0-3, 원유농도 0.1로 나타났고 질소원과 인원의 적정농도는$(NH_4)_2S0_4$$K_2HP0_4$, 형태로 각각 0.76 mM, 0.057mM이다. 온도에 따른 A.calcoaceticus A1-1의 유류분해 양상을 개스크로마토그라피로 분석한 결과 $10^{\circ}C$, $15^{\circ}C$에서 대부분의 탄화수소 피크가 감소되어 상당 정도의 유류분해를 관찰 할 수 있었다. 반면 $25^{\circ}C$의 경우에는 120시간 배양한 후에도 원유에 포함된 포화탄화수소 화합물들이 부분적으로만 분해되었다.

  • PDF

유산균 발효에 의한 율피(Castanea crenata inner shell) 열수추출물의 아토피 피부 질환에 관한 효과 연구 (Anti-allergic activities of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extracts fermented by Lactobacillus bifermentans)

  • 최미옥;김배진;조성경;정희경;이진태;김학윤;권대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83-59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밤나무 과실의 속껍질인 율피를 이용하여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기능성 원료로 사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율피 열수추출물과 율피 발효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 mg/mL에서 각각 $73.85{\pm}1.78$, $81.32{\pm}1.73{\mu}g/mL$였으며, 동일한 농도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8.72{\pm}0.20$, $14.70{\pm}0.21{\mu}g/mL$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으로 율피 열수 추출물과 율피 발효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1 mg/mL에서 각각 $73.74{\pm}1.18$, $67.17{\pm}1.87%$로 나타났으며,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은 동일한 농도에서 각각 $91.58{\pm}2.51$, $100.15{\pm}4.30%$로 두 그룹 간 항산화 활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HS68 세포를 대상으로 율피 열수추출물과 율피 발효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을 조사 한 결과, 율피 발효추출물에서 율피 추출물과 비교 시 세포 생존율이 1.33배 증가하였다. 또한 LPS로 유도된 RAW264.7 대식세포에서 0.05 mg/mL 율피 열수추출물과 율피 발효추출물 처리에 의한 NO생산량은 각각 $36.27{\pm}4.52$, $29.56{\pm}4.91{\mu}M$로 율피 발효 추출물 처리군에서 항염증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아토피 유발 NC/Nga 마우스 모델에서 율피 열수추출물 및 율피 발효추출물을 도포하여 육안 상 관찰한 피부 병변은 율피 열수추출물 처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해 피부 형태학적으로 일부 호전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율피 발효추출물 처리군은 멜라닌 함량과 피부 홍반의 감소 등 뚜렷한 개선효과를 보였으며 정상군과 유사한 피부 형태를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에 존재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beta}$와 TNF-${\alpha}$의 발현이 율피 열수추출물과 비교 시 율피 발효추출물에서는 각각 13.68, 3.63% 억제되었다. 이는 in vitro 실험과 유사하게 염증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율피 발효추출물이 염증억제 효과는 물론 항아토피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율피 열수추출물 뿐만 아니라 율피 발효추출물 역시 아토피 피부질환을 개선하는데 유용한 물질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조성물이라 사료된다.

오디 및 자초추출물의 피부 광노화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Mulberry and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on Anti-aging against Photodamage)

  • 정유석;정희경;홍주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744-1752
    • /
    • 2013
  • 본 연구에서 적색의 색소 성분을 함유한 오디 및 자초 추출물의 피부 광노화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오디 추출물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한 결과 4.92 mg/g이었고 HPLC 분석을 통한 자초 추출물의 shikonin 함량은 9.58 mg/g으로 나타났다. 오디 및 자초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각각 84.32%와 57.46%로 분석되어 오디가 우수하였으며,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은 오디 추출물이 76.34%로 자초추출물 61.55%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오디 및 자초추출물의 ORAC 값은 각각 $545.37{\mu}moles$ TE/g과 $427.18{\mu}moles$ TE/g으로 분석되어 오디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HS68 세포에서의 UVB 조사군과 비교 시 MMP-1 생산 억제율은 오디 및 자초 추출물 $200{\mu}g/mL$ 첨가 시 각각 68.6%, 32.7%로 분석되었다. 무모쥐를 이용한 UVB 광노화 피부 동물 모델에서 오디 및 자초 추출물의 피부조직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시료 처리군이 무처리군에 비해 홍반, 주름 두께 및 깊이, 표피 비후, 콜라겐 각질층, 표피층이 감소되었으며 수분함량은 증가하였다. 총 주름 깊이의 경우, 오디 추출물 7% 처리군과 자초 추출물 5% 처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 시 30% 가량 억제되어 in vitro에서 뿐만 아니라 in vivo에서도 오디 및 자초 추출물이 UVB에 의한 피부 광노화 보호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농업용(農業用) 저수지(貯水池)의 유역(流域) 특성인자(特性因子)와 첨두유량(尖頭流量)과의 상관분석(相關分析) (Correlation-Analysis between Characteristic Factors of Watersheds and Peak flows in the Irrigation Reservoirs)

  • 서승덕;송이호;김활곤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0권
    • /
    • pp.35-40
    • /
    • 1992
  • 전국(全國) 112개(個) 저수지(貯水池)를 대상(對象)으로 유성인자간(流城因子間)의 관계(關係) 및 유성인자(流城因子)와 첨두유량(尖頭流量)과의 관계(關係)를 조사(調査)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유성면적(流城面積)과 주하천장(主河川長), 유성면적(流城面積)과 유성(流城)의 주장(周長), 유성면적(流城面積)과 지류총연장(支流總延長), 주하천장(主河川長)과 유성(流城)의 주장(周長), 주하천장(主河川長)과 하천중심장(河川重心長), 주하천(主河川) 평균경사(平均傾斜)와 유성(流城)의 평균표고(平均標高)와의 관계(關係)를 상관분석(相關分析)하여 상호간(相互間)의 상관관계식(相關關係式)을 유도(誘導)하였다. 2. 각 유성인자(流城因子)와 첨두류량(尖頭流量)과의 단순상관분석(單純相關分析) 결과(結果) 상관계수(相關係數) r=0.004~0.546으로 비교적(比較的) 낮게 나타나 유성(流城)으로부터의 유출현상(流出現象)은 그 유성(流城)의 여러 인자(因子)에 영향(影響)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3. 유성면적(流城面積), 주하천장(主河川長), 주하천(主河川) 평균경사(平均傾斜), 저수지(貯水池) 설치점(設置點)의 표고(標高)를 독립변수(獨立變數)로 하여 첨두유량(尖頭流量)과의 다중상관분석(多衆相關分析)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Q_{100}=66.43A^{0.869}L^{-0.536}S^{0.456}Hs^{-0.122}$인 상관식(相關式)이 유도(誘導)되었다.

  • PDF

명태 껍질 유래 콜라겐의 분자량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Collagen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from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Skin)

  • 양수진;홍주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535-1542
    • /
    • 2014
  • 어류 부산물인 명태 껍질에서 콜라겐을 추출하기 위하여 0.1 N NaOH로 알칼리 처리 후 pepsin으로 효소 처리하였고 저분자화를 위해 neutrase를 이용하여 분자량별로 콜라겐을 제조하였다. 콜라겐은 1 kDa 이하, 1~3 kDa, 3~10 kDa 및 10 kDa 이상으로 분자량별로 분리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분자량에 따른 콜라겐 함량은 1 kDa 이하에서 36.43%로 가장 높았으며 유리 아미노산 조성은 1 kDa 이하, 1~3 kDa, 3~10 kDa 및 10 kDa 이상에서 각각 1,603.69, 1,000.55, 475.04, 415.73 mg/100 g으로 분자량이 작을수록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콜라겐의 분자구조를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로 측정한 결과 분자량에 따른 콜라겐 모두 amide A, amide I, amide II, amide III의 범위에 wavenumber 속에 포함되었으며 콜라겐 표준품과 유사한 peak band 값을 나타내어 화학구조가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전자공여능과 superoxide dismutase 유사 활성은 1 kDa 이하에서 각각 29.51%, 38.45%로 가장 높았으며 분자량이 커질수록 그 값은 감소하였다.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alpha}$-MSH를 첨가한 tyrosinase 활성 측정은 1 kDa 이하에서 농도 유의적으로 tyrosinase 활성을 저해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광노화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는 HS68 cell을 이용하여 MMP-1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10 kDa 이상에서는 MMP-1 저해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3 kDa 이하에서는 MMP-1 저해 활성이 나타나 세포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콜라겐의 분자량은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저분자 콜라겐은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Biodesulfurization of Dibenzothiophene and Its Derivatives Using Resting and Immobilized Cells of Sphingomonas subarctica T7b

  • Gunam, Ida Bagus Wayan;Yamamura, Kenta;Sujaya, I. Nengah;Antara, Nyoman Semadi;Aryanta, Wayan Redi;Tanaka, Michiko;Tomita, Fusao;Sone, Teruo;Asano, Koz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4호
    • /
    • pp.473-482
    • /
    • 2013
  • The desulfurization ability of Sphingomonas subarctica T7b was evaluated using resting and immobilized cells with dibenzothiophene (DBT), alkyl DBTs, and commercial light gas oil (LGO) as the substrates. The resting cells of S. subarctica T7b degraded 239.2 mg of the initial 250 mg of DBT/l (1.36 mM) within 24 h at $27^{\circ}C$, while 127.5 mg of 2-hydroxybiphenyl (2-HBP)/l (0.75 mM) was formed, representing a 55% conversion of the DBT. The DBT desulfurization activity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aqueous-to-oil phase ratio. In addition, the resting cells of S. subarctica T7b were able to desulfurize alkyl DBTs with long alkyl chains, although the desulfurization rate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total carbon number of the alkylated DBTs. LGO with a total sulfur content of 280 mg/l was desulfurized to 152 mg/l after 24 h of reaction. Cells immobilized by entrapment with polyvinyl alcohol (PVA) exhibited a high DBT desulfurization activity, including repeated use for more than 8 batch cycles without loss of biodesulfurization activity. The stability of the immobilized cells was better than that of the resting cells at different initial pHs, higher temperatures, and for DBT biodesulfurization in successive degradation cycles. The immobilized cells were also easily separated from the oil and water phases, giving this method great potential for oil biodesulfurization.

한국 40세 이상 성인의 치주질환, 잔존 치아 수와 고감도 C-반응성 단백의 연관성: 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자료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diseas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in Korean adults aged 40 and older: Based on data from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조윤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03-312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number of remaining teeth with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in Korean adults aged 40 and older. Methods: The study used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2015.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3,883 aged 40 years or older who had completed the health survey and the health examinat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odds ratios of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by periodontal disease and number of remaining teeth, adjusting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ronic diseases and oral health behavior-related variables. Results: When the demographic and chronic diseases were adjusted, the risk of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average 1.23 mg/L or higher was 1.36 times higher in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between the ages of 40 and 49, but it was not significant (OR=1.36; 95% CI=0.82-2.23). In addition, in the group of 0~23 remaining teeth aged 40~49 years, the risk of higher than the average 1.23 mg/L of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was 2.03 times higher (OR=2.03; 95% CI=1.10-3.74), and 1.49 times higher in 60~69 years (OR=1.07; 95% CI=1.04-2.76).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periodontal disease and tooth loss in Korean adults aged 40 and older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Investigation of three-dimensional deformation mechanisms of box culvert due to adjacent deep basement excavation in clays

  • Bu, Fanmin;Yu, Wenrui;Chen, Li;Wu, Erlu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0권6호
    • /
    • pp.565-577
    • /
    • 2022
  • In this study, a series of three-dimensional numerical parametric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eformation mechanisms of an existing box culvert due to an adjacent multi-propped basement excavation in clays. Field measurements from an excavation case history are first used to calibrate a baseline Hardening Soil Small Strain (HS-small) model, which is subsequently adopted for parametric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basement-box culvert interaction along the basement centerline can be considered as a plane strain condition when the length of excavation (L) reaches 14 He (i.e., final excavation depth). If a plane strain condition (i.e., L/He=12.0) is assumed for analyzing the basement-box culvert interaction of a short excavation (i.e., L/He=2.0), the maximum settlement and horizontal movement of the box culvert are overestimated significantly by up to 15.7 and 5.1 times, respectively. It is also found that the deformation of box culvert can be greatly affected by the basement excavatio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box culvert and retaining wall is less than 1.5 He. The induced deformation in the box culvert can be dramatically reduced by improving the ground inside the excavation or implementing other precautionary measures. For example, by adding jet grouting columns within the basement and installing an isolation wall behind the retaining structures, the maximum settlements of box culvert are shown to reduce by 37.2% and 13.4%,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