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 lactis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3초

콩을 이용한 치-즈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eparation of a Cheese-like product from Soybean Milk)

  • 김창식;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7-63
    • /
    • 1971
  • 1. 5섯가지 젖산균을 대두유에 접종배양 하여 산 생성도를 비교 하였드니 Str. thermophilus 와 Str. diacetilactis가 Str. lactis, Str. cremoris 및 L. bulgaricus보다 높았다. 2. 대두유와 탈지 분유를 7 : 3의 비로 혼합하여 젖산균 발효를 하였을 때에 침전물의 수획량이 가장 많고 또한 그의 단백질 함량이 가장 많으며 수분의 량이 적고 견고한 curd를 만들수 있음을 알았다. 3. 대두유와 탈지분유를 7 : 3의 비로 혼합한 것에 젖산균 starter로 Str. thermophilus를 첨가하고 Pen. caseicolum을 접종하여 제조한 치-즈를 3주간 숙성$(15^{\circ}C,\;RH:\;85{\sim}90%)$ 하였드니 숙성 7일째부터 Pen. caseicolum의 생육이 왕성하게 되며 pH가 상승함과 동시에 proteolytic activity는 14일째에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또 total water soluble nitrogen, water soluble protein nitrogen 및 amino-N도 숙성 7일째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숙성 21일째는 이들의 값이 각각 total nitrogen의 52%, 32% 및 14%에 이르렀다. 그리고 이차원 paper chromatography에 의하여 3주간 숙성한 치-즈에서 17종의 아미노산을 검출 하였다. 또 3주간 숙성한 후 제품의 일반성분 조성은 수분 63.2%, 조단백질 17.5%, 조지방 13.2%, 조회분 2.8% 및 식염 2.5%였다.

  • PDF

대두유(大豆乳)를 이용(利用)한 치즈 유사제품(類似製品)의 제조(製造)에 관한 연구(硏究) (Preparation of Cheese-like Product Using Soybean Milk)

  • 유주현;신원철;변유량;양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31-236
    • /
    • 1978
  • 탈지대두박(脫脂大豆粕)으로부터 대두유(大豆乳)를 제조(製造)하여 젖산 발효 대두유(大豆乳)의 응고(凝固) 조건(條件)과 효소(酵素) 처리(處理)한 cheese를 숙성(熟成)시키면서 숙성(熟成) 중(中)의 변화(變化)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Streptococcus lactis YUFE L-4를 사용(使用)한 대두유(大豆乳)의 젖산 발효는 다른 탄소원을 가하지 않아도 생육(生育)이 잘되었으므로 $37^{\circ}C$에서 4시간(時間) 동안 대두유(大豆乳)만을 사용(使用)하여 발효 대두유를 제조하였다. 2. $MgCl_2{\cdot}6H_2O$$CaCl_2$를 응고제로 사용할 경우, 최적응고 농도는 각각 0.0125M, 0.0375M (final concentration)이었다. 3. 응고(凝固) 반응(反應) 시간(時間)검토 결과, $MgCl_2{\cdot}6H_2O,\;CaCl_2$ 모두 30분(分)이 적당하였다. 4. 응고(凝固) 온도(溫度)는 $MgCl_2{\cdot}6H_2O$$70^{\circ}C$에서 $CaCl_2$$50^{\circ}C$에서 최대(最大)의 응고력(凝固力)을 나타내었다. 5. 6주일(週日) 숙성(熟成) 후(後), 최종 수분 함량은 $63{\sim}65%$이었으며 수용성(水溶性) 질소(窒素) 함량(含量)과 10% TCA 가용성(可溶性) 질소(窒素) 함량(含量)은 Mucor rennet을 사용(使用)한 것보다 Asp. saitoi protease를 사용(使用)한 것이 각각 50.5%, 27.5%로 상당히 높게났으나 cheese의 맛, 조직 색깔등을 고려하여 볼 때 Mucor rennet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였다.

  • PDF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대한 한국형 유산균의 안정성 (Stability Traits of Probiotics Isolated from Korean on Spices and Propolis)

  • 이도경;박재은;김경태;도명진;정명준;이과수;김진응;하남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6-222
    • /
    • 2014
  •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까다로운 미생물로 다양한 환경조건에 매우 민감하여, 이들의 생존율은 항생제, 노화, 스트레스와 식이 등과 같은 요인들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식단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항균활성이 있는 각종 향신료(마늘, 생강, 파, 양파, 청양고추, 홍고추)와 프로폴리스가 한국인의 장에서 분리한 유산균주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한국형 유산균주들은 모든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심지어 일부 한국형 유산균주(Bifidobacterium lacti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rhamnosus, Streptococcus thermophiles)는 특정 향신료 또는 프로폴리스에 의해 증식률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와 다르게 대부분의 외래종 유산균주는 다양한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의해 증식률이 감소 하였으며, 일부 외래종 유산균주(L. helveticus, S. thermophiles)는 특정 향신료에 의해 증식률이 크게 감소 하였다. 마찬가지로 각 향신료와 프로폴리스가 한국형 유산균주만 사용하여 제조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과 외래종 유산균주가 사용된 해외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한국형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모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하지만 해외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마늘, 양파, 파, 프로폴리스에 의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한국인의 장에서 분리한 유산균은 대체적으로 항균활성이 있는 각종 향신료에 저항성을 가지는 생존력이 강한 균주로 판단되며, 한국인의 장에 적합한 유산균으로 사료된다.

Psychobiotic Effects of Multi-Strain Probiotics Originated from Thai Fermented Foods in a Rat Model

  • Luang-In, Vijitra;Katisart, Teeraporn;Konsue, Ampa;Nudmamud-Thanoi, Sutisa;Narbad, Arjan;Saengha, Worachot;Wangkahart, Eakapol;Pumriw, Supaporn;Samappito, Wannee;Ma, Nyuk Li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014-1032
    • /
    • 2020
  • This work aimed to investigate the psychobiotic effects of six bacterial strains on the mind and behavior of male Wistar rats. The probiotic (PRO) group (n=7) were rats pre-treated with antibiotics for 7 days followed by 14-day probiotic administration, antibiotics (ANT) group (n=7) were rats treated with antibiotics for 21 days without probiotics. The control (CON) group (n=7) were rats that received sham treatment for 21 days. The six bacterial strains with probiotic properties were mostly isolated from Thai fermented foods; Pedicoccus pentosaceus WS11, Lactobacillus plantarum SK321, L. fermentum SK324, L. brevis TRBC 3003,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TBRC 7154 and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TBRC 375. The probiotics were freeze-dried into powder (6×109 CFU/5 g) and administered to the PRO group via oral gavage. Behavioral tests were performed. The PRO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reduced anxiety level and increased locomotor function using a marble burying test and open field test, respectively and significantly improved short-term memory performance using a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 Antibiotics significantly reduced microbial counts in rat feces in the ANT group by 100 fold compared to the PRO group. Probiotics significantly enhanced antioxidant enzymatic and non-enzymatic defenses in rat brains as assessed using catalase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 respectively. Probiotics also showed neuroprotective effects with less pyknotic cells and lower frequency of vacuolization in cerebral cortex. This multi-strain probiotic formulation from Thai fermented foods may offer a potential to develop psychobiotic-rich functional foods to modulate human mind and behaviors.

Characterization of Paraplantaricin C7, a Novel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paraplantarum C7 Isolated from Kimchi

  • Lee, Kwang-Hee;Park, Jae-Yong;Jeong, Seon-Ju;Kwon, Gun-Hee;Lee, Hyong-Joo;Chang, Hae-Choon;Chung, Dae-Kyun;Lee, Jong-Hoon;Kim, Jeong-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287-296
    • /
    • 2007
  • A Lactobacillus paraplantarum strain producing a bacteriocin was isolated from kimchi using the spot-on-the lawn method and named L. paraplantarum C7 [15]. The bacteriocin, paraplantaricin C7, was found to inhibit certain Lactobacillus strains, including L. plantarum, L. pentosus, and L. delbrueckii subsp. lactis. It also inhibited Enterococcus faecalis, yet did not inhibit most of the other LAB (lactic acid bacteria) tested. The maximum level of paraplantaricin C7 activity was observed under the culture conditions of $25^{\circ}C$ and a constant pH of 4.5. Paraplantaricin C7 retained 90% of its activity after 10 min of treatment at $100^{\circ}C$ and remained stable within a pH range of 2-8. Based on a culture supernatant, paraplantaricin C7 was purified by DEAE-Sephacel column chromatography and $C_{18}$ reverse-phase HPLC. SDS-PAGE and activity staining were then conducted using the purified paraplantaricin C7, and its molecular mass determined to be about 3,800 Da. The 28 N-terminal amino acids from the purified paraplantaricin C7 were determined, and the structural gene encoding paraplantaricin C7, ppnC7, was cloned by PCR using degenerate primers based on the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 The nucleotide sequences for ppnC7 and other neighboring orfs exhibited a limited homology to the previously reported plantaricin operon genes. Paraplantaricin C7 is a novel type II bacteriocin containing a double glycine leader sequence.

Identification and Monitoring of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Using Pangenomic-Based Novel Genetic Markers

  • Kim, Eiseul;Cho, Eun-Ji;Yang, Seung-Min;Kim, Hae-Y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280-289
    • /
    • 2021
  • Genetic markers currently used for the discrimination of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ecies have low efficiency for identification at subspecies level. Therefore, our objective in this study was to select novel genetic markers for accurate identification and discrimination of six L. delbrueckii subspecies based on pangenome analysis. We evaluated L. delbrueckii genomes to avoid making incorrect conclusion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genetic markers due to mislabeled genomes. Genome analysis showed that two genomes of L. delbrueckii subspecies deposited at NCBI were misidentified. Based on these results, subspecies-specific genetic markers were selected by comparing the core and pangenomes. Genetic markers were confirmed to be specific for 59,196,562 genome sequences via in silico analysis. They were found in all strains of the same subspecies, but not in other subspecies or bacterial strains. These genetic markers also could be used to accurately identify genomes at the subspecies level for genomes known at the species level. A real-time PCR method for detecting three main subspecies (L. delbrueckii subsp. delbrueckii, lactis, and bulgaricus) was developed to cost-effectively identify them using genetic markers. Results showed 100% specificity for each subspecies. These genetic markers could differentiate each subspecies from 44 other lactic acid bacteria. This real-time PCR method was then applied to monitor 26 probiotics and dairy products. It was also used to identify 64 unknown strains isolated from raw milk samples and dairy products. Results confirmed that unknown isolates and subspecies contained in the product could be accurately identified using this real-time PCR method.

곡류 및 두류를 이용한 젖산균 전배양용 식용 배지의 제조 (Edible Culture Media from Cereals and Soybeans for Pre-cultiv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 박소림;박선현;장지은;양혜정;문성원;이명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991-995
    • /
    • 2013
  • 본 연구는 곡류 및 두류를 이용하여 식용 가능한 젖산균 모배양용 식용배지를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식용 배지의 제조를 위하여 곡류는 발아현미, 찰현미, 발아찰현미를 사용하였고, 두류는 대두콩(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대두콩, 발아 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발아 대두콩)과 검은 대두콩(검은 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검은 대두콩, 발아 검은 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발아 검은 대두콩)으로 나누어서 젖산균 증식배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젖산균은 Lactobacillus(Lb.) farciminis, Lb. homohiochii, Lb. pentosus, Lb. plantarum, Leuconostoc(Leu.) paramesenteroides, Leu. citreum 및 Leu. lactis 총 7종이다. 곡류를 이용한 식용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7개 종균의 평균 균수는 7.6~8.0 log CFU/mL의 균수를 나타내었다. 대두콩으로 제조한 식용배지는 껍질을 제거한 발아 대두콩 배지에서 대부분의 균이 높은 증식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Lb. plantarum은 10.08 log CFU/mL로 가장 높은 균수를 보였다. 검은 대두콩의 경우는 껍질을 제거한 발아 검은 콩배지에서 증식량이 많았다. Lb. homohiochii는 껍질제거 발아 검은 콩배지에서 9.90 log CFU/mL로 가장 많은 증식량을 보였다. 모든 결과에서 곡류와 두류를 이용한 식용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할 때 젖산균 증균량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가장 증식량이 우수한 '껍질을 제거한 발아 검은 대두콩' 식용 배지를 향후 젖산균 모배양에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유산균음료(乳酸菌飮料)로부터 분리(分離)한 유산간균(乳酸桿菌)의 R-Plasmids의 중개(仲介)에 의(依)한 대장균(大腸菌)에로의 항생제내성(抗生劑耐性) 전달(傳達) (Drug Resistance and R Plasmids of Lactobacilli Isolated from Fermented Milk)

  • 하대유;이정호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5-62
    • /
    • 1980
  • 시판(市販)되고 있는 9종(種)의 유산균음료(乳酸菌飮料)로부터 Lactobacillus bulgaricus 3주(株), Lactobacillus plantarum 2주(株), Lactobacillus cellobiosus 2주(株) 및 Lactobacillus lactis, Lactobacillus casei subsp. casei, Lactobacillus casei subsp, tolerans를 각각(各各) 1주(株) 분리(分離)하여 streptomycin(SM), chloramphenicol(CP), tetracyline(TC), penicillin(PC), ampicillin(AP), kanamycin(KM), erythromycin(EM) 및 nalidixic acid(NA) 등(等) 8종(種)의 약제(藥劑)에 대(對)한 내성검사(耐性檢査)와 접합(接合)(conjugation)에 의(依)한 대장균(大腸菌)에로의 내성인자(耐性因子)의 전달여부(傳達與否) 및 그 빈도(頻度)를 검사(檢査)하여 아래와 같은 성적(成績)을 얻었다. 전분리균주(全分離菌株)가 TC, PC 및 EM에는 고도(高度)의 감수성(感受性)을 보였으나, SM, CP, AP, KM 및 NA에는 대부분(大部分)이 중도(中度) 또는 고도(高度)의 내성(耐性)을 보였다. 분리균주(分離菌株)의 약제내성유형(藥劑耐性類型)은 NA AP(1주(株)), NA CP(1주(株)), NA AP CP(1주(株)), NA AP CP KM(2주(株)), NA AP CP SM(1주(株)) 및 NA AP CP SM KM(5주(株)) 등(等) 6종(種)으로서 전분리균주(全分離菌株)가 2제(劑) 이상(以上) 다제내성(多劑耐性)을 보였다. 분리균주(分離菌株)의 내성인자전달유형(耐性因子傳達類型)은 R(AP)가 6주(株)로서 대부분(大部分)이 1제내성(劑耐性)을 전달(傳達)하였으며, R(AP SM)형(型)도 3주(株)를 점(占)하였다. 분리균주(分離菌株)의 내성인자전달빈도(耐性因子傳達頻度)는 분리균주(分離菌株) 또는 약제(藥劑)에 따른 차이(差異)는 없었으며, 그 범위(範圍)는 $2.8^{-5}-1.5{\times}10^{-1}%$였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세균(細菌)과 세균(細菌)의 접촉(接觸)에 의(依)해서 유산간균(乳酸桿菌)으로부터 대장균(大腸菌)에로 내성인자(耐性因子)가 감염적(感染的)으로 전달(傳達)됨을 알 수 있었으며 유산균제제(乳酸菌製劑) 및 발효유(醱酵乳)에 사용(使用)되는 유산균주(乳酸菌株)의 선택(選擇)에 신중(愼重)해야 하리라고 사료(思料)되었다.

  • PDF

김치 추출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아토피 동물모델 NC/Nga mice에서 면역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biotic Extracts of Kimchi on Immune Function in NC/Nga Mice)

  • 이인회;이순희;이인석;박유경;정대균;조여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2-87
    • /
    • 2008
  • 아토피 피부염에서 유산균의 유익성에 대해서는 이미 많이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 전통식품인 김치유산균의 유익성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었으나 아토피 피부염에서 김치 유산균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토피 동물 모델인 NC/Nga mice에 김치유산균에서 추출한 유산균(L.plantarum K8)의 파쇄물과 유산균 및 ${\gamma}$-리놀렌산 복합체(L.rhamnosus GG 생균, B. lactis Bb-12Lb 생균, L. plantarum K8생균, L. plantarum K8 파쇄물, ${\gamma}$-리놀렌산)를 경구 투여한 후 혈청 면역지표(IgE, IL-4, IL-5, IFN-${\gamma}$)와 비장 배양액에서 IgE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 및 사료섭취량은 사육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시작 시 혈청 IgE 농도는 각 군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 전 기간 4주 동안 유산균 파쇄물(DPF), 유산균 및 ${\gamma}$-리놀렌산 복합체(DPOC), 항히스타민(DAH)을 섭취한 군에서 증류수(DDW)만을 섭취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혈청 IFN-${\gamma}$ 농도는 각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혈청 IL-4 농도는 유산균 및 ${\gamma}$-리놀렌산 복합체를 섭취한 군(DPOC)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혈청 IL-5 농도는 유산균 파쇄물(DPF), 유산균 및 ${\gamma}$-리놀렌산 복합체(DPOC), 항히스타민(DAH)을 섭취한 군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비장 임파구 배양 상층액의 IgE 농도는 각 군에서 군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아토피 동물모델 NC/Nga mice에 유산균 파쇄물(DPF)과 유산균 및 감마리놀렌산 복합체(DPOC)의 경구투여는 혈청 IgE, IL-4, IL-5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김치로부터 추출한 프로바이오틱스를 아토피 환자에게 섭취시켰을 때 IgE, IL-4, IL-5 감소와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여러 종류의 프로바이오틱스는 아토피의 증상완화 또는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과 정확한 메카니즘을 밝히기 위하여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Diversity of Tropical Grass-legumes Silages

  • Ridwan, Roni;Rusmana, Iman;Widyastuti, Yantyati;Wiryawan, Komang G.;Prasetya, Bambang;Sakamoto, Mitsuo;Ohkuma, Moriy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4호
    • /
    • pp.511-518
    • /
    • 2015
  • Calliandra calothyrsus preserved in silage is an alternative method for improving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feeds for sustainable ruminant production.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silage which contained different levels of C. calothyrsus by examining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diversity. Silage was made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onsisting of five treatments with three replications i.e.: R0, Pennisetum purpureum 100%; R1, P. purpureum 75%+C. calothyrsus 25%;, R2, P. purpureum 50%+C. calothyrsus 50%; R3, P. purpureum 25%+C. calothyrsus 75%; and R4, C. calothyrsus 100%. All silages were prepared using plastic jar silos (600 g) and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for 30 days. Silages were analyzed for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diversity. Increased levels of C. calothyrsus in silage had a significant effect (p<0.01)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The microbial diversity index decreased and activity was inhibited with increasing levels of C. calothyrsus. The microbial community indicated that there was a popul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L. casei, L. brevis, Lactococcus lactis, Chryseobacterium sp., and uncultured bacteria. The result confirmed that silage with a combination of grass and C. calothyrsus had goo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communities were dominated by L. planta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