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 esculentum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4초

재배기술에 따른 유사 화곡류인 메밀(Fagopyrum esculentum Moench), Quinoa (Chenopodium quinoa Willd), Amaranth(Amaranthus hypochondriacus L.${\times}$A. hybridus L.) 와 화곡류인 귀리(Avena sativa L.)의 수량 및 품질 비교연구 I. 생육, 수량 및 재배상의 문제점 (Yield and Quality of pseadocereals Buckwheat(Fagopyrum esculentum Moench), Quinoa (Chenopodium quinoa Willd.), Amaranth(Amaranthus hypochondriacus L.${\times}$A. hybridus L.) as influenced by cultivation in comparison to cereal oats(Avena sativa L.) I. Growth, yield and problems of cultivation)

  • 이재학;김기준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5년도 추계 학술대회지
    • /
    • pp.28-29
    • /
    • 1995
  • PDF

재배기술에 따른 유사 화곡류인 메밀(Fagopyrum esculentum Moench), Quinoa (Chenopodium qunioa Willd), Amaranth(Amaranthus hypochondriacus L.${\times}$A. hybridus L.) 와 화곡류인 귀리(Avena sativa L.)의 수량 및 품질 비교연구 II. 종실의 품질비교 (Yield and Quality of Pseadocereals Buckwheat(Fagopyrum esculentum Moench), Quinoa (Chenopodium qunioa Willd), Amaranth(Amaranthus hypochondriacus L.${\times}$A. hybridus L.) as influenced by cultivation in comparison to cereal oats(Avena sativa L.) II. Comparison of grain quality)

  • 이재학;김기준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5년도 추계 학술대회지
    • /
    • pp.30-31
    • /
    • 1995
  • PDF

Growth-Promoting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on Selected Human Lactic Acid Bacteria

  • Kim, Moo-Key;Kim, Byung-Su;Baek, Bong-Rea;Shin, Dong-Hwa;Lee, Hoi-Se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92-196
    • /
    • 2001
  • Ethanol extracts from 36 vegetable samples were assayed for their growth-promoting effects on Bifidobacterium bifidum, B. longum, and Lactobacillus casei The growth-promoting effects varied according to bacterial strain and vegetable species. In modified Gy rgy broth, extracts of Lactuca sativa, Lycopersicon esculentum and L escutentum var. cerasiforme exhibited strong growth-promoting responses toward B. longum, and significant and strong growth- promoting response toward B. bifidum was observed in extracts of Actinidia arguta, Allium cepa, A. sativum,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ts. pekinensis, Capsicum frutescens, Daucus carota var. sativa, L sativa, 1. esculentum and L. esculentum var. cerasforme, Nelumbo nucifera, Cucurbita moschata, Lackca sativa var. capitata, and Rubus coreanus. For L casei, extracts of A. fshlosum, A. hberosum, Cichorium intbus, Cucurbita moschat\ulcorner Ipomoea batatas, 1. sativa var. capitata, L. esculentum, P. brachycarpa, Raphanus sativus, R. coreanus, and S. melongena strongly enhanced the growth of this bacteria. In modified Gy rgy broth, the promoting effect was most pronounced with B. bifidum and L. casei among lactic acid bacteria used. In MRS broth, A. arguta, A. cepa, A. sativum, B. campestris subsp. napus var. pekinensis, C. frutescens, and D. carota var. sativa L. satiw var. capitata, and R. coreanus strongly enhanced the growth of B. bifidum, Growth of B. longum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addition of extracts from L. sativa var. capitata. For L casei, moderate growth-promoting responses were observed in 9 vegetable extracts. The promoting effect in MRS broth was most pronounced with B. bifidum among lactic acid bacteria used.

  • PDF

질산은과 polyamines이 미니토마토, Micro-Tom 신초 기관발생과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lver nitrate(AgNO3) and polyamines on shoot organ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of Lycopersicon esculentum cultivar, Micro-Tom)

  • 김용호;박철호;박상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25-29
    • /
    • 2002
  • 미니토마토, Micro-Tom (Lycopersicon esculentum cv. Micro-Tom)의 줄기 절편 배양으로부터 신초 기관발생을 통한 식물체 재분화 시스템을 확립하였다. 다른 농도의 BAP가 처리된 MS 고체 배지에서 신초 발생을 유도하였다. 신초 발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cytokinin 종류와 농도별 처리에서는 4mg/L BAP 처리가 Micro-Tom 신초 기관분화를 위한 최적농도로 나타났으며, 줄기절편 당 평균 5.3개의 신초를 형성했고 0.7 cm 길이 신장을 보였다. 4 mg/L BAP이 처리된 MS 고체배지에 질산은 (7 mg/L)과 putrescine (50 mg/L) 처리로 신초기관발생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신초가 약 1 cm 길이로 생장하였을 때 기부를 절단하여 0.1 mg/L IBA이 처리된 MS 고형배치에 배양하여 뿌리를 유도하였으며, 발근된 식물체를 vermiculite에 옮겨 순화시킨 결과 92%의 생존율을 보였다.

메밀 지상부의 DPPH 라디칼 소거작용과 활성 플라보노이드의 분리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the Aerial Parts of Fagopyrum esculentum and Isolation of Bioactive Flavonoids)

  • 김성자;김현주;박종철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55-262
    • /
    • 2004
  •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aerial parts of Fagopyrum esculentum on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was examined. The n-butanol fraction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title plant showed stronger inhibitory effect than other fractions on DPPH radical. Two flavonoids were isolated from n-butanol fraction having the potent activity and elucidated as quercetin-3-O-${\alpha}$-L-rhamnoside and quercetin-3-O-rutinoside on the basis of spectral evidence. The $IC_{50}$ values of these compounds on DPPH radical were 6.56 ${\mu}M$ and 8.37 ${\mu}M$, respectively.

  • PDF

고등식물 중의 Polyphenol성분에 관한 연구 (II) (Studies on Polyphenols in Higher Plants (II))

  • 박수선
    • 생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7-70
    • /
    • 1973
  • In Peucedanum japonicum and Aster tataricus L. chlorogenic acid was identified by methods of P.P.C. and T.L.C. $L-Phenylalanine-U-^{14}C\;and\;sodium\;acetate-2-^{14}C$ were administered to Peucedanum japonicum, $L-Tyrosine-U-^{14}C$ to Aster tataricus and $caffeic\;acid-carboxyl-^{14}C\;and\;L-tyrosine-U-^{14}C$ to Fagopyrum esculentum $M_{OENCH}$. The incorporation of each compound into chlorogenic acid was compared. $L-Phenylalanine-U-^{14}C$ showed higher incorporation to chlorogenic acid than sodium $acetate-2-^{14}C$ in Peucedanum japonicum. $Caffeic{\;}acid-carboxyl-^{14}C$ was higher to chlorogenic acid than $L-tyrosine-U-^{14}C$ in Fagopyrum esculentum. $L-Tyrosine-U-^{14}C$ was comparatively low in Aster tataricus.

  • PDF

메밀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액의 생리적 기능 (Physiological Functions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Broth Containing Fagopyrum esculentum and Saccharina japonica)

  • 전숭종;김애령;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110-111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각종 곡물(메밀, 귀리, 검은깨, 검은콩, 율피, 현미, 보리, 들깨, 밀)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Lactobacillus brevis AR1의 발효물 중에서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화장품 소재를 조사하였다. 그결과 메밀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Lb. brevis AR1의 발효물을 처리한 섬유아세포에서 효과적으로 콜라겐 합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다시마 함유 Lb. brevis AR1의 발효물은 양성 대조구인 β-glucan 보다 높은 콜라겐 합성능을 나타내었다. Lb. brevis AR1은 메밀 또는 다시마와 함께 4% MSG를 첨가한 배지에서 72시간 배양한 후, 180 mM의 GABA를 생산하여 84.5%의 GABA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메밀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Lb. brevis AR1의 발효물은 생쥐 피부의 염증 반응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졌고 섬유아세포에서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 결과들은 메밀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Lb. brevis AR1의 발효물이 피부 주름 개선과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배주배양 없이 재배메밀(Fagopyrum esculentum)과 자식성 야생메밀(F. homotropicum)의 종간잡종 육성 I. 한국재래종 및 외국품종의 F. homotropicum과의 교잡친화성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Fagopyrum esculentum and F. homotropicum without ovule culture I. Crossability of Korean landraces and foreign varieties with F. homotropicum)

  • 박철호;김연복;최수용;이상용;허권;신영범;정찬선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대회지
    • /
    • pp.174-175
    • /
    • 1999
  • PDF

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로부터 GSH 회복능을 보이는 항산화 화합물의 분리 동정 (Antioxidant compound from the Lycopersicon esculentum)

  • 김형근;전형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4호
    • /
    • pp.319-325
    • /
    • 2020
  • 토마토 액상을 7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용매 분획 하였다. 이 중 활성이 확인된 EtOAc 분획으로부터 활성을 측정해 가며 silica gel과 octadecyl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1종의 화합물을 분리 하였다.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uclear magnetic resornance, mass spectroscopy 및 infrarad spectroscopy 등의 스텍트럼 데이터를 해석 하여 quercetin (1)으로 동정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glutathione mean의 증가와 glutathione heterogeneity의 감소를 보인 토마토 분획물이 세포 내 glutathione 수준을 균일하게 올려준다는 것을 입증함으로써 항산화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메밀 가수분해물의 항고혈압, 항균 및 항곰팡이 활성 (Antihypertensive,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Buckwheat Hydrolysate)

  • 도정룡;허인숙;백수연;윤혜숙;조진호;김영명;김기주;김상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68-27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단메밀과 쓴메밀에 Viscozyme L과 Alcalase 2.4L 효소를 첨가하여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항균, 항곰팡이, 항고혈압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단메밀과 쓴메밀의 수율은 각각 7.92, 3.17%로 낮은 가수분해율을 보었으며 Viscozyme L을 첨가한 단메밀과 쓴메밀의 경우 18.70, 19.45% 그리고 Alcalase 2.4L을 첨가한 단메밀과 쓴메밀의 경우 24.65, 22.10%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다. 메밀 가수분해물을 E. coli, S. typhimurium, P. aeruginosa, B. subtilis, S. aureus 및 L. monocytogences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조사한 결과, Viscozyme L을 첨가한 단메밀 가수분해물이 L. monocytogences, S. typhimurium에 대해 3-7.2 mm의 clear zone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쓴메밀 가수분해물이 S. typhimurium에 대해 5.7 mm의 clear zone으로 낮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A. niger, M. miehei, P. rugullosum, A. oryzae, T. reesei 균주의 항곰팡이 활성은 Viscozyme L을 첨가한 단메밀 가수분해물이 T. reesei에 대해 3.7-12 mm의 clear zone으로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ACE 저해 활성은 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단메밀은 45.82%, 쓴메밀은 73.06%으로 나타났다. Viscozyme L을 첨가한 가수분해물의 경우 단메밀은 39.39%, 쓴메밀은 46.83%로 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메밀 가수분해물에 비해 낮은 ACE 저해활성을 보였다. 반면 Alcalase 2.4 L을 첨가한 가수분해물의 경우 단메밀 61.19%, 쓴메밀 94.48%로 가장 높은 AC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