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 bicolor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산 수수(Sorghum bicolor) 품종에 따른 전자공여능, 환원력, 항균활성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의 비교 (Comparative Study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Reducing Power, Antimicrobial Activity and Inhibition of ${\alpha}$-glucosidase by Sorghum bicolor Extracts)

  • 사여진;김주성;김명옥;정현주;유창연;박동식;김명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98-604
    • /
    • 2010
  • 수수의 기능성식품으로써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수의 70% ethanol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환원력, 총 페놀함량, 총 플라보노이드함량, 항미생물,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10 ${\mu}g$/mL 농도에서 메수수, 붉은장목 수수가 94%로 BHT(13%), BHA(74%)보다 월등히 높은 활성을 보였다.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수 22개 품종 중에서 메수수가 0.71의 OD값으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빗자루수수가 22.9 mg GAE/g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흰수수가 16.4 mg GAE/g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장목수수가 3.5 mg QE/g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미생물 실험 결과 E. coli에서 모든 수수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시경수수(MIC=8 ${\mu}g$/mL)와 찰(금산)수수(MIC=8 ${\mu}g$/mL)가 뛰어난 활성을 나타내었다.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 측정 결과 붉은장목수수, 목탁수수, 긴장목수수가 98%로 높은 억제율을 보여주었다.

꽃송이버섯 기부 발효물 첨가 사료가 장어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Sparassis crispa Stipe Extract Supplemented Diet on the Immune Responses of Philippines Eel, Anguilla bicolor)

  • 김은주;서승호;박성은;강민수;손홍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151-115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폐기되고 있는 꽃송이버섯 기부 발효에 적합한 균주 선발을 위해 Lactobacillus plantarum, Saccharomyces cerevisiae, Bacillus subtilis를 활용하여 발효를 진행하였으며, 생균수 실험 결과 L. plantarum이 발효 48시간에 1.486의 흡광도를 보여 빠른 발효속도와 생육능을 보였다. 총 페놀 함량은 L. plantarum과 S. cerevisiae를 활용하여 발효한 실험구에서 301.68 ppm, 299.35 ppm으로 발효 전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B. subtilis 발효 실험구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L. plantarum이 63.9%로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여 L. plantarum을 이용하여 꽃송이버섯 기부를 발효한 후 장어에 사료 첨가제로 급이하였다. 6주간 장어의 폐사는 대조구에서 60마리로 가장 많은 폐사를 보였으며, 꽃송이버섯 기부 추출물이 24마리로 가장 적은 폐사를 보였다. 장어 혈청의 lysozyme 용균 활성 및 E. coli 살균능은 꽃송이버섯 기부 추출물과 발효물 모두 대조구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였다.

싸리나무류재(類材)의 조직(組織)과 섬유(纖維)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Wood Structure and Fiber Characteristics of Genus Lespedeza species)

  • 김수인;염창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9-20
    • /
    • 1988
  • Lespedeza species have been widely used not only as plant resources for bark, leaves and honey, but also as erosion control materia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and wood tibe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the utilization of the wood. The wood structure was investigated for 10 selected species and the wood fiber, for the 5 selected species among Lespedeza species distributed all over the countr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cross section, campylotropis showed ray diffuse porous wood, L. bicolor, L. cyrtobotrya, L. thunbergii var. intermedia, diffuse porous wood, and L. tomentella, L. angustifolioides. L. maritima, L. robusta, L. patentibicolor, ring porous wood. The maximum diameter of a single vessel ranged 66-123 ${\mu}$ in all species. Campylotropis showed the most number of vessels, L. angustifolioides, the least. The number of ray per mm ranged 7-22, Campylotropis showed the most number of rays, L. angustifolioides, the least. In the radial section the average length of vessel ranged 121-250 ${\mu}$ in all species. L. thunbergii var. intermedia showed the longest vessel, L. tomentella, the shortest. In tangential section the average width of the uniseriate ray ranged 9.2-14.7${\mu}$, that of the multiseriate ray, 19.2-42.1 ${\mu}$. The average height of the uniseriate ray ranged 143.0-1162.0 ${\mu}$. The width of fiber ranged 10.12-13.61 ${\mu}$, L. maximowiezii showed the narrowest tiber, L. thunbergii var. intermedia. the widest, the thickness of fiber wall ranged 2.93-3.71 ${\mu}$ in the five species. L. maximowiezii showed the most thin fiber wall, L. thunbergii var. intermedia, the thickest, L. cyrtobotrya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fiber between the shade and the sunny sites but L. maximowiezii showed no differenc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fiber length, fiber width and wall thickness between L. eyrtobotrya and L. maximowiezii.

  • PDF

배 유기재배에서 녹비작물 재배에 의한 식물양분 환원효과 (Nutrient Contribution of Green Manure Crops in an Organic Pear Orchard)

  • 임경호;최현석;김월수;김선국;송장훈;조영식;최장전;정석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48
    • /
    • 2012
  • 본 연구는 유기재배 배 과수원에서 녹비작물 재배에 의한 식물양분의 환원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처리는 녹비작물 재배방법에 따라서, 1) 방임초생, 2) 겨울철 녹비작물 재배(호밀+헤어리베치), 3) 겨울철 녹비작물+여름철 녹비작물[그린솔고(수단그라스 품종($Sorghum$ $bicolor$ L.))+네마장황(클로타라리아 품종($Crotalaria$ $juncea$ L.))]으로 나누었다. 겨울철 녹비작물인 호밀과 헤어리베치는 각각 6.4kg/10a와 3.0kg/10a로 2008년 10월 17일에 파종하였으며, 여름철 녹비작물인 그린솔고와 네마장황은 각각 2.0kg/10a와 3.0kg/10a로 2009년 6월 4일에 전남 보성의 배 과수원 독농가에 처리하였다. 녹비작물의 건물중은 겨울+여름녹비작물>겨울녹비작물>방임초생 순으로 나타났다. 녹비작물의 건물중의 차이는 전질소와 인산 그리고 칼륨의 환원량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10-12년생 '신고' 배나무가 필요로 하는 질소와 인산 그리고 칼륨의 요구도에 비교해서 다소 많은 양을 공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과다한 무기성분 공급량은 토양의 유기물과 칼륨 그리고 마그네슘 농도를 적정농도 이상으로 증가시켰다. 하지만 배나무의 영양상태의 지표인 잎의 무기성분은 녹비작물 연용에 따른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Effects of Panicum miliaceum L. extract on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fatty ac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 Park, Mi-Young;Seo, Dong-Won;Lee, Jin-Young;Sung, Mi-Kyung;Lee, Young-Min;Jang, Hwan-Hee;Choi, Hae-Yeon;Kim, Jae-Hyn;Park, Dong-Si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3호
    • /
    • pp.192-197
    • /
    • 2011
  • The dietary intake of whole grains is known to reduce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anti-adipogenic activities in various Korean cereals, we assessed water extracts of nine cereals. The results showed that treatment of 3T3-L1 adipocytes with Sorghum bicolor L. Moench, Setaria italica Beauvois, or Panicum miliaceum L.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as determined by measuring oil red-O staining, triglyceride accumulation, and glycerol 3-phosphate dehydrogenase activity. Among the nine cereals, P. miliaceum L. showed the highest anti-adipogenic activity. The effects of P. miliaceum L. on mRNA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 and the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alpha}$ were evaluated revealing that the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hese genes in a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P. miliaceum L. extract changed the ratio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 to saturated fatty acids in adipocytes, which is related to biological activity and cell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cereals efficiently suppress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In particular, the effect of P. miliaceum L.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s associated with the downregulation of adipogenic genes and fatty acid accumulation in adipocytes.

제주도 문섬 주변해역 해양환경특성 및 저서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al Factors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around Munseom, Jeju Island, Korea)

  • 고준철;구준호;양문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5-228
    • /
    • 2008
  • 제주도 문섬 주변해역에서 2007년 6월부터 12월까지 해양환경특성 및 저서 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 하였다. 평균 수온과 염분은 각각 $19.6^{\circ}C$, 34.03 psu로써 비교적 안정된 수괴를 형성하고 있었다. DO는 6.42-8.14 mg/L(평균 7.37 mg/L), COD는 0.27-0.64 mg/L(평균 0.44 mg/L), SPM은 1.98-6.86 mg/L(평균 3.07 mg/L)의 범위를 나타내어 환경기준 중 해역환경 I 등급 이내의 양호한 환경을 나타냈다. 식물플랑크톤 chlorophyll a량의 분포는 0.40-1.09 mg/L(평균 0.69 mg/L)의 범위로써 6월에 비해 12월에 높게 나타났다. 영양염류의 평균 농도는 DTN의 경우 0.073-0.264 mg/L(평균 0.15 mg/L), DTP의 경우 0.004-0.011 mg/L(평균 0.01 mg/L), $SiO_2$의 경우 0.039-0.464 mg/L(평균 0.23 mg/L)의 범위로 육상 유입에 의해 문섬 주변에서의 농도 변화가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중 총 112 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는데, 연체동물이 40 종(36.0%)이였으며, 이 중 복족류가 19.8%로 가장 우점하였고, 자포동물은 33 종(28.8%), 해면동물은 13 종(11.7%), 절지동물은 8 종(7.2%)이 나타났고, 기타 동물은 17 종(15.3%)으로 조사되었다. 조사해역의 개체 밀도와 생물량은 각각 4,340 개체/$m^2$, $53,107.8\;gwwt/m^2$로 자포동물 중 산호충류가 개체수와 생체량에서 우점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Dendronephthya gigantea, Scleronephthya gracillimum, Anthoplexaura dimorpha, Dendronephthya castanea, Thecocarpus niger, Dendronephthya spinulosa, Dendronephthya putteri, Acabaria bicolor로 주로 산호충류에서 높은 우점율을 나타냈다. 계절별 출현양상의 경우 자포동물 및 연체동물의 하계에 개체수 및 생체량이 증가하다 동계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정점별 종다양도(H'), 균등도(E') 및 풍부도(R) 지수의 범위는 각각 2.715-3.413, 0.758-0.851, 5.202-8.720 로 M1에서 가장 낮았고, M2에서 높게 나타났다.

  • PDF

수수 식물체 추출물의 제초활성 및 작물 선택성 (Herbicidal activity and crop injury of aqueous extracts of sorghum leaves)

  • 원옥재;로미즈 우딘;변종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2호
    • /
    • pp.191-198
    • /
    • 2011
  • Herbicidal effects and crop selectivity of aqueous leaf extracts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were evaluated against several weed species for developing sustainable weed management in organic farming. Aqueous sorghum leaf extracts were highly phytotoxic to different weed species. No broadleaf weeds were germinated in the concentration of 5 fold or higher concentrated sorghum leaf extracts and 90% of seed germination was inhibited within that range in grass species. Sorghum leaf extracts strongly inhibited the growth of different weeds by pre-emergence and foliar applications in greenhouse condition. Foliar application of sorghum leaf extracts had a higher inhibitory effect than the pre-emergence application. Broadleaf weed species were more susceptible than grasses to the application of sorghum leaf extract in foliar applications than grasses. Galium spurium, Erigeron candensis, and Rumex japonicus were completely killed at the highest concentrated sorghum leaf extract both in pre-emergence and foliar application. Most broadleaf weed species were inhibited more than 80% at pre-emergence application at 50 fold concentrated sorghum leaf extract. G. spurium, E. candensis, R. japonicus, Eclipta alba, Plantago asiatica and Portulaca oleraeea were most susceptible to sorghum leaf extract in foliar application. Growth of most broad leaf weed species was suppressed by greater than 90% at 50 fold concentrated sorghum leaf extract. Most crop species were tolerant to sorghum leaf extract but shoot growth was slightly reduced by the application of 40~50 fold concentrated extracts, Sorghum leaf extract may used to control weeds in organic fanning without affecting the growth of crop.

문안산의 목본식물과 공생하는 수지상균근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of Woody Plants in Mt. Munan)

  • 박상희;어주경;가강현;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수지상균근균(AMF)의 형태적 및 분자 생물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문안산에 분포하는 수지상균근균의 종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AMF 시료는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쪽동백(Styrax obassis), 노린재나무(Symplocos sawafutagi)의 뿌리와 뿌리 부근의 토양에서 채취하였으며, 수수(Sorghum bicolor)를 숙주식물로 사용하여 포자를 배양하였다. 추출된 포자들의 형태 형질과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Acaulospora longula, A. mellea, Ambispora leptoticha, Gigaspora margarita, Paraglomus occultum 등 4속 5종이 동정되었으며, 숙주식물에 따른 수지상균근균의 분포는 수종에 따라서 다른 경향을 보였다. 생강나무에서는 A. longula가, 국수나무, 쪽동백나무, 노린재나무에서는 A. leptoticha가 우점종이었다.

Development of RAPD-SCAR and RAPD-generated PCRRFLP Markers for Identification of Four Anguilla eel Species

  • Kim, Woo-Jin;Kong, Hee-Jeong;Kim, Young-Ok;Nam, Bo-Hye;Kim, Kyung-Kil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3권2호
    • /
    • pp.179-186
    • /
    • 2009
  • Discriminating between eel species of the genus Anguilla us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an be problematic, particularly in the glass eel and elver stages. In this study, sequence-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SCAR)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markers were developed for the identification of Anguilla japoniea, Anguilla btcoior bicaor. Anguilla rostrata, and Anguilla anguilla.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fragments from A. japoniea (362 bp), A. bicolor bicctor (375 bp), A. rostrata (375 bp), and A. anguilla (375 bp) were isolated, sequenced, and converted to SCAR markers. The principal difference between the SCARs of A. japoniea and the three other species is the absence of a 13 bp deletion in the A. japoniea SCAR. Specific PCR primers amplified a 290 bp fragment for A. japoniea and 303 bp fragments for A. bicolor bicoior. A. rostrata, and A. anguilla. Restriction enzyme digestion with Taql, Mael, and Tru9l yielded PCR-RFLP patterns with differences that, when analyzed together, are sufficient for distinguishing each of the four eel species. In addition, RAPD fragments for A. japoniea (577 bp), A. bicoior bicoor (540 bp), A. rostrata (540 bp), and A. anguilla (509 bp) were also isolated and sequenced. The A. japoniea, A. bicoior blcoior. A. rostrata, and A. anguilla PCR products contain ten, nine, nine, and eight tandem repeats, respectively, of a 37 bp sequ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AR and PCR-RFLP markers and repeat numbers for specific loci will be useful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se four Anguilla eel species.

국내 식물자원 및 약용식물 추출물이 벼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Native Plant Resources and Medicinal Plants on Early Seedling Growth of Rice(Oryza sativa L.))

  • 지기수;김용훈;박지성;김건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21-334
    • /
    • 2014
  • 국내 식물자원 및 약용식물들의 식물 생장촉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64종 65점의 추출물 시료를 조제하여 벼(Oryza sativa)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1종 12점의 쑥(Artemisia princeps) 경엽,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전초,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가지와 잎, 갈대(Phragmites communis) 줄기, 율무(Coix lacrymajobi var. mayuen) 전초, 싸리(Lespedeza bicolor) 가지와 잎, 산수국(Hydrangea serrata f. acuminata) 전초, 속단(Phlomis umbrosa) 전초, 감초(Glycyrrhiza uralensis) 근경, 감초(G. uralensis) 경엽, 당귀(Angelica gigas) 뿌리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근경 추출물은 벼 유묘 생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에 따라 상기 식물 종의 부위들은 식물 생장촉진용 농가 자가제조 액비 개발을 위한 소재로써 활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