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 acidophilus addition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1초

난백분말과 카제인으로 만든 요구르트에서 당의 첨가 효과 (The Effects of Sugar Addition in Yogurt Prepared from Egg White Powder and Casein)

  • 고영태;이주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3-161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난백분말과 카제인에 당(포도당, 과당, 유당)을 첨가하고 젖산균(Lactobacillus)으로 발효 시키면서 첨가된 당이 젖산균의 산생성과 생육, 요구르트의 관능성 및 휘발성 향기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난백분말 2%(W/V)와 카제인 3%(W/V)에 당 0.5, 1 또는 2% (W/V)를 첨가하고 L. acidophilus로 발효하여 만든 시료에서 젖산균의 산생성은 우유 시료(대조군)보다 낮았으며, 포도당과 과당은 1%와 2% 가 0.5%보다 생산성이 높았으나, 유당은 당 농도에 의 하여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L. acidophilus의 생균수는 우유 시료가 24시간 발효 후에 3.6$\times$$10^{9}$인데 비하여, 2%(W/V) 포도당 또는 과당을 첨가한 시료는 5.6-6.0X$10^{8}$으로 낮았으며, 유당 첨가 시료는 3.2$\times$$10^{7}$ 으로 가장 낮았다. 우유 시료와 당 첨가 시료를 L.acidophilus로 30시간 발효시키면서 산생성과 생육을 관찰했을 때, 전 실험 시간에 걸쳐서 우유 시료의 산생성과 생균수가 높았다. 관능검사의 결과(L. acido-philus 16.5hr.발효)를 보면 우유 시료(표준시료)보다 과당 첨가 시료는 다소 우수하였으나, 유당 첨가 시료는 현저하게 저조하였다. L. acidophilus는 시료에 따라서 다소 차이는 있으나 발효 과정에 acetone, ethanol, diacetyl, acetoin을 생성하였다.

  • PDF

In vitro Antioxidative Properties of Lactobacilli

  • Kim, H.S.;Chae, H.S.;Jeong, S.G.;Ham, J.S.;Im, S.K.;Ahn, C.N.;Lee, J.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262-265
    • /
    • 2006
  •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lactobacilli originating from humans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11, Lactobacillus jonsonii KCTC 3141,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51, and Lactobacillus brevis KCTC 3498) were investigated using in vitro methods, including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resistance to hydrogen 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ctivity. L. acidophilus KCTC 3111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in both intact cells (49.7%) and cell lysate (65.2%). This strain exhibited resistance to hydrogen 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which was viable for 7 h in the concentration of 1.0 mM hydrogen peroxide. In addition, this strain showed high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GPX activity assay, the highest activity was measured in L. brevis 3498. GPX activity of L acidophilus 3111 was lower than that of L. brevis 3498.

갓김치로부터 분리한 Probiotic 유산균과 Prebiotic Fructooligosaccharide로 제조한 요구르트의 Synbiotic 가능성 (Synbiotic Potential of Yoghurt Manufactured with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Mustard Leaf Kimchi and Prebiotic Fructooligosaccharide)

  • 임성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26-236
    • /
    • 2012
  • 갓김치로부터 분리한 probiotic L. acidophilus GK20 및 L. paracasei GK74를 단독 혹은 혼합 배양하여 제조한 요구르트를 저장하는 동안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과 스타터의 위산이나 담즙산에 대한 저항성, Caco-2 cell에 대한 부착능, 항균, 항산화 및 효소적 활성에 대한 prebiotic FOS(fructooligosaccharide)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FOS를 첨가했을 때 요구르트 내의 스타터 균수, 총산도 및 점도는 유의하게 높아짐과 동시에 pH는 감소되었다(p<0.05). 또한 E. coli ATCC 11229와 S. enteritidis ATCC 13076은 probiotics 스타터가 생산한 항균물질에 의해 저해되었으며, FOS를 첨가한 synbiotic 요구르트의 항균활성은 더욱 증가되었다. 게다가 FOS (1.0%)를 첨가하여 혼합 스타터로 발효시킨 요구르트에서 가장 높은 단백질 분해능 ($1.06{\pm}0.06$ unit) 및 ${\beta}$-galactosidase 활성 ($20.14{\pm}0.31$ unit)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비록 L. acidophilus GK20과 L. paracasei GK74 모두 장관액에 대한 저항성, 장관상피세포에 대한 부착능 및 DPPH radical 소거능이나 환원력과 같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지만, 이들 활성이 FOS에 의해 증가되진 않았다. 결과적으로 L. acidophilus GK20과 L. paracasei GK74 혼합 배양에 FOS를 첨가한 synbiotic 요구르트는 장내환경 개선과 건강기능 향상에 유용한 것으로 여겨지며, 생리활성은 $4^{\circ}C$에서 7일간 저장 하에서도 일정하게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된장에서 분리된 유산균의 결합력에 의한 Heterocyclic Amines 제거 (Heterocyclic Amines Removal by Binding 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oybean Paste)

  • 임성미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73-83
    • /
    • 2014
  •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을 고온 하에서 조리하는 과정 중에 주로 발생되는 돌연변이원 heterocyclic amines (HCAs)에 대한 유산균의 결합력 및 제거능을 조사하였다. 당 발효능 및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된 19종의 유산균 중 Lactobacillus acidophilus D11, Enterococcus faecium D12, Pediococcus acidilactici D19, L. acidophilus D38, Lactobacillus sakei D44, Enterococcus faecalis D66 및 Lactobacillus plantarum D70의 세포이나 배양 상등액은 3-amino-1,4-dimethyl-5H-pyrido[4,3-b]indole (Trp-P-1)과 3-amino-1-methyl-5Hpyrido[4,3-b] indole (Trp-P-2)에 의한 Salmonella typhimurium TA98 및 TA100의 돌연변이 유발을 억제할 수 있었다. HCAs에 대한 유산균 세포의 결합력은 cell wall, exopolysaccharide 및 peptidoglycan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이들의 결합력은 단백질 분해효소, 가열, sodium metaperiodate 및 산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므로 세포벽에 존재하는 당이나 단백질 성분이 이들 HCAs을 결합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E. faecium D12, L. acidophilus D38 및 E. faecalis D66의 결합력은 SDS나 금속이온에 의해 감소되었으므로 이들세포와 돌연변이원 사이에는 이온 결합이나 소수성 결합이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HCAs 결합력이 높은 L. acidophilus D38과 L. plantarum D70은 장관 상피세포에 대한 부착력이 낮으므로 돌연변이원을 세포에 결합시켜 체외로 배출함으로써 독성물질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유(豆乳)에서 젖산균의 생육(生育)과 산생성(酸生成)에 관한 연구 (Study on Growth and Acid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in Soy Milk)

  • 김경희;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1-156
    • /
    • 1987
  • 대두, 탈지대두, 농축대두단백 또는 분리대두단백으로 각각 두유를 만들고 여기에 Lactobacillus acido-philus, L.bulgaricus, L.casei, Leuconostoc mesenter-oides, Streptococcus lactis 를 각각 접종하여 이들 대두단백질이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를 관찰하였다. 산생성도를 보면 L.acido-philus의 경우는 두유에서 산생성이 가장 높았으나, 나머지 4종의 젖산균에서는 탈지두유에서 산생성이 가장 높았으며, 5종의 젖산균 어느 경우나 SPI두유에서는 산생성이 현저하게 낮았다. 두유에 yeast extract (0.5%)를 첨가했을 때 대두단백질의 형태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에서 젖산균에 의한 산생성이 촉진되었으며, 5종의 젖산균 가운데 특히 L.acidophilus에 의한 산생성이 현저하게 촉진되었다. 두유의 고형분 농도를 증가 시킴에 따라 L.acidophilus와 L.bulgaricus의 생육과 산생성이 대체적으로 촉진되었다.

  • PDF

모유 섭취 신생아 유래 Lactobacillus acidophilus에 의한 Conjugated Linoleic Acid 생성 (Produc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Isolated from Breast-Fed Infants)

  • 박정규;송원호;홍성문;김철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80-586
    • /
    • 2008
  • 본 연구는 모유를 섭취하고 있는 생후 7일 이내의 신생아로부터 분리 및 선발된 L. acidophilus를 이용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CLA를 천연적으로 생산하는 젖산균을 Screening하고 선정된 L. acidophilus에 의한 CLA의 최적 생성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9종의 L. acidophilus를 LA가 $200{\mu}g/mL$의 수준으로 각각 첨가된 MRS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48시간 배양한 후 L. acidophilus의 균체 세포막 내에서 형성된 cis-9, trans-11 CLA 함량과 배지 내 유리화된 cis-9, trans-11 CLA 함량을 측정한 결과, 생균수는 대부분 $10^8\;CFU/mL$ 수준이었으며 균체 내로 전환된 cis-9, trans-11 CLA는 검출되지 않거나 매우 미량 존재하였다. MRS 배지 내 유리화된 cis-9, trans-11 CLA는 전 시험 균주를 통해 생성되었으며 상대적으로 균체 내 생성량 보다 높게 나타났고, L. acidophilus NB 203과 NB 209의 생성량이 $26-27{\mu}g/mL$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동일한 조건으로 8% 탈지유 배지에 실험한 결과 배양 24시간째의 생균수는 $10^8\;CFU/mL$ 수준이었고, MRS 액체 배지에서의 결과와 유사하게 균체 세포막 내로 incorporation된 cis-9, trans-11 CLA는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검출되지 않거나 매우 미량 존재하였으며, 반면 탈지유 배지 내 유리 cis-9, trans-11 CLA는 전 시험 균주를 통해 생성되었고 상대적으로 MRS 액체 배지에서의 생성량 보다 높았으며, 그 중 L. acidophilus NB 203 및 NB 209의 배양액 내 cis-9, trans-11 CLA 생성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험 균주 중 cis-9, trans-11 CLA 생성능이 다른 균주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난 L. acidophilus NB 203 및 NB 209를 8% 탈지유 배지에 LA 첨가량 및 배양시간을 달리하여 최적 조건을 설정하였으며, 두 시험 균주 모두 LA 첨가에 의한 증식억제 현상은 배양 48시간까지 $1.000{\mu}g/mL$ 첨가 수준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3,000{\mu}g/mL$ 첨가 시 미약하게 나타났다. 배양시간대 별 cis-9, trans-11 CLA 생성량은 두 시험 균주 모두 배양 24시간 이전의 대수증식 기에서 주로 증가하였으며, 배양 24시간 이후부터 생성량이 유지되거나 미량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의 첨가농도 별 cis-9, trans-11 CLA 생성에 있어 두 시험 균주 모두에서 LA 첨가량이 $1,000{\mu}g/mL$ 수준일 때 cis-9, trans-11 CLA 생성량이 가장 높았으나 $500{\mu}g/mL$ 첨가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특히 첨가량을 $3,000{\mu}g/mL$ 수준으로 높여도 $1,000{\mu}g/mL$ 수준일 때와 유사하거나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 실험 균주의 최적 LA 생성조건은 탈지유 배지에 LA를 $500{\mu}g/mL$ 수준으로 첨가하여 $37^{\circ}C$에서 24시간 배양시로 나타났다.

효소처리인삼, 아스코르브산, 효모추출물이 첨가된 요구르트에서 프로바이오틱 세균의 활성 (Viability of Probiotic Bacteria in Yogurt Supplemented with Enzyme-Bioconverted Ginseng, Ascorbic Acid, and Yeast Extract)

  • 최석호;임영순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57-68
    • /
    • 2019
  • The effects of yogurt supplementation with enzyme-bioconverted ginseng (EBG), ascorbic acid, and yeast extract on the bacterial counts of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5, and Bifidobacterium BB-12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healthy yogurts with high probiotic counts during storage. In addition, the colors and viscosities of the yogurts were determined. EBG, ascorbic acid, and yeast extract did not affect S. thermophilus counts. EBG and ascorbic acid enhanced the viabilities of L. acidophilus LA-5 and Bifidobacterium BB-12 during storage. Yeast extract improved growth of L. acidophilus LA-5 and Bifidobacterium BB-12 during fermentation. EBG turned the yogurt into brown color. We conclude that supplementation of yogurt with EBG, ascorbic acid, and yeast extract may enhance its health-promoting functions by increasing the viability of probiotics, which can thus promote consumption of the yogurt.

Inhibi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ttachment by Interactions Between Lactic Acid Bacteria and Intestinal Epithelial Cells

  • Kim, Young-Hoon;Kim, Sae-Hun;Whang, Kwang-Youn;Kim, Young-Jun;Oh, Se-J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7호
    • /
    • pp.1278-1285
    • /
    • 2008
  • The intestinal epithelial cell (IEC) layer of the intestinal tract makes direct contact with a number of microbiota communities, including bacteria known to have deleterious health effects. IECs possess innate protective strategies against pathogenic challenge, which primarily involve the formation of a physicochemical barrier. Intestinal tract mucins are principal components of the mucus layer on epithelial surfaces, and perform a protective function against microbial damage. However, little is currently known regarding the interactions between probiotics/pathogens and epithelial cell mucins.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actobacillus on the upregulation of MUC2 mucin and the subsequent inhibition of E. coli O157:H7 attachment to epithelial cells. In the current study, the attachment of E. coli O157:H7 to HT-29 intestinal epithelial cells was inhibited significantly by L. acidophilus A4 and its cell extracts.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the expression of MUC2 mucin was increased as the result of the addition of L. acidophilus A4 cell extracts (10.0 mg/ml), which also induc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degree to which E. coli O157:H7 attached to epithelial cells. In addition, the mRNA levels of IL-8, IL-1$\beta$, and TNF-$\alpha$ in HT-29 cells were significantly induced by treatment with L. acidophilus A4 extrac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UC2 mucin and cytokines are important regulatory factors in the immune systems of the gut, and that selected lactobacilli may be able to induce the upregulation of MUC2 mucin and specific cytokines, thereby inhibiting the attachment of E. coli O157:H7.

Optimization of the Viability of Probiotics in a Fermented Milk Drink by the Response Surface Method

  • Chen, Ming-Ju;Chen, Kun-Nan;Lin, Chin-We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5호
    • /
    • pp.705-711
    • /
    • 2004
  • Growth promoters were added to skim milk to retain the viability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Bifidobacterium longum to help the product meet the "therapeutic minimum" at the time of consumption. The experiment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of the study used chicory inulin, isomalto-oligosaccharides and sucr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gars on the activity of L. acidophilus and B. longum.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dition of isomalto-oligosaccharides stimulated growth of L. acidophilus and B. longum, resulting in a higher level of the probiotics after one month storage and yielded better $\beta$-galactosidase activity during fermentation. The second part studied the effects of three growth promoters on the viability of the probiotic cultures and the response surface method was employed to find the optimal ratio for addition of the growth promoters. The optimal ratio for added calcium gluconate, sodium gluconate and N-acetylglucosamine in fermented milk drinks were established. The response surface method proved to be a very effective way of optimizing the activity of probiotic cultures when developing a new fermented milk drink.

오디 추출물 첨가가 요구르트 스타터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berry Extract on the Growth of Yogurt Starter Cultures)

  • 서형주;김영순;김진만;이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4-147
    • /
    • 2006
  • 발효 유제품 제조에 오디 추출물을 첨가할 때 유산균 생육에 미치는 오디 추출물의 효과를 측정하여 오디의 이용성을 넓히고자 한다. 오디 추출물은 에탄올 함량이 60%일 때 가장 높은 추출 수율을 보였다. L. casei와 L. acidophilus의 생육에 대한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오디 추출물을 1%, 5%, 10% 첨가시킨 후 MRS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후 pH, 총산도 및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첨가량이 1%일 때 가장 낮은 pH 4.19와 4.11를 보였으며, 생균수 측정시 오디 추출물 무첨가시 $2.3{\times}10^9{\sim}4.2{\times}10^{10}\;CFU/mL$의 생균수를 보인 반면 오디 추출물 첨가시 $1.8{\times}10^9{\sim}7.8{\times}10^{10}\;CFU/mL$의 생균수를 보임에 따라 다소 높은 생균수를 보였다. 또한 총산도 역시 오디 추출물 첨가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L. casei와 L. acidophilus을 이용한 발효 유제품 제조시 오디 추출물을 각각 1% 첨가시 발효 유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오디 추출물을 첨가한 발효 유제품의 산도 및 생균수가 첨가하지 않은 발효 유제품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오디 추출물 1% 첨가시 산도를 측정한 결과 L. acidophilus을 이용한 발효 유제품의 산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균수 역시 $6.9{\times}10^{10}\;CFU/mL$로 가장 많은 생균수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