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Galactose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21초

도토리 가루의 성분분석과 항산화능 평가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tive Evaluation in Acorn Powders)

  • 심태흠;김영선;사재훈;신인철;허성일;왕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800-803
    • /
    • 2004
  • 도토리 가루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개발을 목적으로 도토리 가루의 화학성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탄수화물이 87.29%, 수분 10.57%, 조지방 1.18%, 조단백 0.84%, 회분 0.12% 순으로 나타났다. 도토리 가루에 가장 많은 무기성분으로는 K이 40.68mg/100g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P(8.95mg/100g), Ca(8.64mg/100g), Mg(4.67mg/100g), Na(3.94mg/100g), Fe(1.41mg/100g) 순으로 나타났다. 구성당은 총 7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그 중 glucose가 대부분으로 나타났고 rhamnose, galactose, arabinose, mannose, fucose, xylose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주요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C18:1)가 31.87%로 가장 높았고, linoleic acid(C18:2)는 18.72%, linolenic acid(C18:3)는 16.67% 그리고 palmitic acid(C16:0)가 11.32% 순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효과는 물 추출물에서 $IC_{50}$$19.0{\mu}g/mL$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75% 에탄올 추출물$(IC_{50}:\;21.4{\mu}g/mL)$ 및 메탄올 추출물$(IC_{50}:\;45.2{\mu}g/mL)$순으로 항산화 효과가 측정되었다.

시판 인스턴트 커피에서 추출한 다당류의 화학적 특성 및 면역활성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Crude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Commercial Instant Coffee)

  • 곽봉신;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89-295
    • /
    • 2016
  • 국내 시판중인 인스턴트 커피에서 다당류를 추출하여 새로운 면역 활성 물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시판중인 인스턴트 커피를 구입하여 냉수추출 후, 에탄올 침전과 투석을 통하여 약 24%의 높은 수율로 다당류(ICP-0)를 얻을 수 있었다. ICP-0은 중성당 89.9%, 산성당 10.1%로 이루어진 다당체로써, 구성 성분으로는 갈락토스 55.5%, 만노스 25.7%와 소량의 아라비노스, 람노스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으며, 갈락토만난(galactomannan)이나 팩틴 다당류(pectic polysaccharide)가 혼합된 구조일 것이라고 추정되었다. 인스턴트 커피 유래 ICP-0에 대하여 대식세포 자극에 대한 세포증식능을 확인한 결과, NC 대비 유의적으로 높은 증식활성을 보였으며, IL-6, IL-12 및 TNF-${\alpha}$의 경우, $10{\mu}g/mL$에서도 NC 대비 우수한 사이토카인 분비 유도능을 보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NO, ROS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NO의 경우 $10{\mu}g/mL$ 이상에서 NC 대비 양호한 활성을 보여 주었다. ICP-0에 대하여 2차 면역기관 중 하나인 비장세포상의 증식능을 확인한 결과, NC 대비 115% 정도 증식하는 것이 확인되어 면역세포를 직접 증진시키는 마이토겐 활성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인스턴트 커피 유래 ICP-0가 장관 내 분포되어 있는 Peyer's patch를 경유하여 장관면역에 공헌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 NC 대비 유의적으로 골수세포의 증식능을 확인하였으며 GM-CSF와 같은 관련 사이토카인의 분비 유도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시판 인스턴트 커피로부터 분리한 다당류가 대식세포의 기능과 장관면역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시중에 유통되는 콩의 종류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rious Beans in Distribution)

  • 문혜경;이수원;문재남;김동환;윤원중;김귀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5-221
    • /
    • 2011
  • 콩의 일반성분 분석에서 조지방은 백태 17.60${\pm}$0.14%, 조단백질은 서목태 42.38${\pm}$0.15%로 가장 높고, 조회분의 경우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L값 작두콩 64.07${\pm}$0.97, a값 강낭콩 15.64${\pm}$0.48, b값 백태 22.92${\pm}$0.09로 각각 가장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유리당 중 fructose, glucose, maltose는 서목태가 각각 13.92 mg/g, 20.52 mg/g, 2.61 mg/g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sucrose는 서리태가 54.23 mg/g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유기산 중 oxal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는 각각 서목태가 23.26 mg/100 g, 18.24 mg/100g, 23.6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citric acid의 경우 청태가 7.22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콩의 종류에 따라 각각 함유 성분에 차이가 있었다. 구성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2.68~6.18 g/100 g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그 중 서리태가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콩의 무기질은 K, Mg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Co, Cu, Zn은 미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콩의 품종에 따른 차이와 동일한 품종일지라도 재배 및 환경 요인, 건조 방법, 건조 상태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마치현 아라비노갈락탄의 압출 수용화와 항산화 특성 (Solubilization of Arabinogalactan by Extrusion from Portulaca oleracea L. and Its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 최애진;지호균;고보성;김양하;이수정;김철진;조용진;김종태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3호
    • /
    • pp.169-175
    • /
    • 2009
  • 마치현을 압출성형 및 효소분해 처리할 경우 원료에 비하여 수용성 고분자 다당류 및 아라비노갈락탄 함량이 증가하였다. 마치현 수용성 다당류 중 아라비노스와 갈락토오스의 함량이 원료 마치현보다 1.5배 증가하였으며, 람노스 함량도 2.6배 증가한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 압출성형 처리효과로 고분자 분획(I)은 Ext I, Ext II 및 Ext III 시료에서 각각 37, 29 및 26% 정도 저분자 분획(II)으로 분자 재배열이 발생함과 동시에 66,000-74,000 Da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다당체로 구조변형 되었다. 특히, 저분자 분획의 분자량과 조성비에 있어서 압출성형 처리한 마치현은 처리하지 않은 원료에 비하여 9-13% 정도 증가하여 유의성이 있었다. 이같은 다당류의 붕괴 및 변형 정도는 압출성형 처리시 투입된 기계적 소모 에너지와 비례적인 상관성을 보였다. 압출성형 처리를 한 수용성 다당류의 경우 압출성형 처리온도 120$^{\circ}C$ 및 140$^{\circ}C$인 경우 자유 라디칼소거활성능이 압출성형 처리하지 않은 원료에 비하여 높게 증가하였다. 상기와 같은 마치현 유래 아라비노갈락탄의 항산화 활성 기능의 결과에 비추어볼 때 보다 폭 넓은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분획물 제조 및 생리활성 평가실험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면 새로운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기대된다.

대장균 β-galactosidase를 이용한 benzyl alcohol galactoside의 합성 연구 (Enzymatic synthesis of benzyl alcohol galactoside using Escherichia coli β-galactosidase)

  • 정경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572-580
    • /
    • 2019
  • 최근에 화장품, 식품, 그리고 의약용품의 첨가제로 사용되어지는 benzyl alcohol (BzOH)에 대한 독성 문제와 피부 알러지 문제가 보고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첨가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galactose 한 분자를 BzOH 분자에 결합시킨 benzyl alcohol galactoside (BzO-gal)를 합성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를 수행하였다. 이미 선행연구에서 대장균의 ${\beta}$-galactosidase (${\beta}-gal$)를 이용하여 BzOH로부터 BzO-gal이 transgalactosylation 반응으로 합성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대장균의 ${\beta}-gal$을 이용하여 BzOH로부터 BzO-gal의 합성을 반응액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을 이용하여 BzO-gal-sodium adduct ion (m/z=293.1004)과 BzO-gal의 protonated ion (m/z=271.1180)의 검출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BzOH로부터 BzO-gal로의 합성반응을 실시 할 때, 최적의 ${\beta}-gal$ 양, BzOH 양, 반응 온도, 반응 pH, lactose 농도 등 반응의 최적 조건을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0.75 U/ml ${\beta}-gal$, 185 mM BzOH, 온도 $40^{\circ}C$, pH 7.5, 350 g/l lactose의 조건이 가장 많은 양의 BzO-gal이 합성되는 최적의 조건을 확인하였다. 또한, BzO-gal의 최적 합성 조건에서 36시간 동안 ${\beta}-gal$에 의하여 185 mM BzOH로부터 약 131 mM BzO-gal이 합성되었고, 이 때, 전환 수율(conversion, %)은 약 72%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다 안전한 식품, 화장품, 그리고 의약품용 첨가제의 개발을 기대하고 있으며, BzO-gal의 특성 분석 등 추가적인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갈락토스 혈증: 한국인 갈락토스 환자 증례보고와 문헌 고찰 (Galactosemia: A Korean Patient and Literature Review)

  • 유승우;강미현;이용욱;장미영;;김숙자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23
    • /
    • 2020
  • 고전적 갈락토스 혈증은 한국에서 드물게 발생하는 유전 대사 질환이다. 또한 한국인의 돌연변이 스펙트럼은 코카시안과 비코카시안의 돌연변이 스펙트럼이 다르다. 한국에서 고전적 갈락토스 혈증은 임상적으로 서방국가와 유사하지만 분자적 연구에 따르면 백인, 아프리카인, 미국인, 일본인 및 한국인에게 고유한 돌연변이가 나타났다. 고전적인 갈락토스 혈증은 신생아 스크리닝 검사로 조기 발견하여 식이요법을 할 경우 대사질환으로 인한 합병증이 예방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 왔다. 한국의 고전적 갈락토스 혈증의 가장 최근의 사례에서 신생아 시기에 임상 증상이 시작되었다. 식이 치료를 통하여 합병증이 교정되어 정상화 되었다. 추가로 저자들은 25명의 고전적 갈락토스 혈증을 가진 돌연변이의 특징을 리뷰했다.

참취에서 분리한 다당의 면역자극 활성 (Immunostimulating Activites of Polysaccharide Fractions isolated from Aster scaber Thunb.)

  • 성수경;이영경;조장원;김은영;강동주;홍희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21-828
    • /
    • 2015
  • ASW0 is a polysaccharide derived from the perennial herb Aster scaber Thunberg. We isolated ASW0, a fraction of crude polysaccharide, by means of ethanol precipitation and dialysis after hot water extraction to investigate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immunostimulatory effects. ASW0 contains neutral sugar (45.7%), acidic sugar (51.6%), protein (2.3%), and 2-keto-3-deoxy-D-manno-octonate (KDO) (0.4%). The neutral sugar in ASW0 (in mole percentage) was mainly composed of arabinose (34.5 mol%), glucose (31.1 mol%), galactose (14.9 mol%), and rhamnose (8.1 mol%), which are characteristic of pectic polysaccharides. ASW0 also contained small amounts of xylose, mannose, and fucose. The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ASW-0 was similar to that of polysaccharide K (used as positive control). ASW0 exhibited no cytotoxicity in RAW 264.7 macrophages and dramatically increas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0.3{\sim}30{\mu}g/mL$). Also, macrophages stimulated with ASW0 showed enhanced production of immunostimul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6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SW0 have a potent immunostimulatory effect and can be used as a natural immune health ingredient.

팽나무 버섯의 항암(抗癌)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硏究)(제 1보)(第 1報) (Studies on Antitumor Components of Flammulina velutipes of Korea (I))

  • 우명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9-77
    • /
    • 1983
  • 한국산(韓國産) 담자균류(擔子菌類)의 항암(抗癌) 성분(成分)을 탐색하기 위하여, 팽나무버섯의 자실체(字實體)를 온수(溫水)로 추출한 후, visking tube로 투석 및 냉동건조하여 단백성 다당류를 분리하였다. 이 성분을 ICR마우스에 이식한 sarcoma 180에 대한 종양억제작용을 실험하였던 바, 10mg/kg/day 용량(用量)을 10일간 투여한 군(群)에서 그 종양억제율이 대조군에 비하여 62.3%이었다. 처치군의 10마리중 3마리에서 그 종양이 완전히 퇴행하였다. 이 항암성분을 분석하였던 바, 42.4%의 다당류와 24.5%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그 다당류를 가수분해하여 분석하여 본 바, glucose, galactose, mannose, xylose 및 fucose의 5종의 단당류를 검출하였다. 그 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16종의 아미노산을 확인하였다.

  • PDF

Evaluation of Antioxidative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with Fuzzy Synthetic Models

  • Zhao, Jichun;Tian, Fengwei;Yan, Shuang;Zhai, Qixiao;Zhang, Hao;Chen, We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7호
    • /
    • pp.1052-1060
    • /
    • 2018
  • Numerous studie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on oxidative stress in vivo are correlated with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in vitro; however, the relationship is still unclear and contradictory.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27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isolated from fermented foods were determined in terms of 2,2-diphenyl-1-picrylhydrazyl, hydroxyl radical,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reducing activity, resistance to hydrogen peroxide, and ferrous chelating ability in vitro. Two fuzzy synthetic evaluation models, one with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one using entropy weight, were then used to evaluate the overall antioxidative abilities of these L. plantarum strains. Although there was som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odels, the highest scoring strain (CCFM10), the middle scoring strain (CCFM242), and the lowest scoring strain (RS15-3) were obtained with both models. Examination of the antioxidative abilities of these three strains in $\text\tiny{D}$-galactose-induced oxidative stress mice demonstrated that their overall antioxidative abilities in vitro could reveal the abilities to alleviate oxidative stress in vivo.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assessment of overall antioxidative abilities with fuzzy synthetic models can guide the evaluation of probiotic antioxidants. It might be a more quick and effective method to evaluate the overall antioxidative abilities of LAB.

Schima wallichii ssp. Liukiuensis 추출물 Sterol Glycoside의 Candida spp.에 대한 항균활성 (Antimicrobial Agent from Schima wallichii ssp. liukiuensis against Candida spp.)

  • 신금;민지윤;강승미;박동진;송현진;권오웅;양재경;;최명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1-67
    • /
    • 2009
  • This study carried out development of a natural antimicrobial agent from Schima wallichii ssp. liukiuensis. Compound I exhibiting pote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Candida spp. was isol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s of Schima wallichii ssp. liukiuensis. The structure of I identified as a sterol glycoside consisted of a trisaccharide and ${\alpha}_1$-sitosterol. Trisaccharide composed of L-rhamnose, D-galactose and D-glucose residue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I was selective on yeast rather than bacteria or other fungi. Compound I was demonstrated to be ineffective against toxicity to mouse liver cells where as protective to human dermal fibroblast cells at low concentrations. Thus, it is reasonable to expect a sterol glycoside (I) as a valuable alternative for synthetic antifung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