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scorbic acid

검색결과 890건 처리시간 0.105초

국내산 녹차 및 후발효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Green and Fermented Tea Extracts)

  • 손미예;김성희;남상해;박석규;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20-924
    • /
    • 2004
  • 국내산 녹차와 후발효차의 총 플라보노이드와 페놀 성분 및 몇 가지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녹차 추출물$(413.3\;{\mu}g/g)$과 후발효차 추출물$(405.7\;{\mu}g/g)$ 이 비슷하게 함유하였으며, 총 페놀 함량은 후발효차 추출물 $(23.5\;{\mu}g/g)$보다 녹차 추출물$(46.8\;{\mu}g/g)$이 더 높게 포함되었다. 녹차 추출물의 catechin류에서는 EGC, GC, catechin, catechol 및 EGCG가 검출되었는데, 이 중 EGCG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후발효차의 열수 추출물에서는 EGCG가 검출되지 않았다. SOD 유사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적으로 그 활성이 증가하였다. Hydroxyl radical의 소거능은 각 추출물의 $3000\;{\mu}g/ml$농도에서 $60\%$ 이상을 나타내었고, $\beta-carotene-linoleate\;system$에서는 L-ascorbic acid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후발효차 추출물보다 녹차 추출물에서 효과적이었다.

농촌(農材)과 도시저소득층(都市低所得層) 노인(老人)의 영양섭취실태(營養攝取實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Dietary Intake of the Elderly in Rural and Urban Low Income Areas)

  • 손숙미;모수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2권4호
    • /
    • pp.1-10
    • /
    • 197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bbess dietary intake and eating habits of low-income persons aged 60 years or elder. 212 persons were surveyed between July 10 and August 17, 1978 ; 105 from the farming village of Yang-ju, Kyunggi province; and 107 from Karakdong, an area of redevlopment in the suburbs of Seoul. Results were as follows : 1 ) Family environment 84% of elderly persons surveyed, lived with their children; 13.2%, together as a couple; and 1.9%, widowed, lived alone. More than half on the households had an average monthly income of \50,000 to \30,000. The average Engel index was 61.2%. As for pocket money, 56.4% of male subjects had \l,000 to \7,000 per month, whereas 74% of female had less than \1,000. 2) Anthropometric measurements 59.9% of subjects were $70{\sim}90%$ of standard weight, 93% had an arm circumference only $60{\sim}80%$ of the standard. 3) Food and nutrient intake Carbohydrate provided 73.4 to 79.4% of total energy intake, whereas protein and fat accounted for 10.4 to 10.5% and 8.3 to 7.8%, respectively. Those over 65 years of age showed a somewhat greater dependence on carbohydrates for energy, than those under 65. Protein intake was only $42{\sim}52%$ of the recommended allowance. and the proportion of animal protein to total protein was only $2.1{\sim}9.3%$ far below the recommended allowance. Thus the protein nutrition of the subjects was proven to be inadequate qualitatively as well as quantitatively. Intake of energy and of all nutrients except vitamin A and ascorbic acid, were lower than recommended. 4) Correlational assessmen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oor dental health, clinical sign score, appetite index, dietary balance and nutrient intake, was significant (0<0.01). Poor teeth, illness, and poor appetite were always associated with inadequate intake of energy and nutrients. The results of this survey reveal that many of elderly of the rural and urban poor show evidence of general malnutrition, The authours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back. ground and indicate the direction that community health and welfare programs may take to assure proper nutrition for the elderly.

  • PDF

한국산 야생식용물의 혈당강하효과 (Hypoglycemic Effects of Korean Wild Vegetables)

  • Sook Ja Lim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6호
    • /
    • pp.511-517
    • /
    • 1992
  • 한국산 야생식용식물의 형당강화 효과를 보기위해서 일차적으로 5가지 식물(냉이, 닭의장풀, 메꽃, 며느리배꼽 및 참마)을 채집하였다. Strcpotozotocin(45mg/kg)을 미정맥으로 주사하여 당뇨병을 유발시킨 130~180g Sprague-Dawley계 흰쥐를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이를 5가지 식물을 adlibitum으로 공급하였다. 식용식물섭취에 따른 각군의 체중변화는 제 3주까지는 점차 증가하다가 냉이군과 메꽃군을 제외하고는 제4주째에 증가추세가 둔화되었다. 식이이용효율은 닭의장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냉이군, 메꽃군, 참마군과 며느리배꼽군에서는 식이이용효율에 차이가 없었다. 닭의장풀군, 참마군과 며느리배꼽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당 감소 경향이 지속적으로 나타났고, 뇨당의 경우에서도 닭의장풀군과 참마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며느리배꼽군에서도 한마리를 제외하고는 뇨당이 검출되지 않아 당뇨유발쥐에서 혈당강하에 효과가 있는것으로 추정된다. 혈장 중의 cholesterol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며느리배꼽군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야생식용물의 건조시료 중 조섬유의 함량은 며느리배꼽이 24.4%로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은 것은 참마로 2.5%였다. 생시료중 Vitamin C의 함량은 냉이가 193.73mg으로 가장 높았고 닭의장풀, 며느리배꼽, 메꽃슨이었고 참마가 24.6mg으로 가장 낮았다. Fe의 함량도 냉이가 14.86mg으로 높았고 참마가 가장 낮았다. Cr과 Zn의 함량도 냉이에서 높았고 참마에서 낮았다. 앞으로 야생식용산채류에 대한 성인병 예방 및 치료에 대하여 영양학적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Bisphosphonate가 배양된 치주인대세포의 조골작용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isphosphonate on Osteoblastic Activity of th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in Vitro)

  • 김은영;김옥수;정현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1호
    • /
    • pp.179-193
    • /
    • 2001
  •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an increase in bone mass and density with use of bisphosphonate in osteoporosis. This agent acts as an inhibitor of osteoclastic activity and results in increase of net osteoblastic activ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bisphosphonate on osteoblastic activity of th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in vitro.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primarily obtained from extracted healthy third molars. Cells of 4th to 6th passage were cultur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containing alendronate sodium or etidronate disodium at the concentration of $10^{-12}{\sim}10^{-6}mol/L$ in 5% $Co_2$ incubator at $37^{\circ}C$. Cell count and MTT assay for cellular activity were done at 2 to 7 days of cultur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t 4 to 7 days of culture and formation of mineralized nodules at 28 days of culture with addition of $50{\mu}g/m{\ell}$ ascorbic acid, 10 nM${\beta}-glycerophosphate$, $10^{-7}M$ dexamethasone were evaluated. 1. Alendronate sodium Compared to the control, the proliferation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was generally increased and the cellular activity was maintained at 2 days of culture and generally decreased at 7 days of cultur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was inceased and the formation of mineralized nodules by periodontal ligament cells was enhanced compared to the control. 2. Etidronate disodium The proliferation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was increased at 2 days of culture and decreased or maintained at 7 days of culture. Compared to the control, the cellular activity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was generally decrease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peridontal ligament cells was increased and the formation of mineralized nodules by periodontal ligament cells was enhanced compared to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endronate sodium and etidronate disodium may have a potential effect on osteoblastic lineage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distinct from their inhibitory action on osteoclasts and could contribute to enhance periodontal regeneration and alveolar bone regeneration.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 처리가 감귤쥬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Treatment on Quality of Citrus juice)

  • 좌미경;임상빈;양영택;고정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50-755
    • /
    • 1996
  • 종래의 가열처리 방법에서 발생하는 감귤쥬스의 향기 및 성분 파괴 등 품질저하를 방지할 목적으로 감귤쥬스를 고온에서 가열하는 대신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처리하여 감귤쥬스의 품질에 해당하는 pH, $^{\circ}Brix$(가용성고형분), 총산도, 아스코르빈산, 색도, PE 활성도, 관능적 성질 등을 측정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138bar에서 감귤쥬스를 처리하면 $93^{\circ}C$보다 훨씬 낮은 온도인 $50^{\circ}C$에서도 거의 동일하게 PE가 불활성화되었다. 감귤쥬스의 pH, $^{\circ}Brix$, 총산도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처리온도와 압력에 관계없이 처리 전과 후에 거의 유사하였다. 아스코르빈산 함량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처리 전과 후에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93^{\circ}C$/40초 처리한 경우는 12%가 감소되었다. 감귤쥬스의 색도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처리하였을 때가 온도만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L과 b값이 증가하였고 a값은 감소하였다. $4^{\circ}C$에서 저장 중 $93^{\circ}C$/40초 처리한 감귤쥬스의 PE활성도는 서서히 감소한 반면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처리한 감귤쥬스의 PE 활성도는 가역적이었다. 순위기호검사법으로 색, 향, 맛, 종합적 선호도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초임계 이산화탄소 처리가 감귤쥬스의 관능적 성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용해기체 분석용 기체감응막 이온선택성 전극 (제 4 보) 관형 PVC막 pH전극을 이용한 황화이온의 연속 · 자동화 정량 (Gas-Sensing Membrane Electrodes for the Determination of Dissolved Gases (Ⅳ). Continuous-Automated Determination of Sulfide Ion Using Tubular PVC Membrane Type pH Electrode)

  • 이흥락;배준웅;오상협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638-643
    • /
    • 1992
  • 황화이온검출기로서 2가지 형태의 연속 flow-through 전극계의 분석적 감응성질을 조사하고, 최적조건에서 그들의 감응특성을 직접 비교하였다. 두 검출계에 있어서 측정한 봉우리전위를 황화이온농도의 대수값과 관련지웠으며, 적어도 시간당 20개의 시료를 정량할 수 있었다. pH전극법에서는 투석기를 지나 흘러가는 recipient stream의 pH를 측정하였다. 장치는 연속흐름형의 기체투석기가 관형 polymer 막전극과 연결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방법의 최적실험조건은 recipient $5.0 {\times} 10^{-5} M NaOH + 5.0 {\times} 10^{-3} M$ NaCl과 diluent 0.10M $H_2SO_4$이며, recipient stream, diluent stream 및 시료의 유속은 모두 1.0ml/min이다. 황화이온 전극법에서는 시판하는 황화이온선택성 전극을 flow-through cell 속의 황화이온을 검출하는 데에 썼다. 이 방법의 최적실험조건인 황화이온 산화방지 완충제(1.0M NaOH 용액에 3.5g 아스코르브산과 7.6g $Na_2EDTA$를 용해)와 시료의 유속은 각각 1.4 ml/min와 1.0 ml/min이다.

  • PDF

홍화, 홍화씨 추출물이 MC3T3E1 세포의 골분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fflower and Safflower Seed Extract on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MC3T3E1 Cells)

  • 유성률;신선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18-526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urified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inne) and safflower seed (Carthamus tinctorius L. seed; CS) extract, using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 methods , on the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MC3T3E1 cells.Methods The safflower and safflower seed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ethanol. The samples were concentrated by a rotary evaporator and then freeze-dried using a freeze-dryer. The MC3T3E1 cells were propagated and maintained in DMEM (Gibco) containing 10% FBS and a 1% antibiotic antimycotic solution. To induce osteogenic differentiation, the cells were treated for 14 days with DMEM with 10 mM β-glycerophosphate and 50 μM ascorbic acid. Extract doses were confirmed by the results of an MTT assay, and treatment of the extracts was performed in a differentiation medium every two days. The ALP staining and activity were tested after osteogenic differentiation for five days, and after 14 days, osteogenic differentiation was determined by alizarin red S staining. The mRNA expressions of osteogenic-related genes were quantifi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Results In the results of the MTT assay, all concentrations of safflower extracts had no toxicity in the MC3T3El cells. But in the groups of 100 ng/ml and 200 ng/ml concentrations of safflower seed extracts, the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up to 40-50%. So we fixed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at 50 ng/ml. In the ALP and alizarin red S staining, all extract groups increased osteogenic differenti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water-safflower extract group showed the highest mRNA level of Alp, Runx2, and Dlx5 genes. The mRNA level of Ocn, an osteogenic gene related to late-stage differentiation, in the ethanol-safflower extract group increased the mineralization more significantly than in other groups.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 that the extract of safflower increases the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activates of MC3T3E1 cells like the extract of safflower seed. The water-extract and ethanol-extract of safflower have effects on different stages of osteogenesis in MC3T3El. Not only safflower seed but also safflower will be useful therapeutic reagents for age-associated chronic diseases such as osteoporosis.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 다대기의 저장 중 품질개선을 위한 첨가물 효과 (Effects of Additives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Minced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During Storage)

  • 이명희;이경혜;조장원;김경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9-6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식초와 주정 및 아스코르빈산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생강다대기 (MG)를 $3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첨가물이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생강다대기의 저장 중 색도의 경우 T-I 처리구 색도값이 다른 첨가구와 비교하여 높은 값을 보여주었고, 총 색차인 ${\Delta}E$는 T-III 처리구에서 저장 28일 경과 후에도 색도 변화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강다대기의 일반세균수를 측정한 결과, 저장 초기 무첨가구(T-0)에서 일반세균수가 $5.37{\times}10^7\;CFU/g$ 이었으나, MG-처리구의 초기 일반세균수가 T-0와 비교하여 4 log 이상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저장기간 중 미생물의 증식없이 초기 일반세균수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여 첨가물의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생강다대기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T-0와 MG-처리구간의 향기에 대한 강도 평가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전자코 분석장치에 의한 생강다대기의 향기성분 분석 결과, 초기치 생강다대기 향은 T-0에 비하여 T-I, T-II, T-III 처리구의 향기가 좀 더 강하게 인지되었으나, 저장 중 향기성분의 변화는 첨가물의 종류나 첨가량에 관계없이 저장온도 $30^{\circ}C$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가피 부위별 50% 메탄올 추출액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50% M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 최재명;안준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73-377
    • /
    • 2012
  • 오가피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약재로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오가피 부위별 50% (v/v) 메탄올 추출액의 기능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 생리활성 물질(eleutheroside B, eleutheroside E)의 함량, 추출부위별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활성, 아질산염소거능 및 항암활성을 알아보았다. 오가피의 생리활성 표준물질인 eleutheroside E는 줄기(556.00 ${\mu}g/g$)>뿌리(430.22 ${\mu}g/g$)>열매 (32.70 ${\mu}g/g$)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eleutheroside B는 열매 (538.99 ${\mu}g/g$)>줄기(423.60 ${\mu}g/g$)>뿌리(352.30 ${\mu}g/g$)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총 폴리페놀은 뿌리(2.97 mg/g) 부위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잎, 줄기에 각각 0.95, 0.77 mg/g 함유되어 있었다. 전자공여능은 줄기 추출물에서 90.21%로 대조구인 1% (w/v) L-ascorbic acid의 전자공여능(91.75%)과 유사하게 높은 활성을 보였고 뿌리 추출물에서도 85.71%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발암 전단계를 촉진하며 산성 환경에서 식품 중에 nitrosoamine을 생성하는 아질산염에 대한 오가피의 제거 효과는 추출부위와 관계없이 pH 1.2에서 81.5-93.0%로 높게 나타났다. pH가 높아짐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능은 대개 소실되었으나 잎 추출액의 경우 pH 6.0에서도 62.9%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유지하고 있었다. 각 부위별 추출액은 모두 정상세포인 DC2.4의 생육 저해 효과를 보이지 않아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뿌리 추출물에서는 위암세포주인 SNU-719에 대해 약 23%의 저해 효과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오가피 부위별 50% (v/v) 메탄올 추출액은 높은 항산화 활성과 아질산염 제거효과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식품소재로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국, 국화 및 구절초 꽃 휘발성 성분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Volatile Compounds in Flower of Chrysanthemum indicum, C. morifolium, and C. zawadskii)

  • 우관식;유정식;황인국;이연리;이철희;윤향식;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05-809
    • /
    • 2008
  • 감국, 국화 및 구절초 등 3종의 국화과 식물에 대해 향기성분을 분석하고 향기성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고자 3종의 국화과 식물에 대한 향기특성을 SDE법으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한 결과 camphene, 1,8-cineole, benzene, pinocarvone, bicyclo-2,2,1-heptan-2-ol, trans-caryophyllene, 3-cyclohexen-1-ol, ${\gamma}$-curcumene, zingiberene, ${\beta}$-bisabolene 등이 검출되어 주요 향기성분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감국, 국화 및 구절초의 향기추출물에 대한 전자공여능을 DPPH법으로 측정한 결과 1 g/mL의 농도에서 각각 30.57, 46.36 및 51.72%로 나타내어 구절초 추출물이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항산화력을 ABTS법으로 측정한 결과 각각 34.99, 35.31 및 38.48mg AEAC/g으로 나타내어 전자공여능과 마찬가지로 구절초가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구절초가 camphene, 1,8-cineole, camphor, germacrene D, myrtenol 등의 성분이 감국이나 국화보다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활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