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

검색결과 82,482건 처리시간 0.073초

(L,M)-NEIGHBORHOOD SPACES

  • Kim, Y.C.;Ramadan, A.;Usama, M.A.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15권2호
    • /
    • pp.121-133
    • /
    • 2007
  • We introduce the notions of (L,M)-neighborhood spaces and (2,M)-fuzzifying neighborhood spaces. We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L,M)-neighborhood spaces, (L,M)-topological spaces and (2,M)-fuzzifying neighborhood spaces.

  • PDF

Aspergillus terreus에 의한 Lovastatin 생산에 배지성분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dium Components on the Production of Lovastatin by Aspergillus terreus)

  • 김병곤;정용섭;전계택;이영행
    • KSBB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36-44
    • /
    • 1999
  • 고지혈증 치료제인 Lovastatin을 Aspergillus terreus로부터 생산하기 위해 최적의 탄소원, 질소원, 인산염 및 아미노산을 선정하였다. 단일 탄소원에서는 글리세롤 45mL/L가 Lovastatin 256mg/L로 포도당 45g/L의 기본배지보다 약 3.5배 이상의 높은 Lovastatin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탄소원이 지방산 합성에 이용되는 것을 차단하고 Lovastatin으로의 합성을 촉진하기 위해 기름 증류를 탄소원으로 이용한 결과, 높은 Lovastatin 생산량과 균재량을 나타내었으나, 글리세롤 45mL/L가 Lovastatin 생산량이 낮았다 포도당 50g/L와 글리세롤 50mL/L를 혼합한 복합 탄소원이 Lovastatin 298mg/L로 기본배지에 비해 약 4배 이상의 가장 높은 Lovastatin 생산량을 나타냈었다. 질소원의 영향은 뚜렷하여 질소원에 따라 Lovastatin 생산량이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 peptonized milk가 가장 Lovastatin 생산량이 높았다. 인산염 중에서는 $K_2HPO_4$가 가장 높은 Lovastatin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얻어진 최적 배지에 각종 아미노산을 첨가한 결과 L-hisbhine과 L-tryptophan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최적 농도는 둘다 6g/L였다.

  • PDF

Listeria monocytogenes Serovar 4a is a Possible Evolutionary Intermediate Between L. monocytogenes Serovars 1/2a and 4b and L. innocua

  • Chen, Jianshun;Jiang, Lingli;Chen, Xueyan;Luo, Xiaokai;Chen, Yang;Yu, Ying;Tian, Guoming;Liu, Dongyou;Fang, Weihu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3호
    • /
    • pp.238-249
    • /
    • 2009
  • The genus Listeria consists of six closely related species and forms three phylogenetic groups: L. monocytogenes-L. innocua, L. ivanovii-L. seeligeri-L. welshimeri, and L. grayi. In this report, we attempted to examine the evolutionary relationship in the L. monocytogenes-L. innocua group by probing the nucleotide sequences of 23S rRNA and 16S rRNA, and the gene clusters lmo0029-lmo0042, ascB-dapE, rplS-infC, and prs-ldh in L. monocytogenes serovars 1/2a, 4a, and 4b, and L. innocua. Additionally, we assessed the status of L. monocytogenes-specific inlA and inlB genes and 10 L. innocua-specific genes in these species/serovars, together with phenotypic characterization by using in vivo and in vitro procedures. The results indicate that L. monocytogenes serovar 4a strains are genetically similar to L. innocua in the lmo0035-lmo0042, ascB-dapE, and rplS-infC regions and also possess L. innocua-specific genes lin0372 and lin1073. Furthermore, both L. monocytogenes serovar 4a and L. innocua exhibit impaired intercellular spread ability and negligible pathogenicity in mouse model. On the other hand, despite resembling L. monocytogenes serovars 1/2a and 4b in having a nearly identical virulence gene cluster, and inlA and inlB genes, these serovar 4a strains differ from serovars 1/2a and 4b by harboring notably altered actA and plcB genes, displaying strong phospholipase activity and subdued in vivo and in vitro virulence. Thus, by possessing many genes common to L. monocytogenes serovars 1/2a and 4b, and sharing many similar gene deletions with L. innocua, L. monocytogenes serovar 4a represents a possible evolutionary intermediate between L. monocytogenes serovars 1/2a and 4b and L. innocua.

사과주스의 품질에 미치는 pulsed electric field 연속 처리효과 (Effect of continuous pulsed electric fields treatments on quality of apple juice)

  • 안성환;임정호;김영호;정석진;박기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50-658
    • /
    • 2013
  • 전기장의 세기 20 kV/cm, 펄스 폭 25 ${\mu}s$에서 펄스 빈도 35 Hz(40 kJ/L), 55 Hz(70 kJ/L), 72 Hz(100 kJ/L) 및 85 Hz(130 kJ/L)로 달리하여 투입 에너지를 기준으로 사과 착즙액의 PEF 연속처리 살균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일반세균수은 초기 5.3 log CFU/mL에서 130 kJ/L의 에너지로 처리하였을 때 3.0 log CFU/mL로 감소하였고 효모 및 곰팡이는 초기 4.6 log CFU/mL에서 130 kJ/L의 에너지로 처리로 < $10^1$ CFU/mL 이하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대장균군수도 초기 4.7 log CFU/mL에서 130 kJ/L의 에너지 처리로 < $10^1$ CFU/mL 이하로 감소하였다. PEF 처리에 따른 가용성 고형분, 유리당 등에는 처리 조건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p<0.05), 총 페놀함량, DDPH 및 FRAP 값은 처리조건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지만 $65^{\circ}C$에서의 가열처리보다는 감소량이 작았다. 전기장 세기 20.0 kV/cm, 펄스 빈도 85 Hz, 펄스 폭 25 ${\mu}s$에서의 반복처리는 미생물 살균 효과가 제한적이었고 처리회수에 따라 총 페놀함량, DPPH 및 FRAP 값을 유의적(p<0.05)으로 감소시켰다.

Helicobacter pylori로부터 유래된 항원의 항원성에 관한 연구 (Immunotoxicity Study of Separated Antigen from Helicobacter pylori.)

  • 박창호;배만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94-50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H. pylori의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보조제로 사용할 목적으로 포유동물을 통한 피동면역용 항체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anti-H. pylori 항체를 함유한 면역우유 생산용 백신개발에 기초자료를 얻고자 H. pylori의 면역성과 면역독성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백신을 반복해서 투여했을 때 야기될 수 있는 알레르기 및 과민반응을 예측하고, 페니실린 쇼크와 같은 심각한 부작용 및 독성유발 가능성을 검색하기 위하여 백신의 면역독성을 평가하였다. 전신성 anaphylaxis 쇼크반응의 유무를 평가하기 위해 각 군당 5마리의 guinea pig에 감작투여한 후 최종감작 1주와 2주째에 귀정맥(ear vein)으로 야기항원을 투여하였다. anaphylaxis 쇼크 반응 시험에서 5마리 중 1마리가 양성반응을 나타낸 경우 의약품의 안전성 평가라는 관점에서는 양성으로 판정한다[11]. H. pylori의 WC항원에 대한 1차 및 2차 야기항원 투여 후 전신성 anaphylaxis 쇼크반응에 대한 관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H. pylori의 WC에 대한 anaphylaxis 쇼크반응은 WC (H) $60\;{\mu}g/100\;{\mu}l$의 항원농도에서 1차, 2차 야기항원 투여 모두 경증의 증상을 나타내었고, WC (L) $20\;{\mu}g/100\;{\mu}l$의 항원농도에서는 아무런 anaphylaxis 쇼크 증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crude urease에 대한 anaphylaxis 쇼크반응은 항원농도가 $20\;{\mu}g/100\;{\mu}l$의 urease (L)와 $60\;{\mu}g/100\;{\mu}l$의 urease (H) 모두에서 아무런 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Guinea pig-rat를 이용한 PCA 시험에서는 WC (H), WC (L), urease (H), urease (L) 투여군 모두에서 양성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피부감작성 시험에서는 항원농도에 따라 각각 $80\;{\mu}g/100\;{\mu}l$, $40\;{\mu}g/100\;{\mu}l$, $20\;{\mu}g/100\;{\mu}l$, $20\;{\mu}g/100\;{\mu}l$ 일 때 피부이상 증상 즉,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는 최고의 항원농도는 $40\;{\mu}g/100\;{\mu}l$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항원성 시험에서 H. pylori로부터 분리된 urease 항원이 WC 항원보다 면역독성 측면에서 좀 더 안전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운지구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연구 (Monitoring and research of NPS pollution priority Management - Jaun district Watershed)

  • 박병기;신재영;이수인;주소희;최중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524-52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홍천 자운지구 고랭지 농업지역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유역조사와 하천 모니터링을 통해 관측된 축척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점오염저감 효과를 정량화하고 추후 모니터링 자료로서 탁수와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저감효과와 비점오염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소양호 유역의 오염부하(1차 강우사상) 중 홍천군 자운지구의 유역단위 비점오염 저감효과의 분석에는 강우량과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를 이용하였으며, 자운천은 SS 5,396,761 kg, COD 82,261 kg, BOD 57,329 kg, T-N 68,711 kg, T-P 3,091 kg이었으며, 오염부하(2차 강우사상)는 SS 320,293 kg, COD 34,588 kg, BOD 22,350 kg, T-N 48,954 kg, T-P 640 kg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양호 유역의 EMC(1차 강우사상) 중 자운천은 SS 829.9 mg/L, COD 12.7 mg/L, BOD 8.8 mg/L, T-N 10.567 mg/L, T-P 0.475 mg/L 이었으며, EMC(2차 강우사상)는 SS 68.6 mg/L, COD 7.4 mg/L, BOD 4.8 mg/L, T-N 10.487 mg/L, T-P 0.137 mg/L로 나타났다. 소양호 유역의 단위면적당 오염부하(1차 강우사상) 중 자운천은 SS 402.0 kg/ha/event, COD 6.1 kg/ha/event, BOD 4.3 kg/ha/event, T-N 5.118 kg/ha/event, T-P 0.230 kg/ha/event 이었으며, 오염부하(2차 강우사상)는 SS 23.9 kg/ha/event, COD 2.6 kg/ha/event, BOD 1.7 kg/ha/event, T-N 3.646 kg/ha/event, T-P 0.048 kg/ha/event로 나타났다. 오염부하에서는 1차 강우에 비해 2차 강우에서는 SS 5,076,468 mg/L, COD 47,673 mg/L, BOD 34,979 mg/L, T-N 19,757 mg/L, T-P 2451 mg/L로 1차 강우사상에 비해 오염부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MC에서는 1차 강우에 비해 2차 강우에서는 SS 761.3 mg/L, COD 5.3 mg/L, BOD 4.0 mg/L, T-N 0.080 mg/L, T-P 0.338 mg/L로 1차 강우사상에 비해 EMC가 저감되었다.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는 1차 강우에 비해 2차 강우에서는 SS 378.1 mg/L, COD 3.5 mg/L, BOD 2.6 mg/L, T-N 1.472 mg/L, T-P 0.182 mg/L로 1차 강우사상에 비해 EMC가 저감되었다. 강우량과 강우강도 그리고 영농활동의 시기에 따른 EMC와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는 큰 차이를 보였으며, 예년에 비해 적은 강수량으로 인해 탁수와 비점오염부하의 배출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소양호 유역과 같은 넓은 유역에서 시행되는 비점오염원의 저감연구는 오랜 시간 동안 자료를 축적해야 유의미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유량 데이터 자료구축과 수질분석뿐만 아니라, 발생되는 비점오염 물질의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하며, 아울러 농민의 인식도 변화 등을 포함하는 많은 인자들을 정밀히 조사하고 다각도로 분석하여 저감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하수슬러지에 대한 지렁이처리법 적용에 유리한 몇 가지 친환경 응집물질의 하수슬러지에 대한 응집효과 (Coagulating effects of several eco-friendly coagulant materials favorable for vermicomposting sewage sludge)

  • 배윤환;박순철
    • 유기물자원화
    • /
    • 제23권1호
    • /
    • pp.52-62
    • /
    • 2015
  • 슬러지 응집제로서 폴리머, 제올라이트, 고령토, 황토, 키토산 등의 하수슬러지에 대한 응집효과 및 폴리머와 이들 응집제를 혼합한 물질의 응집효과를 검토하였다. 2,500~50,000 mg/L 농도에서 황토가 고령토, 제올라이트보다 하수슬러지에 대한 응집효율이 높았다. 제올라이트, 고령토, 황토 20,000 mg/L 처리의 응집효과는 폴리머 1,000 mg/L 처리의 응집효과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제올라이트, 고령토, 황토 단독 처리로는 현행 하수슬러지 탈수 시에 사용 중인 폴리머와 같은 응집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웠다. 키토산 역시 폴리머와 같은 1,000 mg/L 처리에서 응집효과가 현저하게 낮은 것과 고가의 구입비용을 감안하였을 때 키토산 단독처리는 현실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수슬러지에 대한 지렁이처리법 적용에 유리한 응집제 조합은 '폴리머 80mg/L +고령토 또는 황토 500 mg/L + 키토산 10 mg/L' 으로 판단되며, 다음으로 '폴리머 80 mg/L + 고령토 또는 황토 500 mg/L' 조합으로 판단된다.

목초액 및 코코넛액이 석곡(Dendrobium moniliforme)의 유묘 증식과 기내 개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yroligneous Liquor and Coconut Water on Plantlet Multiplication and in Vitro Flowering of Dendrobium moniliforme)

  • 지선옥;조동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39-742
    • /
    • 2005
  • 본 연구는 배지에 첨가된 목초액 및 코코넛액이 석곡 유묘의 증식 및 기내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목초액이 석곡 유묘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은 NAA 0.1 mg/L와 kinetin 1.0 mg/L 가 첨가된 $H_{3} P_{4}$ 배지에 목초액 1.0 ml/L를 처리했을 때 유묘의 증식 및 생장이 양호 하였다. 코코넛액은 30 ml/L가 첨가되었을 때 유묘의 증식 및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기내 개화 역시 NAA 0.1 mg/L 와 kinetin 1.0 mg/L 가 첨가된 $H_{3} P_{4}$ 배지에 목초액 1.0 ml/L 또는 코코넛액 30 ml/L가 첨가되었을 때 전체 개체의 $ 20\% $에서 기내개화가 일어났다

Escherichia coli K-12 대사조절 변이주에 의한 L-페닐알라닌 생산 (L-Phenylalanine Production by Regulatory Mutants of Excherichia coli K-12)

  • 이새배;박청;원찬희;최덕호;임번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4-179
    • /
    • 1990
  • L-Phenylalanine을 대량생산하는 균주를 얻기 위하여 Escherichia coli K-12로부터 여러대사조절 변이주를 분리하였다. MWEC 83은 L-phenylalanine을 7.4 g/l 생산하는 tyrosine, tryptophan 이중 영양요구성 변이주이다. Tyrosine과 tryptop phan의 첨가없이 L-phenylalanine을 생산하기 위하여 MWEC 83으로부터 복기변이주 MWEC 101을 분리하였다. 또한 MWEC 101 균주로부터 여러 analog와 valine 내성주를 분리하였다. MWEC 101-5는 포도당 15%로 배양 54시간에 17.9 g/l의 L-phenylalanine을 생산하는 최고 우량균주이다. MWEC 101-5의 chorismate mutase와 prephenate dehydratase 효소환성은, 효소반응 혼합액 속에 2mM phenylalanine에 대하여 효소활성이 저해되지 않았다.

  • PDF

A STUDY ON THE ELIMINATION OF FLUORIDE IN A HOT SPRING WATER

  • Lee, Hyeon-Ki;Kim, Hwan-Gi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77-83
    • /
    • 2006
  • The hot spring water of the north Jeonla province such as Wanggung, Jookrim, Seokjung, and Hwasim, has fluoride concentration of 3.9 mg/L, 12.7 mg/L, 1.9 mg/L, and 6.3 mg/L, respectively. These figures fairly exceed the Korean and WHO standard for potable water, which is 1.5 mg/L. Therefore, in this study, research on elimination of fluoride in a hot spring water of Jookrim region, which has the highest level of fluoride concentration level in the north Jeonla province, was carried out. In analysis of Jookrim hot spring water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standard for potable water, pH was very high at 9.25 and the concentration of fluoride was 10 times higher than the standard at 18.2 mg/L. Other measurements were within the standard or not detected. After injecting 10g of activated carbon for elimination of fluoride, the fluoride concentration was measured at 13.5 mg/L, and when 70mL or more of alum 10 g/L solution was injected, the concentration was measured at 2.8 mg/L, and injecting 3g of lime was measured at 9 mg/L. Alum showed the best elimination performance among all individual injections. Injection of 25 mL of activated carbon and 100 mL of alum solution together reduced the fluoride concentration down to 1.3 mg/L, which is under the potable standard. Injection of lime 1g and 75 mL of alum 10 g/L solution together reduced fluoride concentration to 4.1 mg/L. From the modifying HRT, by using ion exchange resin column, the pH was stabilized when HRT was Imin and showed range of $6.7{\sim}7.8$. The fluoride concentration reduced gradually as the HRT increased, and satisfied the potable standard when HRT passed 6 min, and after 30 min HRT, the concentration of fluoride was 0.05 mg/L: almost elimin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