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

검색결과 82,148건 처리시간 0.082초

싸리나무류재(類材)의 조직(組織)과 섬유(纖維)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Wood Structure and Fiber Characteristics of Genus Lespedeza species)

  • 김수인;염창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9-20
    • /
    • 1988
  • Lespedeza species have been widely used not only as plant resources for bark, leaves and honey, but also as erosion control materia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and wood tibe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the utilization of the wood. The wood structure was investigated for 10 selected species and the wood fiber, for the 5 selected species among Lespedeza species distributed all over the countr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cross section, campylotropis showed ray diffuse porous wood, L. bicolor, L. cyrtobotrya, L. thunbergii var. intermedia, diffuse porous wood, and L. tomentella, L. angustifolioides. L. maritima, L. robusta, L. patentibicolor, ring porous wood. The maximum diameter of a single vessel ranged 66-123 ${\mu}$ in all species. Campylotropis showed the most number of vessels, L. angustifolioides, the least. The number of ray per mm ranged 7-22, Campylotropis showed the most number of rays, L. angustifolioides, the least. In the radial section the average length of vessel ranged 121-250 ${\mu}$ in all species. L. thunbergii var. intermedia showed the longest vessel, L. tomentella, the shortest. In tangential section the average width of the uniseriate ray ranged 9.2-14.7${\mu}$, that of the multiseriate ray, 19.2-42.1 ${\mu}$. The average height of the uniseriate ray ranged 143.0-1162.0 ${\mu}$. The width of fiber ranged 10.12-13.61 ${\mu}$, L. maximowiezii showed the narrowest tiber, L. thunbergii var. intermedia. the widest, the thickness of fiber wall ranged 2.93-3.71 ${\mu}$ in the five species. L. maximowiezii showed the most thin fiber wall, L. thunbergii var. intermedia, the thickest, L. cyrtobotrya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fiber between the shade and the sunny sites but L. maximowiezii showed no differenc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fiber length, fiber width and wall thickness between L. eyrtobotrya and L. maximowiezii.

  • PDF

Spati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organic carbon level in four major rivers in Korea

  • Lee, Jaewoong;Shin, Kisik;Park, Changhee;Lee, Seunghyun;Jin, Dal Rae;Kim, Yongseok;Yu, Soonju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84-90
    • /
    • 2016
  • Regionally the lowest average concentration of TOC was observed with 0.66 mg/L in Nakdong river, while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OC was observed with 0.91 mg/L in Yeongsan river.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OC for national water quality monitoring site showed that the lowest average concentration of TOC was 1.58 mg/L in Han river, while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OC was 3.37 mg/L in Yeongsan river. Seasonally,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OC at six upstream sites showed 0.77 mg/L and 0.56 mg/L, 0.69 mg/L and 0.63 mg/L, 0.80 mg/L and 0.73 mg/L, and 1.21 mg/L and 0.68 mg/L between wet season and dry season in Han river, Nakdong river, Gem river and Yeongsan river, respectively. For the national water quality site,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OC between wet season and dry season was 1.70 mg/L and 1.45 mg/L in Han river, 2.01 mg/L and 1.75 mg/L in Nakdong river, 2.01 mg/L and 1.60 mg/L in Gem river, and 3.75 mg/L and 3.00 mg/L in Yeongsan river. The distribution of TOC in upstream and national water quality monitoring sites on four major rivers have been influenced by season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in Korea.

재밍대응 5소자 평면 GPS 배열 안테나 설계 (Design of an Anti-Jamming Five-Element Planar GPS Array Antenna)

  • 서승모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628-636
    • /
    • 2014
  • 본 논문은 재밍 대응 위성 항법 장치의 5소자 평면 배열 안테나 설계에 대해 기술한다. GPS $L_1/L_2$ 대역에서 공진하는 적층 구조의 패치 안테나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된 안테나는 광대역 및 원형 편파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칩 커플러를 이용한 이중 급전을 사용한다. 배열안테나 측정 결과, 중앙안테나의 전면 방향 이득은 $L_1$$L_2$ 대역에서 각각 1.10 dBic, 0.37 dBic, 측면안테나는 $L_1$$L_2$ 대역에서 0.99 dBic, -0.57 dBic를 갖는다. 고각 $30^{\circ}$에서 방위각의 이득은 중앙안테나 $L_1$$L_2$ 대역에서 평균 -2.08 dBic, -5.33 dBic의 측정 결과를 갖는다. 측면안테나는 $L_1$$L_2$ 대역에서 평균 -0.40 dBic, -2.09 dBic의 측정 결과를 갖는다. 제안된 5소자 평면 배열 안테나는 GPS 재밍 대응 장치에 적합함을 확인한다.

Azadirachtin, a Novel Biopesticide from Cell Cultures of Azadirachta indica

  • Balaji Kaveti;Veeresham Ciddi;Srisilam Keshetty;Kokate Chandrakanth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권2호
    • /
    • pp.121-129
    • /
    • 2003
  • Callus cultures of Azadirachta indica flower petals were establish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naphthalene acetic acid (1 mg/L), kinetin (0.5 mg/L) and sucrose $(3\%\;w/v)$. Cell cultures of Azadirachta indica were established and studied the growth and production kinetics. Half 85 medium supplemented with dicamba (2 mg/L), kinetin (1 mg/L) and sucrose $(3\%\;w/v)$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initiation and maintenance of cell cultures from the calli. MS medium supplemented with naphthalene acetic acid (NAA) (1 mg/L), kinetin (0.5 mg/L) and sucrose $(3\%\;w/v)$ was found to be suitable as production medium. Around $80\%\;(0.05\%\;w/v)$ of azadirachtin was found to be intracellular. The effect of various precursors, elicitors, permeabilizing agents and growth retardants in cell cultures was studied. The addition of precursors sodium acetate (10 mg/L), squalene (10 mg/L), isopentenyl pyrophosphate (1 mg/L) and geranyl pyrophosphate (1 mg/L) to the cell cultures on day 3 has shown significant increase in bioproduction of azadirachtin $(64.94{\pm}4.40\;mg/L,\;72.81{\pm}0.04\;mg/L,\;51.63{\pm}1.26\;mg/L\;and\;30.70{\pm}0.28\;mg/L\;respectively)$ over the control cultures $(4.70{\pm}0.27 mg/L)$. $5\%$ v/v cell extracts of Fusarium solani has shown moderate increase in the content of azadirachtin $(5.71{\pm}0.34\;mg/L)$ when compared to control cultures $(2.40{\pm}0.56\;mg/L)$. The addition of methyl jasmonate $(500\;{\mu}M/L)$ on day 3 has shown $\~4$ fold improvement in bioproduction of azadirachtln $(6.92{\pm}0.11\;mg/L)$ when compared to control cultures $(1.63{\pm}0.02\;mg/L)$.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the studied growth retardants and permeabilizing agents on bioproduction of azadirachtin. Cells are cultivated in large volumes using the effective precursors.

Optimization of industrial medium for the production of erythritol by candida magnoliae

  • Kim, Seung-Bum;Park, Sun-Young;Seo, Jin-Ho;Ryu, Yeon-Woo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I)
    • /
    • pp.268-272
    • /
    • 2003
  • LSW는 유기질소원으로 가격이 가장 저렴하면서도 43.3 mL/L를 이용할 경우에 250 g/L의 glucose로부터 erythritol을 53%의 수율과 0.52 g/L-hr의 생산성 및 132 g/L의 농도로 생산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산업용 쓰이기에 충분한 가능성을 보였다. Erythritol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발효 조건의 최적화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기본 발효배지에 65 mL/L의 농도로 LSW를 이용할 경우에 250 g/L의 glucose로부터 erythritol의 수율은 44% 약간 낮아졌지만, 생산성은 0.66 g/L-hr로 1.3배 증가하였다. Growth stage에서 고농도 균체를 얻기 위하여 glucose를 feeding 방법에 관한 연구에서는 glucose 100 g/L와 LSW 500 mL/L를 같이 넣고 배양하는 회분식 배양 방법을 통해 23시간만에 77.6 g/L의 균체를 얻을 수 있었다. Erythritol의 수율 향상을 위하여 production stage에서 최적의 glucose 농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발효조 내에서 glucose의 농도가 450 g/L 가 되도록 할 경우에 185.5 g/L의 erythritol을 37.3%의 생성 수율과 1.66 g/L-hr의 생산성으로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산업용 질소원으로 선정된 LSW를 가지고 2단계 유가식 배양을 통하여 회분식 배양과 비교해 볼 때 수율은 1.1배정도 감소되었지만 erythritol의 생산성은 2.5 배 정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국내 미기록 표고속 종들(Lentinula spp.)의 배양적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unrecorded species Lentinula spp. in Korea)

  • 김광상;김경제;김현석;진성우;김진경;반승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93-199
    • /
    • 2009
  • 표고속(Lentinula)에 속한 종들의 배양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국내 미기록종인 L. aciculospora, L. boryana, L. raphanica 3균주와 대조군으로 국내 기록종인 L. edodes 1 균주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군인 L. edodes 균주는 ME1 배지에서 91.8 mm/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4^{\circ}C$, 최적pH는 6으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Glucose와 Malt extract, 최적비타민은 Myoinosiol로 나타났다. 첫 번째 국내 미기록종인 L. aciculospora 균주는 PDA 배지에서 36.5 mm/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2^{\circ}C$, 최적pH는 6으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Glucose와 Malt extract, 최적비타민은 Myo-inosiol로 나타났다. 두 번째 L. boryana 균주는 MCM 배지에서 55.0 mm/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2^{\circ}C$, 최적pH는 7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Glucose와 Urea, 최적비타민은 Riboflabin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L. raphanica 균주는 ME1 배지에서 70.0 mm/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8^{\circ}C$, 최적pH는 5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Sucrose와 Potassium nitrate, 최적비타민은 Riboflabin으로 나타났다.

  • PDF

갓김치에서 분리된 유산균의 활성산소종에 대한 저항성과 항산화 활성 (Resistance to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me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the Mustard Leaf Kimchi)

  • 임성미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75-382
    • /
    • 2010
  • 갓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5종(Lactobacillus acidophilus GK20, Lactobacillus brevis GK55, Lactobacillus paracasei GK74, Lactobacillus plantarum GK81,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GK104)의 활성산소종에 대한 저항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Hydrogen peroxide (0.5 mM)와 반응 5시간후 L. acidophilus GK20, L. brevis GK55, L. paracasei GK74 및 L. plantarum GK81들은 5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superoxide anions에 의한 저해율은 L. acidophilus GK20와 L. paracasei GK74가 가장 낮았고, hydroxyl radical과의 반응에서는 L. paracasei GK74와 L. plantarum GK81이 가장 안정하였다. 한편, L. plantarum GK81는 실험 균주 중 가장 높은 DPPH 소거능($70.8{\pm}10.1%$)을 나타내었는데, 세포(IC)보다는 세포추출물(ICFE)의 활성이 더 높았다. 또한 L. plantarum GK81의 ICFE는 다른 균주들에 비해 높은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을 보였고, 이 균주의 IC와 ICFE에 의한 환원력은 BHA와 vitamin C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L.paracasei GK74 IC의 환원력도 vitamin C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L. brevis GK55, L. paracasei GK74 및 L.mesenteroides GK104 IC의 $Fe^{2+}$-chelating 활성은 30% 이상이었고, L. plantarum GK81의 ICFE는 45%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험 균주 중 L. plantarum GK81은 다른 균들에 비해 ROS에 대해 비교적 안정하고, 항산화 활성도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RAPD와 ITS 영역에 의한 민자주방망이 버섯의 유전적 변이 (Genetic Variation Based on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Sequences in Lepista nuda)

  • 이양숙;김남우;김종봉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470-1476
    • /
    • 2012
  • 본 연구는 유럽에서 식용버섯으로 선호도가 높은 Lepista nuda (민자주방망이버섯)에 대하여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와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종내 및 종간의 유전적 변이를 분석하였다. RAPD 분석 결과 40개의 random primer 중 다형성을 나타내는 primer는 22개 였으며, 증폭된 밴드는 355개, DNA 단편의 크기는 200~4,000 bp의 사이에 위치하였다. RAPD band들을 marker로 하여 Nei-Li's의 방법을 이용한 비유사도 지수행렬을 조사한 결과 L. nuda 종내 유전적 변이는 0~21.60%로 나타났으며, L. nuda와 L. sordida의 종간에는 16.93~24.82%, L. irina와는 20.62~25.54%로 나타났으며, L. sordida와 L. irina와의 종간 변이는 23.49%로 나타났다. ITS I 과 II 영역의 673 bp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비유사도 지수행렬을 조사한 결과, L. nuda의 종내 변이는 1.58~11.47%였으며, L. nuda와 L. sordida와는 3.83~12.88%로 나타났다. 그리고 L. nuda와 L. irina는 7.11~15.61%였으며, L. sordida와 L. irina와의 종간 변이는 4.79%로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 RAPD와 ITS실험을 통해 확인된 primer와 연기서열은 Lepista속의 종을 검색 및 분류 시 유전적 표지 marker로서 이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orynebacterium glutamicum 균주 개량 및 발효 공정 최적화에 의한 L-lysine 생산성 증진 (Enhancement of L-lysine Productivity by Strain Improvement and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Conditions in Corynebacterium glutamicum)

  • 서진미;현형환
    • KSBB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79-8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Corynebacterium glutamicum I 균주에 salt tolerance를 도입하여 L-lysine 생산량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I 균주를 이용하여 mutagenesis를 수행한 후 모균주가 생장하는 못하는 9%의 NaCl이 포함된 배지에서 빠르게 생장하는 C14-49-3-15-7-3-20 균주를 선별하였다. flask 배양으로 L-lysine 생산을 조사한 결과 모균주 I의 경우 L-lysine 농도가 53.3 g/L, 수율이 51.6%인 반면 변이주 C14-49-3-15-7-3-20의 경우에는 L-lysine 농도 61.2 g/L, 수율 61.0%로 나타났다. 그리고 5 L 발효조에서 유가식 배양법으로 배양하여 L-lysine 생산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모균주는 113.0 g/L의 L-lysine을 생산하였고 수율은 41.8%이었다. 하지만 변이주의 경우에는 $33^{\circ}C$로 유지하여 배양한 후 PCV가 7.5%가 되는 시점에 배양 온도를 $35^{\circ}C$로 올려주고 배양하였을 때 L-lysine 생산량이 130.6 g/L, 수율이 48.6%로 모균주보다 많은 양의 L-lysine을 생산하였다. L-lysine 생산과 균주의 생장에 대한 osmotic pressure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변이주 C14-49-3-15-7-3-20을 고농도의 NaCl과 당이 포함되어 있는 배지에 각각 배양하여 균체 생장 및 L-lysine 생산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모균주는 균체 생장이 느리고 생산량도 낮은 반면 변이주 C14-49-3-15-7-3-20의 경우에는 균체 생장 정도가 높고 생산량도 모균주보다 높았다. 그리고 2%의 NaCl이 포함되어 있는 배지에 osmoprotectant 를 첨가하였을 경우 모균주는 균체 생장 및 L-lysine 생산량이 높아졌다. 하지만 C14-49-3-15-7-3-20 균주의 경우에는 proline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Corynebacterium glutamicum 균주에 salt tolerance를 도입하면 L-lysine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차가버섯의 균사체 성장에 대한 배지성분의 영향 (Effect of Medium Compositions on the Mycelial Growth of Inonotus obliquus)

  • 최근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3호
    • /
    • pp.419-424
    • /
    • 2005
  •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균사체의 액체배양에서 온도($22-32^{\circ}C$)와 pH(5-7) 그리고 배지성분의 변화가 차가버섯 균사체의 성장에 미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Glucose, starch, peptone, yeast extract, $K_2HPO_4$, $MgSO_4{\cdot}7H_2O$ 그리고 $CaCl_2$를 각각 30-120 g/L, 0-10 g/L, 0-20 g/L, 0-15 g/L, 0-2 g/L, 0-1.5 g/L, 0-0.5 g/L의 범위로 변화시키면서 실험하였다. 차가버섯 균사체의 성장속도는 $26-27^{\circ}C$, pH 6, glucose 70 g/L, yeast extract 5 g/L 그리고 $CaCl_2$ 0.1 g/L일 때에 최대값을 나타났다. Starch와 peptone 그리고 $K_2HPO_4$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차가버섯 균사체의 성장속도는 증가하였으나, $MgSO_4{\cdot}7H_2O$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차가버섯 균사체의 성장속도는 감소하였다. 차가버섯 균사체의 최대 성장 속도를 위한 액체배지는 glucose 70 g/L, peptone 5-20 g/L, starch 10 g/L, yeast extract 5 g/L, $K_2HPO_4$ 2 g/L 그리고 $CaCl_2$ 0.1 g/L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