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함수

Search Result 81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thano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 marxianus on Jerusalem Artichoke tuber Extract (효모 K. marxianus에 의한 돼지감자 착즙에 대한 에탄올 발효 특성)

  • 김진한;허병기배천순김현성
    • KSBB Journal
    • /
    • v.5 no.1
    • /
    • pp.75-80
    • /
    • 1990
  • The investigations of specific growth rate, specific alcohol production rate, cell yield, alcohol yield of K. marxianus LG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ugar concentrations, 50, 80, 110, 190, and 250g/l of extracted solution of Jerusalem Artichoke. The functipnal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growth rate, specific alcohol production rate, and alcohol concentrations were devoted study to. In case of low concentration of alcohol, the fuctions were linear relationships. But in the region of high concentration of alcohol, they expressed the exponential relationships. The growth rate of K. marxianus was prohibited at higher than 50g/l of alcohol concentrations regardless of concentration of residual sugar. Cell and alcohol yield showed the maximum values around 25g/l of alcohol concentraton without being related to initial sugar concentrations.

  • PDF

A Local Alignment Algorithm using Normalization by Functions (함수에 의한 정규화를 이용한 local alignment 알고리즘)

  • Lee, Sun-Ho;Park, Kun-Soo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4 no.5_6
    • /
    • pp.187-194
    • /
    • 2007
  • A local alignment algorithm does comparing two strings and finding a substring pair with size l and similarity s. To find a pair with both sufficient size and high similarity, existing normalization approaches maximize the ratio of the similarity to the size. In this paper, we introduce normalization by functions that maximizes f(s)/g(l), where f and g are non-decreasing functions. These functions, f and g, are determined by experiments comparing DNA sequences. In the experiments, our normalization by functions finds appropriate local alignments. For the previous algorithm, which evaluates the similarity by using the longest common subsequence, we show that the algorithm can also maximize the score normalized by functions, f(s)/g(l) without loss of time.

A Mixed Norm Image Restoration Algorithm Using Multi Regularization Parameters (다중 정규화 매개 변수를 이용한 혼합 norm 영상 복원 방식)

  • Choi, Kwon-Yul;Kim, Myoung-Jin;Hong, Min-Cheo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2 no.11C
    • /
    • pp.1073-1078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terative mixed norm image restoration algorithm using multi regularization parameters. A functional which combines the regularized $l_2$ norm functional and the regularized $l_4$ norm functional is proposed to efficiently remove arbitrary noise. The smoothness of each functional is determined by the regularization parameters. Also, a regularization parameter i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regularized $l_2$ norm functional and the regularized $l_4$ norm functional using kurtosis. An iterative algorithm is utilized for obtaining a solution and its convergence is analyzed.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e capabil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Color Channel Compensating L1 Loss Algorithm (색의 채널을 보상하는 L1 손실 알고리즘)

  • Kim, Bumsik;Lee, S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25-2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머신러닝을 이용한 이미지 생성을 위한 새로운 오차 함수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함수모델은 기존 오차함수가 반영하지 못하던 채널 간 오차비율정보를 반영하여 기존 오차함수에 비해 빠른 초기 수렴속도와 더 좋은 FID값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네트워크 모델을 통해 기존의 오차함수모델에 비해서 우수함을 보인다.

  • PDF

$L_2$-Norm Based Optimal Nonuniform Resampling (유클리드norm에 기반한 최적 비정규 리사이징 알고리즘)

  • 엄지윤;이학무;강문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2.11a
    • /
    • pp.71-76
    • /
    • 2002
  • 보간법은 기본적으로 원래의 영상을 연속적인 함수 모형으로 나타내고 이 함수로부터 다시 샘플링을 하여 원하는 영상을 얻는 방식으로 접근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른 연속 함수모델보다 진동이 적고 필터 계수가 적은 B-spline 함수를 사용한다. 된 논문의 최적 보간 방법은 원래의 신호와 얻고자 하는 신호를 각각 spline함수로 나타내고, 이 둘의 차이가 가장 작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spline계수 중에서 원래 신호와의 L$_2$-norm이 가장 작은 것을 선택해야 한다 이러한 최적 보간법을 일반화하기 위해서 spline 함수로 표현된 신호를 다시 샘플링 하여 신호를 얻고, 그 신호를 공간에 따라 변화하는 spline함수의 합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이렇게 나타낸 함수들 중에서 원래의 함수와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일반화될 수 있다. 이러한 최적화 된 비정규점 리사이징 알고리즘은 다른 알고리즘에 비해서 더 적은 오차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azy Functinal Language Compiler for Java Virtual Machine (자바가상기계를 대상으로 하는 지연계산기반 함수형 언어 컴파일러의 설계 및 구현)

  • 최광훈;임현일;한태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326-328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지연계산기반 함수형 언어 프로그램을 받아 Java 프로그램을 목적 코드로 생성하는 컴파일러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컴파일러는 제한된 형태의 함수형 언어 Shared Term Graph(STG)를 입력언어로 하는 추상기계 Spineless Tagiess G-Machine (STGM)을 수행 모델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명령형 언어 L-code를 제안하고 이를 입력언어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STGM인 L-Machine을 제안한다. STG 언어를 L-code로 변환하는 컴파일러와 L-code를 Java로 변환하는 컴파일러를 설계하고 구현함으로써 원하는 컴파일러를 구성한다. 그리고 Glasgow Haskell 컴파일러를 전단부로 하여 지연계산 기반 함수형 언어 Haskell로 작성된 프로그램들을 컴파일하여 STG 프로그램으로 변환한 다음 본 논문에서 구현한 컴파일러로 이를 Java 프로그램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Java 프로그램을 Sun JIT 컴파일러로 컴파일하여 수행한 성능 평가 결과를 제시한다.

  • PDF

Compression and Acceleration of Face Detector using L1 Loss and Channel Pruning (L1 목적 함수와 채널 프루닝을 이용한 얼굴 검출기 경량화)

  • Lee, Seok Hee;Jang, Young Kyun;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40-4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합성곱 기반의 얼굴 검출기 Dual Shot Face Detector (DSFD)에 대하여, 특징점 맵의 희소화와 채널 프루닝 목적 함수를 사용하여 네트웍 경량화를 수행하였다. 특징점 맵을 희소화하기 위해 L1 목적 함수를 사용했고, 특징점 맵의 채널 프루닝을 하기 위해 채널 최대값이 가장 낮은 채널들의 합을 최소화 시키는 목적함수를 적용했다. 기존의 신경망은 특징점 맵 희소화 비율이 45%였고 두 목적 함수를 적용했을 때 69.67% 로 희소화 비율이 높아진 것을 확인했다. 얼굴 검출 성능을 다양한 조명, 크기, 환경, 각도, 표정의 얼굴들을 포함하는 영상들로 이뤄진 Wider Face 데이터 셋으로 실험한 결과, average precision은 하락 했고 easy validation set에서 0.9257, hard validation set에서 0.8363 였다.

  • PDF

Analysis of Code Sequence Generating Algorism and Implementation of Code Sequence Generator using Boolean Functions (부울함수를 이용한 부호계열 발생알고리즘 분석 부호계열발생기 구성)

  • Lee, Jeong-Ja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3 no.4
    • /
    • pp.194-200
    • /
    • 2012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ode sequence generating algorism defined on $GF(2^n)$ proposed by S.Bostas and V.Kumar[7] and derive the implementation functions of code sequence generator using Boolean functions which can map the vector space $F_2^n$ of all binary vectors of length n, to the finite field with two elements $F_2$. We find the code sequence generating boolean functions based on two kinds of the primitive polynomials of degree, n=5 and n=7 from trace function. We then design and implement the code sequence generators using these functions, and produce two code sequence groups. The two groups have the period 31 and 127 and the magnitudes of out of phase(${\tau}{\neq}0$) autocorrelation and crosscorrelation functions {-9, -1, 7} and {-17, -1, 15}, satisfying the period $L=2^n-1$ and the correlation functions $R_{ij}({\tau})=\{-2^{(n+1)/2}-1,-1,2^{(n+l)/2}-1\}$ respectively. Through these results, we confirm that the code sequence generators using boolean functions are designed and implemented correctly.

확률밀도함수의 미분에 대한 커널추정법에 관한 연구

  • Seok, Gyeong-Ha;Kim, Dae-Ha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7 no.2
    • /
    • pp.211-217
    • /
    • 1996
  • 본 논문은 확률밀도함수의 l 번째 도함수의 커널추정법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확률밀도함수 도함수의 커널추정에 사용될 수 있는 두가지 평활량의 선택법, 교차타당성방법과 삽입방법에 의한 평활량의 점근분포를 규명하고 이들의 상대적 수렴속도를 각각 밝히고 삽입방법의 우수성을 소표본 모의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f 2-D Potential Problem with L-shape Domain by p-Convergent Boundary Element Method (p-수렴 경계요소법에 의한 L-형 영역을 갖는 2차원 포텐셜 문제 해석)

  • Woo, Kwang-Sung;Jo, Jun-Hyung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2 no.1
    • /
    • pp.117-124
    • /
    • 2009
  • The p-convergent boundary element method has been proposed to analyze two-dimensional potential problem on the basis of high order Legendre shape functions that have different property comparing with the shape functions in conventional boundary element method. The location of nodes corresponding to high order shape function are not defined along the boundary, called by nodeless node, similar to the p-convergent finite element method. As the order of shape function increases, the collocation point method is used to solve linear simultaneous equations. The collocation patterns of p-convergent boundary element method consist of non-symmetric hierarchial or symmetric non-hierarchical. As the order of shape function increases, the number of collocation point increases. The singular integral that appears in p-convergent boundary element has been calculated by special numeric quadrature technique and semi-analytical integration technique. The L-shape domain problem including singularity in the vicinity of reentrant comer is analyzed and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relative error is smaller than $10^{-2}%$ range as compared with other results in literatures. In case of same condition, the symmetric p-collocation point pattern shows high accuracy of 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