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umho river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9초

낙동강 수계 하.폐수 처리시설의 방류수가 조류 성장 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ewage and Wastewater Plant Effluent on the Algal Growth Potential in the Nakdong River Basin)

  • 서정관;이재정;양상용;정익교
    • ALGAE
    • /
    • 제18권2호
    • /
    • pp.157-167
    • /
    • 2003
  • Effect of the effluent of the sewage and wastewater plants on the algal growth was investigated from the 19 plants located in the Nakdong river basin. Most of the samples showed high values of the algal growth potential (AGP) when they were mixed with natural river water at 20% of final concentration. At 20% of the mixing ratio, the mixed effluents of sewage and wastewater showed 3.5 and 1.8 times higher AGP than those of the natural river water. The higher AGP values are attributable to the high contents of phosphorus and ammonium in the effluent. The mixing ratio of effluents of the discharge/river flow was highest in the Kumho River (42.8%) followed by the middle of Nakdong River (22.7%), Kam Stream (13.9%), Byungsung Stream (13.3%), Yangsan Stream (7.9%), and Young River (5.4%). Comparison of the trophic state of the effluents with natural river water indicated that the effluents showed higher trophic values than natural water. Concentrations of total phosphorus, total nitrogen and conductivity in the effluents were 12.3, 4.9 and 5.3 times higher than the those found in natural river water respectively. The AGP values were highly related with the trophicity of the water especially on the concentrations of phosphate and ammonium. Toxicities of the treated sewage water, wastewater and livestock waste water tested by the luminescent bacteria, Vibrio fischerii were generally low.

금호강 하천수의 지구화학 및 동위원소 연구 (Geochemical and Isotopic Study of the Kumho River)

  • 김영규;남은경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6호
    • /
    • pp.527-539
    • /
    • 2009
  • 금호강의 하천수는 상류의 화산암 지대와 하류의 퇴적암 지대를 지나며 낙동강과 합류하기 전 대구의 염색공단과 같은 산업시설을 유하하여 지구화학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받는다. 금호강 하천수는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풍화와 오염물질의 유입에 의해 전반적인 용존 이온의 증가를 보여주고 있다. 하천수에 용해된 양이온은 Ca>Na>Mg>K 순으로, 그리고 음이온은 $HCO_3$>$SO_4$>Cl>$NO_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방해석과 같은 탄산염암을 함유하고 있는 사암과 셰일의 풍화에 의하여 Ca와 $HCO_3$가 다른 원소들보다 우세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하류지역에서는 공단 폐수와 생활 하수의 영향으로 Na와 $SO_4$가 Ca와 $HCO_3$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상류 시료 채취점 네 곳에서는 Si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화산암 내의 규산염광물의 풍화의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하천수의 화학적 유형을 알기 위하여 파이퍼도에 도시해본 결과 금호강은 상류에서 하류로 흘러감에 따라 Ca-$HCO_3$, Ca-Cl/Ca-$SO_4$, Na-Cl/Na-$SO_4$ 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5월 갈수기와 비교하였을 경우 7월 우기시 용존 이온의 농도가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강우에 의한 희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7월의 경우 Ca 함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토양내 Ca과 비료에서 유래된 Ca가 빗물에 의하여 강물에 섞인 결과로 해석된다. 금호강 하천수의 물은 주로 강수에서 직접 기인하며 용존 이온들은 탄산염 광물의 풍화와 생활 하수, 공장 폐수와 같은 오염물질에 의해서 공급되는 것으로 보인다. 산소와 수소 동위원소의 조성은 7월의 경우 5월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아마도 상류에 있는 영천댐의 영향일 것으로 생각된다. 질소 동위원소의 경우 전제적으로 7월의 값들이 5월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7월의 다량의 강수에 의하여 토양내의 질산염이나 경작지의 질산염 비료 등이 혼입되어서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전체적으로 하류로 가면서 질소 동위원소의 값은 증가함을 보여 오수와 가축분뇨 등의 영향이 하류에서 증가함을 보인다.

물 중에서 일부 농약의 생분해성에 환한 연구 (A Study on the Biodegradability of Some Pesticides in Water)

  • 민경진;차춘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5-132
    • /
    • 2001
  • Modified river die-away 법으로 1999년 5월 20일부터 7월 29일 까지 낙동강 (A)과 금호강(B)에서 채수한 강물로 phosphamidon과 profenofos의 생분해 시험을 한 곁과는 다음과 같다. Phosphamidon의 경우 배양 7일 경과 후 최초처리량 대비 잔류량은 대조군에서 74.9%, A 실험군에서는 68.8%, B 실험군에서는 62.7%가 잔류하였으며, profenofos의 경우 배양 7일 경과 후 대조군에서 25.1%, A 실험군에서는 21.9%. B 실헌군에서는 11.9%가 잔류하였다. Phosphamidon과 profenofos의 생분해는 배양시간이 경과할수록 수질오염이 높을수록 생분해율이 높았다. 채취한 하천수에서 phosphamidon과 profenofos의 분해균주는 모두 그람 음성균으로 Klebsiella pneumoniae, Aeyomonas hydrophila 및 Acinetobacter calcoaceticus의 3종임이 확인되었다. 생분해에 의한 분해산물을 확인하고자 GC/MS분석을 한 결과 phosphamidon의 분해생성물은 m/z=153의 O, O-dimethyl phosphate(DMP)와 m/z=149의 N, N-diethylchloro acetamide로 추정된다. Profenofos의 분해생성물은 m/z=208로 4-bromo 2-chloro phenol과 m/z=240으로 O-ethyl S-propyl phosphate로 추정된다.

  • PDF

GIS와 위성영상을 이용한 수질 오염인자의 공간 변화 분석 (A Spatial Change Analysis of Water Quality Pollutant using GIS and Satellite Image)

  • 조명희;권봉겸;부기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60-70
    • /
    • 1999
  • GIS와 두시기의 Landsat TM영상을 이용하여 금호강 상류의 수질 오염인자에 대한 소유역별 공간분포의 변화를 탐지하고 수질측정지점에서 관측한 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질오염원과 관련 있는 유역의 인자들을 ARC/INFO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1985년과 1997년의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감독분류의 최우법으로 토지피복 분류도를 작성하였다. 아울러 두 시기의 토지이용변화 탐지 및 공간분석을 수행하여 소유역 분지별로 변화면적을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수질오염원의 변화량을 단계구분도로 작성하여 가중치를 부여하고 중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수질오염인자들 중에서 인구, 가축, 그리고 과수원 밭의 분포변화가 금호강 수질오염의 주요 요인임이 규명되었다. 금호강 상류에 있어서의 소유역별 오염원의 분포는 도시지역을 포함하고있는 대창천, 오목천 유역분지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음이 본 연구에서 밝혀졌다.

  • PDF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한 하천유출량 예측에 관한 연구 (Study on Streamflow Predi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t Technique)

  • 안승섭;신성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7호
    • /
    • pp.611-618
    • /
    • 2004
  • The Neural Network Models which mathematically interpret human thought processes were applied to resolve the uncertainty of model parameters and to increase the model's output for the streamflow forecast model. In order to test and verify the flood discharge forecast model eight flood events observed at Kumho station located on the midstream of Kumho river were chosen. Six events of them were used as test data and two events for verification. In order to make an analysis the Levengerg-Marquart method was used to estimate the best parameter for the Neural Network model. The structure of the model was composed of five types of models by varying the number of hidden layers and the number of nodes of hidden layers. Moreover, a logarithmic-sigmoid varying function was used in first and second hidden layers, and a linear function was used for the output. As a result of applying Neural Networks models for the five models, the N10-6model was considered suitable when there is one hidden layer, and the Nl0-9-5model when there are two hidden layers. In addition, when all the Neural Network models were reviewed, the Nl0-9-5model, which has two hidden layers, gave the most preferable results in an actual hydro-event.

최소차 하천의 임계면적에 따른 유역 지형매개변수의 변화특성 (Change characteristic of basin topographical parameters according to the threshold area of minimum order stream)

  • 안승섭;박노삼;김종호;임기석;송시훈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3-40
    • /
    • 2005
  • The size of minimum order stream has a very sensitive effect on runoff analysis model using the divergence characteristic of strea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hreshold area of minimum order stream has been examined the change characteristic of topographical parameters. The subject basin of the research was the upper basin of the Kumho water gage station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Kumho river. The 1:25,000 numerical geography which was constructed $10{\times}10m$ mesh was used. The range of investigation of topographical parameters are number of stream order, length, area, slope, basin relief, sinuosity ratio, drainage density and total stream length etc. It was found from the result of analysis that the threshold value of minimum order stream has a very big effect on topographical parameters of basin. It was found that the threshold area of minimum ord er stream revealed under $0.10km^{2}.$ Furthermore, the parameters showed a serious change except for over $0.10km^{2}.$

낙동강 중.하류에서 식물플랑크톤과 세균의 계절적 동태 (Seasonal Variation in the Phytoplankton and Bacterial Fauna in the Mid to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 박재림;하경;손연주;주기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59-267
    • /
    • 2001
  •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to observe the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and viable counts of bacteria from the mid to lower reaches of Nakdong Fiver. An intensive monitoring was conducted from May to December 1999 biweekly at 6 sites in a main channel and 3 tributaries. Although there are several sites with high nutrient loading from the basin, all of study sites showed mesotrophic states owing to high discharge(June~September). Relatively low algal biomass and CFUs(mean of chi. a, $12.3{\pm}$11.5 $\mu\textrm{g}${\el}l$, CFUs : 1.8${\times}10^7$) were observed during the rainy season. The diatom population was dominant(over 85% of total community) year-long with peaks(Stephanodiscus hantzchii) in the fall and winter. Dominance of blue-green algal groups during the summer was not observed in the summer. Microorganisms peaked in the summer and fall(June~September), affected mainly by the inputs of phytoplankton and nutrients. Biomass of phytoplankton and CFU counts were higher in the Kumho River than other tributaries and main channel.

  • PDF

금호강유역 갈퀴나물군락의 중금속 축적과 질소고정 활성의 변화 (Changes of Nitrogen Fixation Activity and Heavy Metal Accumulation of Vicia amoena Community from Kumho Riverside)

  • 박태규;박용목;송은주;송승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3호
    • /
    • pp.131-137
    • /
    • 1999
  • 금호강(영천, 침산교, 팔달교, 달서천, 금호교)에서 널리 군락을 이루고 있는 갈퀴나물의 무기물 및 중금속 함량과 질소고정 활성의 변화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금호강변 토양은 하류로 갈수록 무기물과 중금속 함량이 증가되었고, 더불어 식물체에도 높은 축적량을 보였다. 갈퀴나물은 비오염지에 비해 오염지역에서 지하부에 비해 지상부가 크게 발달되어 높은 T/R비를 보이면서 군락을 형성하였다. 식물체의 함수량은 생육후기 지상부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고, 단위 g당 엽록소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근류는 4월에 형성되어 6월에 비오염지의 0.3 g/plant에 비해 침산교, 팔달교, 달서천 및 금호교에서 각각 0.27, 0.24, 0.06 및 0.14 g/plant로 최대치를 보였고, 비오염지 영천에서 23.1 μmol. C₂H₄·g fw nodule/sup -1/·h/sup -1/을 보인 근류의 질소고정 활성도 각각 16.8, 15.4, 8.5 및 5.3 μmol. C₂H₄·g fw nodule/sup -1/·h/sup -1/로, 하류지역으로 갈수록 감소된 활성을 보였고, 달서천과 금호교에서 심각한 저해를 보였다. 갈퀴나물은 흡수한 중금속 (Zn, Cu, Fe, Pb 등)을 지하부에서 높은 함량을 유지하였고, 질소함량은 생육후기로 갈수록 초기에 비해 지상부는 감소되었으나 지하부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한편, 식물체내 총중금속량은 높은 T/R비로 인해 지상부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흡수한 Ca는 대부분 지상부로 이동시켜 지하부에서 높은 함량을 보인 금속류와는 대조를 이루었다. 결과적으로, 갈퀴나물은 지상부에 높은 Ca함량을 나타내고, 지하부에 높은 중금속함량과 함께 질소의 함량도 높게 유지하면서 오염된 지역에서 생장 적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낙동강(한국)의 세 지류에서 포식 윤충류 개체군 동태 및 초식 윤충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 (Population Dynamics of Predator (Asplanchna spp.) and its Impact on Herbivorous Rotifers Community in Three Tributaries of the Nakdong River (S. Korea))

  • 김현우;장광현;신운균;라긍환;정광석;주기재
    • 생태와환경
    • /
    • 제37권4호통권109호
    • /
    • pp.385-393
    • /
    • 2004
  • 낙동강의 세 지류에서(금호강, 남강, 황강) 지난 2001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격주 간격으로 초식 윤충류 군집 (Brachionus spp.)과 포식 윤충류(Asplanchna spp.)간의 개체군 동태에 대해서 평가 하였다. 초식 윤충류들의 높은 군집 밀도(최고 밀도: 약 >1000개체/리터)는 두 지류에서 (금호강과 남강) 봄과 가을 시기에 반복적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하나의 지류 (황강)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초식 윤충류 중, Brachionus spp. (7종으로 구성) 군집들이 본 조사지점에서 대표적인 종으로 파악되었다. Brachionus spp.와 연중 비슷한 시기에 출현하는 종은 Asplanchna였다. Asplanchna는 B. angularis와 B. calyciflorus종들의 높은 개체군 밀도 시기와 유사하게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그 결과로, 두 개체군들의 (B. angularis와 B. calyciflorus) 밀도는 Asplanchna출현 이후 급속히 감소하였다(금호강과 남강).그러나 다른 한 지류인 황강에서는 뚜렷한 포식 및 초식 윤충류 간의 상호관계는 파악되지 않았다. 본 조사 결과로 봄 및 가을 중순 기간의 조사지점에서는 윤충류 군집간의 뚜렷한 변화 양상이 파악되었다. 특히, Asplanchna 개체군은 높은 영양 단계 지류 시스템 내에서 봄과 가을의 총 플랑크톤 생물량과 윤충류 군집의 주요한 조절자로써의 역할을 할 것으로 파악된다.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Mori(잉어과, 어강)의 두 type (Two Morphotypes in Korean Striped Bitterlins, Acheilognathus yarnutsutae Mori (Cvprinidae, Pisces))

  • Chae, Byung-Soo;Yang, Hong-Ju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9-57
    • /
    • 1994
  • In the course of an investigation on the morphological variation of Korean striped bittering, Acheilognathus vamatsutae Mori, two kinds of morrholoflical types were fou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were compared between them and multivariate analysis was conducted. Since the difference of the barbel length between them was very significant (p < 0.01,1-test), they should be designated as L-and 5-type Hshes: fishes with long barbels and those with should barbels, respectively. Lateral line scales, snout length and prepectoral length showed a tendency that the observation could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p < 0.05,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There were no individuals over 70 mm BL in S-type and so S-type fishes were somewhat dwarf than L-type fishes. The two types were also clearly distinguished by multivariate analyses using cluster and discriminant analyses.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on the four populations of the Naktong River, the blue-green stripe on the body side and the white band on the margin of anal fin in males of S-type fishes were well developed through the year but those of males of L-type fishes completely disappeared or became slender during nonbreedins season as that of females. Of the seven localities surveved, there were no places that the two types cohabit. S-type fishes are limited only in the Kumho and Wichon River of the Naktong River system but L-type fishes are distributed more widely In the Hongchon, Mangvons, Somjin, Mirang and Panbyon Riv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