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rill oil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7초

Anti-inflammatory effect of ozonated krill (Euphausia superba) oil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 Kim, Hong-Deok;Lee, Soo-Bin;Ko, Seok-Chun;Jung, Won-Kyo;Kim, Young-Mog;Kim, Seon-B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6호
    • /
    • pp.15.1-15.9
    • /
    • 2018
  • Background: Inflammation has been known to associate with many human disea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 anti-inflammatory effect of ozonated krill (Euphausia superba) oil, which was prepared by the treatment of krill oil using ozone gas.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evaluated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Results: Ozonated krill oil significantly inhibit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suppressed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Ozonated krill oil also reduced the mRNA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 (IL)-$1{\beta}$,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To elucidate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ozonated krill oil, we evaluated the effects of ozonated krill oil on the activ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pathway. Ozonated krill oil suppressed the LPS-stimulated phosphorylation of p38 MAPK and c-Jun N-terminal kinases (JNK).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ozonated krill oil exhibited an anti-inflammatory effect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ozonated krill oil suppressed pro-inflammatory mediator and cytokine express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by inhibiting the phosphorylation of p38 MAPK and JNK.

파두유를 주입한 육계병아리에서 사료중 크릴밀 수준이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Krill Meal Levels on the Cell Mediated Immunity in Intra-muscularly Croton Oil Injected Broiler Chicks)

  • 임진택;박인경;고태송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599-610
    • /
    • 2007
  • 근육내 파두유를 주입한 육계병아리에서 사료 중 크릴 밀 수준이 세포성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갓 부화한 육계병아리(Ross) 수컷에 크릴 밀 0.0(기초사료), 0.5, 1.0 및 2.0% 사료를 급여하고 3주간 사육하였다. 20일령에 10㎕의 파두유를 정강이 근육내에 주입하였고, 24시간 뒤(21일령)에 혈중 TNF-α 활성과 오보트렌스훼린 수준 및 PBMC와 비장세포의 증식도를 올리브유를 주입한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크릴 밀 사료는 육계병아리의 생산성과 혈장 오보트렌스훼린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크릴 밀 0.0% 사료에 비해서 유의하게(p<0.0001) 혈장 TNF-α 활성을 감소시키고 PBMC 증식도를 높였다. 비장 세포증식도는 크릴 밀 1.0% 사료에서 유의하게(p=0.01) 높았다. 파두유 주입은 혈중 TNF-α 활성(p<0.0001), 오보트랜스훼린 수준 및 PBMC증식도(p<0.0001)를 높였다. 파두유 주입 시에 PBMC 증식도는 사료중 크릴 밀 수준에 따라 점차 감소(p<0.05) 하였고 비장세포 증식도는 크릴 밀 1.0 및 2.0% 사료에서 유의하게(p< 0.05)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사료중 크릴밀이 파두유 주입으로 활성화한 선천 면역과 세포성 면역을 변화시킨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색인:파두유(croton oil), tumor necrosis factor -α(TNF-α), PBMC와 비장세포의 증식, 크릴 밀, 육계 병아리)

Safety Profile Assessment and Identification of Volatile Compounds of Krill Eupausia superba Oil and Residues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Haque, A.S.M. Tanbirul;Kim, Seon-Bong;Lee, Yang-Bong;Chun, Byung-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159-165
    • /
    • 2014
  • In this study, Krill Eupausia superba oil was extracted using different solvents an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CO_2$). During SC-$CO_2$ extraction, the pressure was set at 40 MPa and temperatures ranged from $40^{\circ}C$ to $55^{\circ}C$.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volatile compounds and safety profiles among extraction methods. Volatile compounds were determined using the thermal desorption system integrated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Heavy metal content was analyz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ICP-MS). According to our results 10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krill sample. After SC-$CO_2$ extraction of oil, the concentrations of volatile compounds decreased, but increased after solvent extraction. In krill, heavy metal concentrations remained within the permissible limit. Moreover, Zn and Fe which have health benefits were detected at high concentrations. During a 90 days storage period at different temperatures, microbial activity was found to be lowest in SC-$CO_2$ extracted residues. Thus, the quality of krill oil and the residues obtained using SC-$CO_2$ extraction was higher and the oil was safer than those obtained using conventional solvent extraction.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to the food industry to maintain high quality krill products.

남극 크릴새우의 고액분리 기술개발 (Development of Solid/Liquid Separation Technique for Krill (Eupausia superba))

  • 오인환;장철환;김운걸;양상엽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3-38
    • /
    • 2011
  • 크릴새우의 고액분리효율을 규명하기 위하여 크릴새우를 해빙시킨 다음 고액분리기만 사용하였을 경우, 솔 (Brush) 분쇄기 또는 날 분쇄기로 크릴새우를 분쇄한 후 고액분리기를 사용하여 효율을 측정하였을 경우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고액분리기만으로 분리한 경우와 솔분쇄기와 날분쇄기로 분쇄한 후 고액 분리기를 적용한 결과 3차 시험에서 분리효율은 각각 46.2%, 60.2%, 60.4%를 나타내었다. 고액분리기만을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날 분쇄기와의 조합에서 분리효율의 증가는 2차 시험에서 10.1%, 3차 시험에서 14.2%로 각각 나타났고, 처리용량은 4.2kg/min으로 되었다. 고액분리 전에 날분쇄기로 분쇄한 후 고액분리기로 분리하는 것이 이상적이라 판단된다.

연소-이온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한 크릴오일 중 불소 시험법 (Determination of fluorine in Krill oils by combustion-ion chromatography)

  • 정재학;김수빈;추의성;정정무
    • 분석과학
    • /
    • 제33권6호
    • /
    • pp.262-273
    • /
    • 2020
  • 식품 중 대표적인 오일 제형인 크릴오일 중에 불소 시험법 개발을 위해 식약처 "식품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에 따라서 연소-이온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크릴오일 중 불소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기존 크릴오일 중 불소 시험법은 전통적인 습식 전위차법이 사용되었으나, 신뢰성이 높지 않았고 국내에서는 이러한 오일 제형에 대해서는 불소 시험을 하는 식품검사기관이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할로젠 시험법 관련 국가 및 국제표준으로 개발된 시험규격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에 오일 제형에 충분히 적용 가능한 연소-이온크로마토그래프 장비를 선택하여 크릴오일에 적합한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오일 제형의 특성상 시료준비 및 도입 시에 손실 및 각종 방해 (interference) 관련 우려를 사전 검토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해서 최적의 시험법을 확립하였다. 개발된 오일 중 불소 시험법을 활용하여 유통되는 크릴오일 제품 11 개를 구입하여 불소함량 시험을 하였으며, 1개 시료를 제외한 대부분 제품들은 시험법에서 제시한 보고서 검출한계 미만으로 불검출을 확인하였다. 또한 불소가 검출되는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한 크릴새우 자체 시험한 결과, 크릴 부위에 따라서 농도가 다르긴 하지만, 몸통을 제외한 크릴 껍질부는 약 2,000 mg/kg ~ 3,000 mg/kg의 높은 불소함량이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이후 확립된 시험법을 국제공인 시험기관 (ISO/IEC 17025) 2 곳에 시료를 의뢰하여 본 수행기관과 시험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3개 실험실 간에 분산분석 통계처리에서 결과의 유의차가 없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본 내용을 토대로 크릴오일 중 불소함량 분석법 관련 시험법으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Monthly Variations i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 Kim, Min-A;Jung, Hae-Rim;Lee, Yang-Bong;Chun, Byung-Soo;Kim, Seon-B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409-419
    • /
    • 2014
  •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various specific components of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in the catch season between March and August were investigated. Frozen krill were freeze-dried and milled. The proximate composition comprised water, proteins, fats, ash, fatty acids, and amino acids, while the specific components were vitamins, minerals, nucleotides, betaine, and astaxanthi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krill ranged from 77 to 80%, with the highest value in June, and the ash content was between 12 and 13%. The protein content was lowest in May, and the fat content was 18-19%, with the highest value in March. The amino acid content varied according to the season: taurine and glycine were highest in August; ${\beta}$-alanine was higher in April and May; and arginine, ornithine, and lysine were highest in March. The unsaturated fat content was ~50% and omega-3 fatty acids were highest in June. Oil-soluble vitamins A and E were highest in March, and the water-soluble vitamin content was less than that of oil-soluble vitamins. The mineral content was highest in June, and the most abundant mineral was sodium at 235.60 mg/100 g krill. The content of other minerals was lowest (2.94 mg/100 g) in April, except for lead. The nucleotide content was highest in July, while the betaine content was highest in April and lowest in June. The astaxanthin content was highest in May and ranged from 6 to 10 ppm in other months.

콩 추출물 함유 크릴밀 사료가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과 TNF-$\alpha$ 및 Ovotransferrin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 임진택;박인경;최준영;최도열;이혜정;고태승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82-83
    • /
    • 2003
  • 크릴밀 사료가 육계병아리의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완화하기 위하여 항산화작용이 있은 콩추출물이 함유된 크릴밀을 급여하여 육계병아리의 생산성을 조사하고, 파두유의 피하주입으로 급성기반응을 발생시켜 비장세표와 PBMC 증식도, 그리고 TNF-$\alpha$와 Ovotranferrin의 발현에 미치는 콩 추출물 함유 크릴밀 사료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육계 병아리에서 콩 추출물 함유 크릴밀 사료는 생산성을 증가시켰다. 급성기 반응시 콩 추출물 함유 크릴밀 사료는 비장세포의 증식도를 낮추나 PBMC의 증식조는 높았다. 혈장내 순환 TNF-$\alpha$와 Ovotranferrin의 농도는 콩 추출물 함유 크릴밀 사료 급여로 감소하였다. 본 성적은 콩 추출물 함유 크릴밀 사료가 육계 병아리의 급성기 반응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 PDF

남대양산 크릴의 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ANTARCTIC KRILL 2. Processing of Paste Food, Protein Concentrate, Seasoned Dried Product, Powdered Seasoning, Meat Ball, and Snack)

  • 박영호;이응호;이강호;변재형;김세권;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5-80
    • /
    • 1980
  • 크릴을 원료로 하여 품에 대한 화학적 및 관능적 평가를 포함하는 일련의 실험을 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krill paste의 제조에 있어서 krill juice는 $71\%$, krill scrap는 $29\%$의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krill juice에서 분리한 krill paste는 $53\%$, krill broth는 $47\%$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Krill paste의 아미노산 조성은 prol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및 leucine의 함량이 많았고, histidine, methionine, tyrosine, serine 및 threonine의 함량이 적었으며 필수아미노산에 있어서는 leucine 및 lysine의 함량이 높았고 methionine의 함량이 낮았다. 2. 크릴분말단백질의 제조에 있어 최적가공조건은 원료에 대하여 10배량의 $90\%$ isopropyl alcohol나 ethyl alcohol을 가하여 $80\%$에서 5분간 추출하는 조작을 5회 반복하는 것이었다. 추출용제로서는 ethyl alcohol 보다 isopropyl alcohol이 양호하였으며, 크릴분말단백질의 수율은 생동결크릴의 경우는 isopropyl alcohol 추출때가 $10.2\%$ ethyl alcohol 추출때는 $8.8\%$였고, 자숙동결크릴의 경우는 각각 $13.0\%$$11.8\%$였다. 크릴분말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은 생육질부의 아미노산조성과 거의 비슷하였다. 한편 크릴분말단백질을 첨가한 국수를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한 결과, 원료 밀가루에 대하여 $3\%$까지 첨가 한 것이 국수 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않고 단백질을 강화할 수 있다고 판정하였다. 3. 크릴조미조림품의 품질은 전반적으로 볼 때 열풍건조크릴을 원료로 한 것이 가장 양호하였고, 다음이 일건크릴을 원료로 했을 때이며, 자숙냉결크릴을 원료로 한 것이 가장 못 하였다. 4. 크릴의 건조분말에 볶은참깨가루, 소금, 분말우육엑스, monosodium glutamate, 고추가루 및 후추가루를 각종 비율로 배합하여 분말조미료를 만들 었을 때의 품질은 색택에 있어서는 열풍건조크릴을 사용한 것이 양호하였고, 냄새는 일건크릴을 원료로 한 것이 양호하였으며, 열탕에 녹였을 때의 풍미는 sample B(크릴함량 $77\%$)가 가장 적당하였다. 5. 크릴 및 조기를 각종 비율로 배합하고 여기에 일정량의 밀가루, monosodium glutamate 및 소금을 첨가하여 krill meat ball을 만들어 그 색택, 맛 냄새, texture 및 젤리강도 등에 대하여 관능검사를한 결과, 크릴의 첨가량이 $25\%$까지의 제품이 양호하였으며, 생동결 및 자숙동결크릴을 원료로 했을 때의 품질차는 인정할 수 없었다. 6. 크릴, $\alpha$-전분, 고구마전분, 설탕, 소금, monosodium glutamate, glycine, 주석산칼리, 중탄산암모늄 및 중탄산소오다를 각종 비율로 배합하여 크릴${\cdot}$스낵${\cdot}$과자를 만들어 품질을 비교 검토한 결과 sample B(크림함량 $7.1\%$) 및 sample C(크릴함량 $10.8\%$)서 가장 양호하였다. 크릴${\cdot}$스낵${\cdot}$과자의 제조에 있어서 각종 전분의 가공적성을 시험한 결과 고구마전분이 가장 양호하였고 다음이 옥수수전분, 갈분의 순이었으며, 밀가루가 가장 못 하였다. 튀김방법은 소금튀김에 비하여 기름튀김이 좋은 결과를 나타내있고, 튀김온도는 $210\~215^{\circ}C$가 적당하였다.

  • PDF

남극 크릴(Euphausia superba)을 이용한 패티의 제조 및 품질 특성 (Food Quality of Patties Prepared Using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Meat)

  • 김민아;채연주;이양봉;전병수;김선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20-527
    • /
    • 2013
  • This study developed patties using the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and investigated the food quality of the patties. Three different types of krill patty were produced: krill patties with added 1) corn oil (CKP), 2) AA grade surimi (AKP), and FA grade surimi (FKP). Their proximate composition, Hunter color value, texture, sensory evaluation, and levels of astaxanthin, cholesterol, calories, total amino acids, fatty acids, and fluoride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and crude protein contents were highest in FKP. The calorie and astaxanthin contents were highest in CKP and lowest in AKP. The cholesterol content was highest in CKP and lowest in AKP. Measuring the Hunter color value of cross-sections of the patties, the L values were highest for FKP, and the a and b values highest for AKP. The total amino acids were highest in FKP and lowest in CKP. The major fatty acids were highest in FKP. The hardness and chewiness were highest in FKP and lowest in CKP. The fluoride content was highest in AKP and lowest in FKP. The sensory evaluation had the highest scores for FKP and lowest for CKP. Accordingly, FKP appears to have better food quality than the other two products.

고지방식이 동물모델에서 크릴오일의 아디포카인 조절을 통한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Krill Oil by Regulation of Adipokines in High Fat Diet-Induced Mouse Model)

  • 김지현;허메이통;서효정;이동준;조은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01-208
    • /
    • 2020
  •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크릴오일 섭취를 통한 비만 개선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16주간 고지방식이를 섭취시켜 비만 동물모델을 유도하였으며, 실험 종료 4주 전 크릴오일을 100, 200, 500 mg/kg/day의 농도로 4주간 투여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 장기 무게 변화, 식이 효율과 혈청 내 아디포카인 인 렙틴과 아디포넥틴 농도를 측정하여, 농도별 크릴오일의 비만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고지방식이를 유도한 대조군은 정상식이를 유도한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체중이 증가하여 비만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반면 크릴오일 200, 500 mg/kg/day 농도로 투여한 군에서 비만을 유도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고지방식이를 유도한 대조군은 혈청 렙틴 증가 및 아디포아인 감소로 비정상적인 아디포카인 조절능을 나타낸 반면 크릴오일을 500 mg/kg/day 농도로 투여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혈청 렙틴 감소 및 아디포넥틴 증가를 나타내어, 아디포카인 조절을 통한 비만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크릴오일의 투여는 아디포카인 분비 조절을 통해 체중을 감소시켜 비만 개선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체지방 개선용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