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rill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1초

파두유를 주입한 육계병아리에서 사료중 크릴밀 수준이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Krill Meal Levels on the Cell Mediated Immunity in Intra-muscularly Croton Oil Injected Broiler Chicks)

  • 임진택;박인경;고태송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599-610
    • /
    • 2007
  • 근육내 파두유를 주입한 육계병아리에서 사료 중 크릴 밀 수준이 세포성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갓 부화한 육계병아리(Ross) 수컷에 크릴 밀 0.0(기초사료), 0.5, 1.0 및 2.0% 사료를 급여하고 3주간 사육하였다. 20일령에 10㎕의 파두유를 정강이 근육내에 주입하였고, 24시간 뒤(21일령)에 혈중 TNF-α 활성과 오보트렌스훼린 수준 및 PBMC와 비장세포의 증식도를 올리브유를 주입한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크릴 밀 사료는 육계병아리의 생산성과 혈장 오보트렌스훼린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크릴 밀 0.0% 사료에 비해서 유의하게(p<0.0001) 혈장 TNF-α 활성을 감소시키고 PBMC 증식도를 높였다. 비장 세포증식도는 크릴 밀 1.0% 사료에서 유의하게(p=0.01) 높았다. 파두유 주입은 혈중 TNF-α 활성(p<0.0001), 오보트랜스훼린 수준 및 PBMC증식도(p<0.0001)를 높였다. 파두유 주입 시에 PBMC 증식도는 사료중 크릴 밀 수준에 따라 점차 감소(p<0.05) 하였고 비장세포 증식도는 크릴 밀 1.0 및 2.0% 사료에서 유의하게(p< 0.05)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사료중 크릴밀이 파두유 주입으로 활성화한 선천 면역과 세포성 면역을 변화시킨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색인:파두유(croton oil), tumor necrosis factor -α(TNF-α), PBMC와 비장세포의 증식, 크릴 밀, 육계 병아리)

음향 조사에 의한 2002/2003 하계 시기의 남극 남쉐틀랜드 군도와 남오크니섬 사이의 크릴 밀도 (Acoustic Estimate of the Krill (Euphausia superba) Density between South Shetland Islands and South Orkney Islands, Antarctica, During 2002/2003 Austral Summer)

  • 강돈혁;신형철;이윤호;김영신;김수암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75-86
    • /
    • 2005
  • Acoustic survey for density and biomass estimate of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was conducted in the large area between South Shetland Islands and South Orkney Islands, during November 30-December 30, 2002. Considering oceanographic and geographic properties,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six sub-regions. Acoustic system and frequency used in the survey were quantitative echo sounder (Simrad Ek 500) and 38, 120-kHz split beam transducers. In order to discriminate krill aggregations in all acoustic signal, difference of mean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Delta}MVBS)$ method of the two frequencies was introduced. Averaged krill density for the overall surveyed area was $23.5g/m^2$, and spatially averaged estimates of krill density were $44.9g/m^2$ (north of the South Shetland Islands), $30.3g/m^2$ (Bransfield Strait), $11.3g/m^2$ (near the Elephant Island), $13.6g/m^2$ (north of the Elephant Island), $18.1g/m^2$(between Elephant Island and South Orkney Islands) and $21.7g/m^2$(northwest of the South Orkney Islands) at each sub-area. In the two sub-regions with surveyed area, estimated krill biomass in the north of the Elephant Island was 0.315 million tones with a CV of 18.35% $(6,766mile^2)$, and between Elephant Island and South Orkey Islands was 1.26 million tones with a CV of 9.45% $(20,299mile^2)$. As a whole, the krill density in the early summer season was low level, comparing with that of January-February. This suggested that major krill swarms in the around South Shetland Islands were reached in the mid-summer seasons from western part of the Antarctic Peninsula, and the low krill density also affects the density variation of the krill between Elephant Island and South Orkney Islands.

크릴(Euphausia superba) 불소 추출물의 간세포 독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rill Euphausia superba Fluoride Extract on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in Liver cell)

  • 김정균;윤호동;박시향;김풍호;목종수;홍유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82-688
    • /
    • 201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bout cell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of HepG2 cell by treatment of sodium fluoride (NaF) and fluoride extracts from krill Euphausia superba meat, shell, whole body and krill meal. The cell toxicity showed significant at 300 and $500{\mu}g/mL$ NaF treatment group. But krill (Euphausia superba) fluoride extract (KFE) treatment in all groups were not toxic. The superoxide radical produc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NaF treated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KFE treated group. Th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was a significant increase 21.5% at $100{\mu}g/mL$ and 24.7% at $300{\mu}g/mL$ treatment group of fluoride extracts from krill meat, and 8.7% at $300{\mu}g/mL$ in krill mea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hydroxy radical flux an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of fluoride extracts from krill meat did not change. As a result, for a short period of time, NaF treatment in HepG2 cells affect the cell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but in the case of KFE, these were not recognized. Thus, depending on the type of food ingested with fluoride, cell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was found to be different.

크릴 분말 및 NaF 첨가 식이가 흰쥐의 혈청 지질성분 및 혈당 변동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Serum Lipid Components and Blood Glucose by Krill (Euphausia superba) Meal and NaF in Rats)

  • 진동혁;오다영;이영근;강동수;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938-946
    • /
    • 2017
  • Krill (Euphausia superba)과 NaF가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체중 및 장기 중량, 혈청 지질성분 및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BD군을 비롯하여 기본식이에 NaF 10 mg을 경구 투여한 BF군, 10%(KF10군), 20%(KF20군), 30%(KF30군)의 krill meal을 첨가 식이에 NaF 10 mg 경구 투여한 군으로 군당 6마리씩 5가지 군으로 나누어 5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흰쥐의 체중은 식이의 krill meal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대조군인 BD군에 비해 NaF를 경구 투여한 BF군에서 낮게 관찰되었다. 각 장기무게에서의 변화는 간에서 BD군에 비해 NaF 경구 투여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고환에서의 무게는 KF10군을 제외한 NaF 경구 투여 군에서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심장, 폐, 뇌, 신장, 췌장에서의 각 군의 장기무게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triglyceride, phospholipid, 혈당 농도는 대조군인 BD군보다 BF군에서 높았지만, krill meal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HDL cholesterol 농도는 BD군보다 BF군에서 낮았으며 krill meal 함량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청 중 total protein은 각 군에서 유의적 차이(p<0.05)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lbumin 농도와 albumin/globulin ratio는 BD군과 BF군은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krill meal 섭취 군에서 감소되었다. Globulin 농도는 KF10군, KF20군, KF30군, BD군, BF군 순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krill meal 식이는 NaF 경구 투여한 흰쥐의 체중, 혈청 지질성분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Krill (Euphausia superba) Hydrolysate

  • Kim Dong-Soo;Park Douck-Choun;Do Jeong-Ry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5권1호
    • /
    • pp.21-27
    • /
    • 2002
  •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of shelled krill (Euphausia superba) hydrolysates by autolysis and by hydrolysis with commercial proteases were analyzed. Among the proteases, Alcalase was the most effective protease for the hydrolysis of krill considering the degree of hydrolysis $(87.5\%)$ and the ACE inhibitory activity $(60\%)$. Four hour hydrolysis suggested as the most suitable and economic. In order to establish the optimum hydrolysis condition of krill, degree of hydrolysis and ACE inhibitory activity as affected by Alcalase concentration and water amount adde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optimum hydrolysis condition was $2.0\%$ Alcalase hydrolysis in 2 volumes (v/w) of water at $55\% for 4 hr. The hydrolysate prepared from the optimum hydrolysis condition was fractionated by molecular weight. The lower molecular weight fraction showed the higher ACE inhibitory activity. $IC_{50}$ of the fraction under 500 Da was 0.57mg protein/mL.

주파수차법을 이용한 남극크릴(Euphausia superba)의 종 식별에 관한 연구 (Species Identification of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Using the 2-frequency Difference Method)

  • 최석관;한인우;황두진;김태호;안두해;이경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788-798
    • /
    • 2017
  •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are important components of the Antarctic marine ecosystem both economically and ecologically; to manage this species effectively, their distribution and abundance must be understood. Using the Kwang Ja-Ho (3,012 tonnage), a commercial fishing vessel, we conducted acoustic surveys during April 13-24, 2016,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and population size of krill around the South Shetland Islands of the Antarctic Continent, We used acoustic techniques based on the dB-difference, a method used mainly to classify of marine species. We found that Antarctic krill were present in numbers over 99% at six survey stations, with the exception of Station 3, where we only found Electrona carlsbergi. There was no difference in cell size due to frequency differences, but echo signals differed between species: 4.7-12.0 dB for Antarctic krill, and -4.1~0 dB for Electrona carlsbergi.

크릴과 카드뮴이 콜레스텔롤 식이 흰쥐의 혈장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rill and Cadmium on Lipid Composition of Plasma in Cholesterol-Fed Rats)

  • 손미예;정문호;박석규;조영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8-43
    • /
    • 1994
  • 크릴 및 카드뮴이 콜레스테롤 식이 흰주의 혈장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Spragu-Dawley계의 숫쥐를 8식이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 혈장중 콜레스테롤, 인지질 및 중성지질 농도에서 5%이하의 크릴식이첨가군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카드뮴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혈장중 중성지질(1.6배), 유리콜레스테롤(1.6배), 지단백(1.4배) 및 총콜레스테롤(1.3배)의 농도가 증가되었으며,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약 1.6배 정도 낮았다. 카드뮴식이군에서 크릴첨가는 혈장의 총콜레스테롤, 유리 콜레스테롤, 지단백 및 중성지질의 농도를 오히려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 PDF

살모넬라 LPS를 주입한 육계병아리에 있어서 사료 중 크릴 밀 수준이 생산성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Krill Meal Levels on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 of Broiler Chicks Injected with Salmonella typhimurium Lipopolysaccharide)

  • 임진택;박인경;고태송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225-238
    • /
    • 2007
  • 급성기 반응중 육계병아리의 생산성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사료중 크릴 밀 수준의 영향이 조사되었다. 갓 부화한 육계병아리(Ross) 수컷을 크릴 밀 0.0(기초), 0.5, 1.0 및 2.0% 함유한 실험사료로 3주간 실험사육하고 9, 11 및 13일령에 Salmonella typhymurium LPS를 복강내 주입하여 급성기 반응을 활성화하였다. 1. 급성기 반응은 유의하게(p<0.05) 일당증체와 사료섭취량을 감소시키고, 간장과 비장의 무게를 증가시키나 사료중 크릴 밀 수준에 의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2. 크릴 밀 사료급여는 TNF-α 활성을 급성기 반응과 회복중에도 기초사료에 비해 낮추었다(p<0.05). 급성기 반응은 TNF-α 활성을 대조에 비해서 기초사료 급여로 유의하게 증가시키나(p< 0.05), 크릴 밀 사료급여시는 유의하지 않았다. 3. 급성기 반응은 혈중 오보트렌스훼린 수준을 대조에 비해서 기초사료, 크릴 밀 1.0 및 2.0% 사료급여로 증가시키나 크릴 밀 0.5% 사료급여로 감소시켰다.4. 급성기 반응중 PBMC 및 비장세포의 증식도는 크릴 밀 0.5% 사료급여로 차이가 없었으나, 크릴 밀 1.0 및 2.0% 사료급여시에는 오히려 감소하였다(p<0.05). 대조인 정상병아리에서는 크릴 밀 수준에 따라 비장세포의 증식도가 점차 증가하였다. 본 연구 성적은 급성 기 반응중인 육계병아리에서 사료중 크릴 밀 첨가가 혈중 TNF-α 활성과 ovotransferrin 분비를 감소시키고 PBMC와 비장세포 증식도에 미치는 영향은, 사료중 크릴 밀이 육계 병아리의 선천 면역성과 세포성 면역성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색인 단어:lipopolisaccharide(LPS),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PBMC와 비장세포의 증식, 크릴 밀, 육계 병아리)

사료 중 크릴 밀을 급여한 육계의 생산성과 SOD 활성에 미치는 급성기 반응의 영향 (Effect of the Acute Phase Response on the Performance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Broiler Chicks Fed on Dietary Krill Meal)

  • 박인경;김재환;임진택;고태송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183-192
    • /
    • 2004
  • 급성 기 반응중인 육계에서 사료 중 크릴 밀의 생산성과 SOD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크릴 밀 A와 B를 이용한 실험 1과 크릴 밀 A를 이용한 확인 실험 2가 실시 되었다. 실험사료는 옥수수 대두박 위주의 기초 사료 와 기초 사료 중 대두박과 2.0%의 크릴 밀 A(수입) 또는 크릴 밀 B(수입)를 대치한 사료이다. 실험 사료를 1 일령 육계 병아리에 급여하여 Salmonella typhymurium lipopolysaccharide (LPS)를 복강 내 주입하여 급성 기 반응을 발생시킨 2 주령 육계의 생산성과 Superoxide dismu- tase(SOD)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Saline을 주입한 대조와 비교하였다. 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효율은 크릴 밀 A와 크릴 밀 B 사료를 급여한 육계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크릴 밀 사료를 급여한 육계에서 급성기 반응은 간장과 비장 무계를 높였다. 그리고 급성기 반응은 크릴 밀 사료를 급여한 육계 병아리의 간장과 적혈구 세포액의 MnSOD와 Cu/ZnSOD 활성을 높였다. PHA-p 반응에 미치는 크릴 밀 사료의 영향은 없었다. 크릴 밀 B는 면역반응 후 회복중인 육계의 생산성을 향상시켰으나 크릴 밀 A에서는 이러한 영향이 없었다. 이상과 같이 크릴 밀의 종류에 따라 급성기반응시 와 회복시의 생산성은 SOD 활성의 변화로부터 산화 스트레스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크릴(Euphausia superba)의 영양성분 및 아미노산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Amino Acid Compositions of Krill (Euphausia superba))

  • 김한수;김민아;;강동수;장성호;류재용;이춘식;이원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5-170
    • /
    • 2014
  • Despite abundant nutritions, krill is barely used for human consump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compon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krill and further utilizes it for food resource. Proximate compositions of krill meal were consisted of crude protein 58.85%, ash 13.89%, crude fat 12.45%, carbohydrate 11.01% and moisture 3.80%. The amount of total amino acid was 54.74 g%,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7.71 g%), aspartic acid (6.20 g%), leucine (4.72 g%), lysine (4.41 g%), arginine (6.49 g%) and alanine (3.25 g%), respectively. Total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was 21.87%,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leucine (4.72 g%), lysine (4.41 g%) and isoleucine (2.90 g%), respectively. Content of total free amino acid in krill meal was 20224.30 mg/kg, and the major free amino acids were taurine (4501 mg/kg), arginine (3130.60 mg/kg), proline (2302.90 mg/kg), alanine (2088.10 mg/kg), glycine (1606.40 mg/kg) and lysine (1197.40 mg/kg). Especially, taurine was the most abundant of all free amino acids. Thus, these data indicate that krill seems to be abundant protein source f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