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version of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3초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수면의 질이 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leep Quality on Activity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Living in Community)

  • 홍덕기;김소연;김다혜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수면의 질이 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9년 8월 21일부터 9월 29일까지 전라북도 소재 복지기관을 이용하는 노인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한국판 수면의 질 척도(Korea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K)와 한국형 활동분류카드(Korean-Activity Card Sort: K-ACS)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피어슨 상관관계와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수면의 질이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수단적 활동, 사회 활동과 여가 활동 모두 유의하게 높은 활동참여를 보였다(p<.001). 그리고 수면의 질은 수단적 활동, 사회 활동과 여가 활동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또한 수면의 질이 수단적 활동(R2=.224), 사회 활동(R2=.142)과 여가 활동(R2=.227)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결론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활동참여 증진을 위해 수면의 질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며, 향후 수면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절망감과 자살사고의 관계: 수면의 질과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Psychiatric Pati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leep Quality and Interpretation Bias for Ambiguity)

  • 윤소미;김은경;김대호;박용천
    • 정신신체의학
    • /
    • 제31권2호
    • /
    • pp.100-107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절망감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면의 질과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의 외래 환자와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축적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측정 도구로는 벡 절망 척도(Beck Hopelessness Scale), 피츠버그 수면의 질 척도(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모호한 상황에서의 시나리오 척도(Ambiguous/Unambiguous Situations Diary-Extended Version, AUSD-EX), Ultra-Short Suicidal Ideation Scale이 사용되었다. 231명의 자료를 기초로 SPSS 25.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Bootstrapping 기법을 이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연구 결과, 절망감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수면의 질과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의 이중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는 절망감이 낮은 수면의 질과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을 거쳐 자살사고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에서 절망감이 자살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함에 있어 낮은 수면의 질과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간호대학생에서 자동화 무선 수면추적기와 주관적 수면도구를 이용한 수면측정 (Measurement of nursing students' sleep using by an automated wireless sleep tracker and subjective sleep scales)

  • 김미종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34-443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leep patterns in nursing students as measured by an automated wireless sleep tracker and self-reported sleep scal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11 to May, 2012. ZQ (a symbolic number that measures the quality and quantity of sleep) was calculated from the automated wireless sleep tracker.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Korean version, Sleep scale A, and sleep satisfaction were used as self-report sleep scales. Fe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n=37) were recruited by convenience sampling. Before going to bed, they were asked to put on a head-band type sleeping sensor and to move it the next morning. Every student slept 2~4 nights with the sleep tracker. Data were collected for 86 (91.4%) of 94 nights' sleep. The students were also requested to fill in the PSQI-K, sleep scale A, and sleep satisfaction. Results: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between ZQ and sleep satisfaction (r=.869, p=.026). The biggest obstacle in using this device was putting on the head-band type sensor. Conclusion: Validity of the wireless sleep tracker was verified in part. The usefulness of this device in nursing research and practice was identified. Further evaluation need to be conducted with various populations.

수지봉을 적용한 수지요법이 불면증 대상자의 수면의 질과 정서 상태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Hand Acupressure Therapy on Sleep Quality and Mood State of Insomniac Adults)

  • 황은희;김미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1-32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hand acupressure therapy on sleep quality and mood state of adults having insomnia. Methods: The study was a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5 insomniac adults. All the subjects were assessed for their sleep quality and mood state using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nd POMS(Profile of Mood States). The pellet stimulating hand acupressure therapy was applied using New Seoam Press Pellets 1 Ho for 4 weeks.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2.0 version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Results: The mean total score of PSQI was 6.67 and the POMS was 6.68.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subject's total PSQI score(p=.000) and in total POMS score(p=.008) after the therap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llet stimulating hand acupressure therapy is effective for sleep quality and mood state of adults having insomnia.

  • PDF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수면의 질과 우울 증상의 관계: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과 불안 증상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Symptoms in Psychiatric Patients: Mediating Effect Interpretation Bias for Ambiguity and Anxiety Symptoms)

  • 이혜린;김은경;최준호;박선철
    • 정신신체의학
    • /
    • 제30권2호
    • /
    • pp.137-144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수면의 질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과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과 불안증상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의 외래 환자와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축적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측정 도구로는 피츠버그 수면의 질 척도(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모호한 상황에서의 시나리오 척도(Ambiguous/Unambiguous Situations Diary-Extended Version, AUSD-EX), 아동기 외상설문지(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백 불안 척도(Beck Anxiety Inventory), 백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II)가 사용되였다. 162명의 자료를 기초로 SPSS 25.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Bootstrapping 분석이 실시되었다. 결 과 연구 결과, 수면의 질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과 불안 증상의 이중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는 낮은 수면의 질이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을 거쳐 불안 및 우울 증상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선행 증상에 대한 치료적 개입을 우선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다른 정신과적 증상 발달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현병 외래 환자에서 야간식이증후군의 유병률과 관련요인 (Prevalence and Its Correlates of Night Eating Syndrome in Schizophrenic Outpatients)

  • 남석현;윤보현;시영화;송제헌;박수희;박형종;이지선
    • 정신신체의학
    • /
    • 제22권2호
    • /
    • pp.93-103
    • /
    • 2014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병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야간식이증후군(night eating syndrome : NES)의 유병률과 이와 관련된 임상적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방 법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201명의 조현병 환자들을 14 문항의 자기보고 형식인 야간식이증후군 설문지(Night Eating Questionnaire : NEQ)로 평가하였다. 인구학적, 임상적 특징과 체 질량 지수(BMI)을 조사하였고, 주관적인 기분과 수면, 폭식과 체중 관련 삶의 질에 대해서는 각각 Beck's Depression Inventory(BD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Binge Eating Scale(BES)와 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KOQoL)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조현병 외래 환자에서 야간 식이 증후군의 유병률은 10.4%(201명 중 21명)이었다. NES 군과 non-NES 군간에 나이를 제외하면 인구사회학적 및 임상적 특성, BMI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NES 군이 Non-NES 군에 비해 보다 우울했고, 수면과 폭식 양상, 체중 관련 삶의 질에 있어서 의미 있는 장애를 나타냈다. '아침 식욕부진'과 '지연된 아침식사'(NEQ에서 NES 핵심 항목 5개 중 2개)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야간 섭식', '야간 식욕항진' 그리고 '기분/수면'은 NES 군에서 더 손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는 조현병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NES의 유병률과 관련 요인에 대해 기술한 최초의시도이다. 비록 NES와 비만과의 연관성은 밝히지 못했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NES가 정신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향후 이러한 결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노인 고혈압 환자의 건강행태 및 수면 관련 요인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ealth Behaviors and Sleep related Factors on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Hypertensive Patients)

  • 김아린;전해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078-708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고혈압 환자의 건강행태, 수면 관련 요인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중 고혈압을 진단 받은 140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3년 2월 5일부터 5월 1일까지로 일대일면접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도구는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Epworth Sleepiness Scale(ESS)와 한국어판 노인용 간이정신상태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노인고혈압 환자의 인지기능은 수면의 질 저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29, p<.001). 수면시간은 체질량지수(r=-.18, p=.032) 및 수면의 질 저하(r=-.59,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주간졸음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22, p=.008).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노인 고혈압 환자의 연령, 교육수준, 거주유형은 인지기능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으며(F=8.56, p<.001, Adjusted $R^2=.14$),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행태를 통제한 상태에서 수면의 질 저하(${\beta}=-.27$, p=.008)는 인지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최종 모형의 설명력은 17%였다(F=4.09, p<.001). 그러므로 노인 고혈압 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전략은 연령, 교육수준, 거주유형을 고려하고, 낮은 수면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치료적인 중재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의 수면과 감각처리 특성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Sleep and Sensory Processing Patterns With University Students)

  • 이예진;김가연;김리진;박소빈;박시원;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3-45
    • /
    • 2017
  • 목적 : 본 연구는 비숙면군 대학생의 감각처리특성과 수면의 질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대구광역시, 그리고 경상북도에 소재한 6개 대학의 만 18세~25세 대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글판 청소년/성인 감각 프로파일(Adolescent/Adults Sensory Profile; AASP)과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감각처리특성과 수면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참가자들 중 비숙면군에서 감각처리특성과 수면의 질의 상관관계검증 결과, 등록 저하, 감각 민감성, 감각 회피, 감각 추구의 모든 감각특성이 수면의 질 항목 중 수면 방해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수면의 질 항목 중 주간 기능장애는 등록 저하와 감각 민감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 : 대학생의 수면장애와 감각처리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제공하며, 관련 연구의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앞으로 대학생만이 아니라 아동, 성인, 노인을 대상으로 수면과 감각처리특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스트레스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and stress on sleep qual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 김세희;민지원;박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12-120
    • /
    • 2019
  • 수면은 건강상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특히 대학생의 수면의 질은 정서적, 신체적 안녕 등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지역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이 변수들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은 국내 재학 중인 대학생 2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18년 8월 1일부터 8월 14일까지 온라인 설문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측정도구는 신체활동 정도와 기호식품을 포함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스마트폰 중독 척도, Perceived Stress Scal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한국어판 척도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 점수와 스트레스 점수는 여학생이거나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높았다. 수면의 질은 낮 활동 정도가 낮은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높았다. 상관관계에서 스마트폰 중독, 스트레스, 수면의 질은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마트폰 중독(${\beta}=0.041$, p=.001), 스트레스 정도(${\beta}=0.177$, p=.001)이며 설명력은 24.9%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높을 수록, 스트레스 정도가 심할수록 수면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 불필요한 스마트폰 시간을 줄이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대학생 대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슬링을 이용한 경부관절 운동이 고문생존자의 수면장애, 두통, 경부 기능장애에 미치는 영향 : 단일사례연구 (Effects of Cervical Exercise with Sling Program on Sleep Disturbance and Headache, Neck Disfunction in Torture of Survivor : Single Case Study)

  • 유성훈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18
    • /
    • 201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clinical effects of cervical exercise with sling program using on torture of survivor with sleep disturbance and Headache, neck disfunction. Methods : This study selects 1 subjects for 55 years old who were diagnosed with torture of survivor with sleep disturbance and headache. The Design is ABA of single-subject study design. Baseline(A) and TypeII Baseline(A : 6weeks) phases were received with musculoskeletal disease of prevention education, Intervention(B : 6weeks) phase provided with 65 minute exercise with sling program using in a session twice a week. In order to analyze the measure results of PSQI-K(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VAS(visual analog scale), NDI(neck disability index), FABQ(fear-avoidance beliefs questionnaire) in torture of survivor during baseline, intervention and typeII baseline phase. Result :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QI-K during baseline, intervention, typeII baseline.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S during baseline, intervention, typeII baseline.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NDI during baseline, intervention, typeII baseline.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BQ during baseline, intervention, typeII baseline.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 intervention method to applied cervical exercise with sling program on torture of survivor effectively improve on sleep disturbance and neck function, headac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