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traditional dyeing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7초

전통한지를 이용한 무대의상 연구 - 연극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tage Costumes Using Traditional Hanji - Focus on the Theater 'Long Long Time Ago Whuo-ee Whuoee' -)

  • 김영삼;김장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36-344
    • /
    • 2010
  • Stage costumes are characterized by the importance as a medium of total visual expression on a synthetic art and need to be designed more effectively. This study followed the stage costumes of the play 'Long long time ago whuo-ee whuoee' which participated in the China-Japan-Korea University Theatre Festival. By consisting of the framework of a Korean story that tells and expands the visual expression province by the access method of a producer, the unique costume in the play was created by the dyeing of the traditional hangi. First, the use of hanji in theater represents originality and a fresh variation with the formative beauty of stage costumes in accordance with hanji that conforms to the recreation of tradition. Second, the dip dyeing technique made it possible to express colors limitlessly and the airbrush dyeing technique along with dyeing twice could account for the weak points of the color. As a result, the color brought effect as expected. Third, the weak points were supported by a Jumchi technique that created the fibroid material tangled with stronger adhesion in the creation of a hangi costume. In addition, dyed hangi was attached to the outer fabric. It allowed the costume to have a unique texture that was both soft and tough. This enforced the visualization of the costume and durability to prevent possible damage by the performers. Forth, pieces of hanji were attached to the damaged parts of the costume after re-visiting the dress rehearsal. As a result, the stage costumes represented the shabby clothes that express the social class of the characters. A new understanding of the excellence of traditional hanji was found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it as a material for stage costumes through the study.

천연염색과 조각보 만들기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Making Class of Natural Dyeing and Jogakbo)

  • 박희순;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1-73
    • /
    • 2008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기술 가정 교과 "직물을 이용한 생활용품 만들기" 단원에 천연염색과 조각보 만들기를 적용하여 전통이미지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고 학생들의 기술 가정 교과에 대한 흥미도와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천연염색과 조각보 만들기에서 LT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 지도안 및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적용한 후 기술 가정 교과에 대한 학습흥미도와 태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 매우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또한 천연염색과 조각보 만들기 수업을 실시한 후 전통이미지 인식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통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매우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천연염색과 조각보 제작을 통한 수업은 학습 흥미도와 태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통이미지인식의 변화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개발된 교수-학습 지도안과 학습 자료들은 교육현장에서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 PDF

가리비의 조형성을 이용한 한지직물 의상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of Hanji(Korean traditional paper) Textile Using the Formative Features of Scallop)

  • 권민정;유금화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9-163
    • /
    • 2011
  • Hanjisa(Korean paper yarn), a new material made from the traditional Korean paper, has been developed through local R&D efforts, reflecting the current trend highly valuing environmental friendly. This new material is considered suitable for the 21C lifestyle and culture pursuing improved quality of human life and the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widely make known the originality and functions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Korean paper yarn, as well as to increase its commercial value. Furthermore, a new category of apparel design is presented by studying painting dyeing based on transformational tuck techniques and wax resist dyeing with formative features of repeated lines and rhythms of shells in order to implement three-dimensional and decorative artistic expressions. The texture of the Korean cotton paper yarn was particularly suitable to employ tuck and dyeing techniques Which express formative features of shell. Also, the material was useful for expressing the three-dimensional feelings with repeated curves and cross sections of shells. Moreover, paraffin resist dyeing and stitch techniques were used in order to avoid monotony and the images of shells visually materialized. Through the results stated above, this study could explore how to overcome obstacles to globalization of the Korean modern apparel such as its uniqueness, limit of materials or absense of internationality by applying modern design to the Korean paper fabric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more manufactures could produce and supply the new materials so as to make widely known the originality of the Korean paper fabrics and develop the material into a popular organic product fitting the modern lifestyle.

  • PDF

천연염색을 이용한 홀치기 염색기법의 직물디자인 (Textile Design of Tie Technique with Natural Dyeing)

  • 정진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9-63
    • /
    • 2003
  •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of textile design expressed not only Korean natural image but also modern sensibility using fabrics dyed by tie dyeing with various natural dyes. And it attempts to practicality of high value-added goods revived traditional beauty. With the aqueous extract of various natural dyes, i.e., indigo, amur cock tree, onion's peel, citrus peel, mugwort, gromwell, sappan wood silk fabrics dyed by tie dyeing. Also various color changes were examined by mordants, i.e., aluminium sulfate, cupric acetate mono hydrate, ferrous chloride. With these fabrics, I made works using the techniques of applique, mola, fabric's connection and weaving. I think the developed textile design gave expression to natural image of Korean nation.

감즙 오색포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Fabrics Dyed with Persimmon Juice)

  • 박순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55-967
    • /
    • 199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5 kinds of fabrics dyed with persimmon juice and undyed fabrics. The difference between dyed and undyed fabrics was checked experimentally.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Bending length and flex stiffness were increased after dyeing, and tensile strength of waif i3l fabrics except Ramie was also increased. 2. Abrasion resistance was improved in Ramie and Hemp after dyeing but the rest of fabrics were decreased. 3. Crease resistance of dyed fabrics was roughly worse than that of undyed fabrics. 4. Air permeability remarkably increased after dyeing and this fact estabilished that the traditional Gal-01 was cool clothing. 5. Water repellency in Cotton 1 and Polyester rises but the rest of fabrics were not changed. Therefore it is found that this repellency related to the their fabric counts. 6. Blocking effect of UV light and visible ray was increased in all dyed fabrics. Especially dyed Cotton 1 and Polyester blocked UV light almost perfectly. 7. The colorfastness to soaping and sunlight was proved to less than 3 grade in all fabrics after dyeing. It indicates that this colorfastness became worse owing to dyeing. 8. The colorfastness to dry cleaning and water was decided to more than 3 grade in all fabrics. 9. The colorfastness of the dyed fabrics to sweat after exposing to man-made acid sweat solution was good so that was decided above 3 grade. However after exposing to man-made alkalic sweat solution it became worse owing to dyeing.

  • PDF

천연염색 교육을 통한 평택지역 일자리창출 활성화 연구 (Study on activation of job creation in Pyeongtaek area through natural dyeing education)

  • 박혜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17-12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이끌어갈 신산업으로 주목되고 있는 산업 중 전통문화예술분야의 전문인력 필요성 증대에 따른 지역사회의 노력과 산·학·연의 협업이 절실한 상황에서 국내 전통문화예술을 살리고 지역사회의 고부가가치 산업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노동인력 확보 방안을 모색하고 더불어 지역 전통문화·예술·관광행사 및 디자인 상품개발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시대가 변화되고 전통기법 전승에 대한 교육이 갈수록 외면되고 소외 시 되는 현 상황에서 본 연구는 다년간 평택지역의 산업체, 지역대학, 연구소가 협동하여 실시한 천연염색교육과 문화예술행사를 통해 전통문화예술의 전승과 고부가가치 일자리창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은행나무 수피 추출액에 의한 천연섬유의 염색( I ) -색소분석 및 염착성- (Dyeing of Natural Fibers with Extract of Ginkgo biloba Bark(I) - Pigments Analysis and Dyeability -)

  • 최순화;조용석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306-311
    • /
    • 2001
  • Natural colorants haute attracted much attention all over the world because of their non-hazardous nature. The world is becoming increasingly aware of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ozone layer depletion, water pollution and waste disposal problems. The use of synthetic dyestuffs for their synthesis and application in the dyeing industries has been criticized due to introduction of contaminants into the environment. This has led to the desire to turn to the traditional, and more natural way of life. In this study, the colorants of extract of Ginkgo biloba bark were analysed and their dyeing properties on silk, wool and cotton were studied. It was found that uv-visible absorption spectra of extract of Ginkgo biloba bark showed two strong absorption Peaks in the range of 240 ∼400 In. From the result of IR spectra, the major ingredient of extract of Gikgo biloba bark seems to be the flavon which is one of the flavonoid derivatives. Silk, wool, and cotton dyed with the extract of Ginkgo biloba bark showed a reddish yellow color. Their color differences were increased drastically with repetition of dyeing by three times.

  • PDF

안개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한지의 천연염색 특성 (Natural Dye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Paper with Smoke Tree (Cotinus coggygria Scop))

  • 이상현;유승일;최태호
    • 펄프종이기술
    • /
    • 제41권2호
    • /
    • pp.40-4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natural dyeing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paper (Hanji). We dyed the Korean traditional paper with dyestuff which extracted from wood meal of Cotinus coggygria Scop (smoke tree) using hot-water, ethanol and $K_{2}CO_{3}$ solution. As mordants, 0.5% of $AlK(SO_4)_2$, $FeCl_2$, and $CuCH_3(COO)_2$ solution were used respectively. The color of dyed Hanji mainly depended on not the methods of extraction but the kinds of mordant. The dyed Hanji mordant with $AlK(SO_4)_2$ colored vivid yellow, $FeCl_2$ colored dark olive, and $CuCH_3(COO)_2$ colored brown and/or orange. The dyed Hanji with hot-water extractive had the highest K/S value and ethanol and $K_{2}CO_{3}$ solution extractives were followed. The K/S value of dyed Hanji mordant with $AlK(SO_4)_2$ was higher than that of $FeCl_2$ and $CuCH_3(COO)_2$. The dyeing effectiveness of after-mordanting method was superior to the others but sim-mordanting method was the worst.

감즙염색을 이용한 학습자료와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및 적용이 전통 의생활문화 교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Plan using Persimmon juice Dyeing on the Traditional Clothing Life-Culture Education)

  • 박순자;유지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9-9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통 의생활문화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고자 우리나라의 대표적 전통 천연염색 중 하나인 감즙염색을 이용한 학습자료를 제작하고 전통 의생활문화 체험이 가능한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연구방법에 있어서 교육적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수업 실시 전과 후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t-test, Kruscal-Wallis 검정 및 상관분석을 행하였다. 이를 고등학교 기술 가정과에 '감즙염색 직물을 이용한 생활소품 만들기' 주제로 수업에 적용하여 전통 이미지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학습에 대한 흥미도 및 태도 변화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즙염색에 관해 연구해온 축적물로 독창적인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감즙염색과 전통 의생활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협동학습을 실시한 결과, 현대 감각을 살린 아이디어 소품이 창출되었다. 둘째, '청소년의 전통 의생활문화와 교육에 대한 인식'에 있어, 수업 전과 후의 차이를 나타내어 수업 후에 인식의 향상을 보였다. 나아가 조사대상을 상/중/하위 그룹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긍정적인 변화에 있어서도 그룹 간 차이를 보였는데, 사전 점수가 가장 낮았던 하위 그룹에서 가장 높은 향상을 나타내었다. 셋째, '감즙염색 직물을 이용한 생활소품 만들기' 수업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든 문항에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나, 학생들은 감즙염색 직물로 생활소품 만들기 체험을 통하여 전통 의생활문화에 대한 관심과 흥미도가 높아졌고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이 확인되었다. 넷째, 전통 의생활문화 인식과 그 교육에 대한 인식 간에는 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그 교육에 대한 인식도 높아 정적인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개발된 학습자료와 교수-학습과정안을 통한 전통 의생활문화 수업은 전통적인 천연염색과 의생활문화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이해하는 인식에서 향상된 변화를 가져왔고,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교육적 효과를 가져왔다. 전통 의생활 문화 교육은 지속적이고 다면적인 심화된 연구와 현장교육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때 교육적 시너지효과가 더 발현될 것이다.

  • PDF

1302년 아미타불복장 소화문협힐견(小花紋��纈絹) 염색기법 재현 (Reproduction of the Dyeing Technique Used for the Small Flower Pattern Clamp Resist Dyed Fine Tabby in Amitabha of 1302)

  • 최정임;심연옥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2호
    • /
    • pp.254-267
    • /
    • 2019
  • 협힐(��纈)은 직물을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조각한 목판 사이에 끼워 넣은 후 염색하여 무늬를 표현하는 방염(防染) 기법이다. 통일신라 흥덕왕 9년 복식금제(服飾禁制)에는 육두품녀(六頭品女)와 오두품녀(五頭品女)의 여러 가지 복식 품종에 협힐 사용을 금한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으로 미루어보아 협힐 직물이 당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협힐 기법도 통일신라시대 또는 그 이전에 완성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문헌 자료에는 용어만이 언급되었을 뿐 염색 기법이나 정의에 대한 내용은 확인되지 않고 유물도 고려시대의 것만 극히 소량 남아 있어 협힐의 유형이나 특징을 알 수 없다. 공예 기술은 각 나라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요인에 의해 변화하며 주변국과의 교류를 통해 발전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주변국인 중국과 일본의 문헌 및 유물을 조사 분석하여 협힐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협힐은 국가별 특징보다 무늬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색의 가짓수에 따라 단색(單色)과 다색(多色)으로 나누어지며, 무늬 구조에 따라 단독(單獨) 좌우대칭(左右對稱) 상하좌우대칭(上下左右對稱)으로 분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국과 일본에서 전승 및 재현되고 있는 염색 기법의 사례를 연구한 결과 직물에 무늬가 잘 드러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색의 가짓수와 무늬의 특징에 맞추어 협힐판을 양각(陽刻) 투각(透刻) 음각(陰刻)으로 각각 다르게 조각하여야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무늬와 색이 온전히 남아 있는 유일한 유물인 1302년 아미타불복장 소화문협힐견을 실험 대상으로 삼고 염색 기법 사례 연구에서 얻어진 기초자료를 근거로 실증적 실험을 통해 협힐 기법을 재현하였다. 본 논문은 추후 계속 연구할 협힐 기법 재현에 활용될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전승되고 있지 않는 협힐 기법의 재현을 시도하여 기법의 특징을 확인한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그리고 현대적인 무늬 염색 기법과 접목시켜 한국적 무늬 염색의 세계를 넓히며 재창조하는 데 보탬이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