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ponge

검색결과 656건 처리시간 0.036초

양배추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ponge cake with cabbage powder)

  • 김숙영;김기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94-302
    • /
    • 2017
  • 양배추 분말 첨가량을 0-15%로 달리하여 스펀지 케이크를 제조하고 물리적 품질특성, 항산화 활성, 관능적 특성 및 제조적성을 조사하였다. 물리적 품질특성은 양배추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반죽의 비중, 굽기손실율은 증가하였고, 케이크 crumb과 crust의 색도, 부피지수, 비용적은 감소하였다. 대칭성지수, 균일성지수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케이크의 경도는 양배추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응집성은 감소하였으며 탄력성, 점착성, 부서짐성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케이크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등은 양배추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 색상, 향미, 조직감은 대조구보다 양배추 분말 5-15%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선호도를 보였고 맛은 양배추 분말 5% 첨가구가 5.18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10% 첨가구가 5.0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양배추 분말 5% 첨가구가 비중, 부피지수, 비용적, 경도, 응짐성 등이 대조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생리활성 증가로 인한 항산화 활성과 맛에서 대조구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양배추 분말 첨가 스펀지 케이크 제조를 위한 양배추 분말의 첨가 범위는 5-10%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최적 첨가량은 5%인 것으로 나타났다.

Calyxaprenols A-D, New Merohexaprenoid Metabolites from the Marine Sponge Calyx sp.

  • Kim, Chang-Kwon;Gustafson, Kirk R.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6권4호
    • /
    • pp.303-310
    • /
    • 2020
  • Four new merohexapenoids named calyxaprenols A-D (1 - 4), together with the known compound haliclotriol A (5), have been isolated from the marine sponge Calyx sp. which was collected from the southwest islands of Palau. Based on comprehensive spectroscopic analyses, calyxaprenols A (1) and B (2) were determined to be pentacyclic hexaprenoids that are appended to a glycolic acid-substituted phenol moiety, whereas calyxaprenols C (3) and D (4) possess a tricyclic hexaprenoid skeleton joined to a hydroquinone ring. Identification of new merohexaprenoids from a Calyx sponge expands the known taxonomic distribution of this sparsely distributed class of marine metabolites and increases the chemical diversity described for this genus of marine sponge.

인체 양막의 골형성유도능 평가 (Evaluation of Osteoinduction Efficacy of Human Amniotic Membrane)

  • 한정욱;서영권;박정극;송계용
    • KSBB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291-296
    • /
    • 2008
  • 양막은 다양한 생체재료로 이용되어 왔으며 생체적합성과 환부의 치료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막을 갈아 양막스폰지를 제조하고 중간엽줄기세포를 배양한 뒤 누드마우스이식을 통하여 콜라젠스폰지와 비교하여 골형성유도능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세포의 부착과 증식면에서는 두 시료가 유사하였으나, 체내에 이식한 결과 양막스포지군에서 좀 더 많은 콜라젠 분비와 칼슘이 침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면역화학염색 결과 골형성 시 필요한 오스테오칼신과 오스테오넥틴이 좀 더 발현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양막은 골형성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프리스탠딩 저항형 가스 센서용 산화구리 무전해 도금 탄소스펀지 제조 및 일산화질소 감지 (Fabrication of Copper(II) Oxide Plated Carbon Sponge for Free-standing Resistive Type Gas Sensor and Its Application to Nitric Oxide Detection)

  • 김석진;하성민;명성재;이영석
    • 공업화학
    • /
    • 제33권6호
    • /
    • pp.630-635
    • /
    • 2022
  • 멜라민 스펀지를 열처리하여 제조된 질소함유 탄소 스펀지에 산화구리(CuO)를 무전해 도금하여 기판없이 작동하는 일산화질소(NO) 가스 센서를 제조하였다. 탄소 스펀지 표면의 CuO 함량은 도금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NO 가스 흡착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는 질소의 함량은 CuO 표면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미처리 탄소스펀지는 NO 가스에 대하여 18 min에 최대 저항 변화(5.0%)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CuO가 도금된 샘플(CuO30s-CS)은 8 min만에 최대 18.3%의 저항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NO 가스 감지 능력 향상은 CuO로 인하여 탄소 스펀지의 정공 캐리어 수 증가 및 전자전달 촉진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60 s 동안 CuO 무전해 도금된 탄소 스펀지의 NO가스 감지 저항은 1.9%로 오히려 감소하였다. 이는 탄소 스펀지 표면에 CuO로 완전히 도금되어 NO 가스 흡착 능력이 떨어져 저항변화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CuO가 도금된 탄소 스펀지는 빠르고 우수한 저항변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유용한 NO 가스 센서로 사용할 수 있으나, CuO가 탄소 스펀지 표면을 완전히 도금해서는 안 된다.

쿼세틴 담지 나노캡슐을 함유한 알지네이트 스펀지의 제조 및 생리활성 특성 (Preparation and Study of Bioactive Characteristics of Alginate Sponge Containing Quercetin-encapsulated Nanocapsules)

  • 김우진;시우슈원;노현수;이현주;전재우;김한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41-353
    • /
    • 2019
  • Quercetin is one of flavonoids widely distributed in the plants and well known to have antioxidants, antiinflammatory, antimicrobial properties. In this study, alginate sponge containing quercetin-encapsulated nanocapsules was prepared by miniemulsion polymerization, dyring/crosslinking method and their bioactiv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lginate sponge containing quercetin-encapsulated nanocapsules were evaluated using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FE-SEM),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ell viabil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The study indicates that alginate sponge containing quercetin-encapsulated nanocapsules had significant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ed that alginate sponge containing quercetin-encapsulated nanocapsules can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medical materials.

쑥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Mugort Powder)

  • 최형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90-199
    • /
    • 2016
  •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쑥 분말 첨가(0, 5, 10, 15, 20%)에 따른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쑥 분말을 첨가할수록 반죽의 비중, 굽기 손실률 그리고 케이크 무게가 증가하였다. 색도 측정 결과에서 적색도 a 값과 백색도 b 값은 2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직감은 대조구 보다 5, 10, 20%가 높은 경도를 나타냈다. 탄력성과 응집성은 쑥 분말을 첨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 기호도와 맛은 쑥분말 10% 첨가구가 가장 좋은 결과가 나왔다. 본 실험 결과, 쑥 분말 10%을 첨가한 제품이 최상의 질과 가장 합리적인 상품으로 개발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The Anti-Rotavir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yrtios and Haliclona Species

  • Koh, Su-Im;Shin, Hea-S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1호
    • /
    • pp.2006-2011
    • /
    • 2016
  • The marine sponges Hyrtios and Haliclona species, both of which are known to produce secondary bioactive metabolites, were used to extract 1304KO-327 and 1304KO-328. Such secondary metabolites are potentially antibacterial, antiviral, anti-inflammatory, antitumoral, antifungal, and antiplasmodial.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1304KO-327 and 1304KO-328 were studied for their clinical and pathological importance. The cytotoxicity of 1304KO-327 and 1304KO-328 was assessed via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on HT-29, Caco-2, and Raw 264.7 cells. Rotavirus-infected Caco-2 cells were used to prove the antiviral effects of the marine sponge extracts. The test results cogently proved that the virus-inhibiting effects of the sponge extracts improved with extract concentration.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marine sponge extracts were tested on Lipopolysaccharide-treated Raw 264.7 cells. Nitric oxide and cytokine were produced by treatment of the cells with LPS and the inhibiting effects of the sponge extracts on $IL-1{\beta}$ formation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found that the NO production was decreased dose dependently, and $IL-1{\beta}$ form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marine sponge extracts.

청경채를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Pakchoi (Brassica compestris L. ssp chinensis Jusl.) Powder)

  • 정예선;김대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914-919
    • /
    • 2009
  • 본 연구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기능성 스펀지케이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부로 청경채 분말의 첨가량을 3, 6, 9%로 다르게 첨가하여 제조한 스펀지케이크의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반죽의 비중은 청경채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반죽의 pH는 청경채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낮았으며 청경채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스펀지케이크의 무게는 청경채 분말 첨가 비율에 따라 약간의 변이는 나타났지만 대조군과 청경채 분말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케이크의 부피는 대조군과 청경채 분말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청경채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용적도 청경채 분말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낮았으며, 청경채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스펀지케이크의 내부 색도는 청경채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값은 첨가량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줄어들었고,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일반성분 분석결과에서는 TDF는 청경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exture 특성에서는 응집성은 청경채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고, 경도, 점착성, 부서짐성은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며 대조군과 3%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관능검사에서는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3, 6% 첨가군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식이섬유 함량이 높은 청경채 분말을 이용하여 새로운 스펀지케이크 제조 시 3% 첨가할 경우 스펀지케이크의 texture 특성은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품질과 영양성이 우수한 기능성 스펀지케이크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설탕 대체제로 야콘 시럽을 이용하여 제조한 스펀지케이크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Prepared with Yacon Concentrates as Sugar Substitute)

  • 김기혁;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1453-1459
    • /
    • 2016
  • 다량 섭취 시 성인병과 비만의 원인이 되는 설탕의 함량을 감소하며 fructooligosaccharides(FOS)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천연당인 야콘 시럽을 첨가하여 스펀지케이크를 제조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야콘 시럽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스펀지케이크의 높이와 부피는 야콘 시럽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수분 함량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설탕 대신에 첨가한 야콘 시럽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스펀지케이크는 녹갈색을 더 강하게 나타내었다. 야콘 시럽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스펀지케이크의 물성 측정 결과 야콘 시럽을 많이 첨가하면 탄력성과 응집성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경도는 야콘농축액을 첨가하지 않고 설탕만 이용하여 제조한 스펀지케이크(YS 0)와 설탕의 10%를 야콘농축액으로 대체하여 제조한 스펀지케이크(YS 10)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내며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야콘 시럽 함량이 높아질수록 낮아졌으며, 깨짐성은 야콘 시럽을 첨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야콘 시럽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스펀지케이크의 기호도 평가 결과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야콘 시럽을 첨가하지 않은 YS 0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YS 10은 YS 0와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고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펀지케이크는 저장 기간 중 모든 처리구에서 수분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야콘 시럽 함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함량 감소폭은 낮았다. 야콘 시럽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스펀지케이크의 색깔은 녹색에 가까운 황색을 나타내었으며 저장 기간 중 변화는 없었다. 탄력성은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은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응집성은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탄력성과 같이 야콘 시럽 첨가량이 많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늦어짐을 알 수 있었다. 경도는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야콘 시럽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는 제조 직후부터 낮은 경도를 나타내었는데 저장 기간이 경과하면서도 설탕만 이용하여 제조한 스펀지케이크보다 지속해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야콘 시럽을 설탕의 10%를 대체한 스펀지케이크는 기호성도 좋고 FOS를 다량 함유하며, 설탕 섭취량을 줄일 수 있고 저장 기간 동안 수분을 잘 함유하고 있어 촉촉한 스펀지케이크를 제조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마(Dioscorea)를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Addition of Yam Powders)

  • 이선영;김창순;송양순;박재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8-55
    • /
    • 200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addition of yam (Dioscorea) powders prepar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hot air (HDYP : hot air dried yam powder) and freeze drying (FDYP: freeze dried yam powder), using several physical and sensory examinations. For the foam forming ability and foam stability, the specific gravities of egg foams containing 5% yam powders were measured by drainage using funnels for 78 hrs. The results showed that HDYP and FDYP did not affect the foam forming ability but FDYP increased foam stability due to increased viscosity. When the strength of 8% gels composed of wheat starch and HDYP/FDYP was measured to predict the setting of cake structure, the strengths of starch gels containing yam powd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without yam powders. The volume of sponge cake containing 5% HDYP increased whereas those containing FDYP decreased at the levels of 5, 7%. From the texture profile analysis data,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cakes containing yam powders increased. The color of cake crust and crumb became darker as the amount of yam powders increased.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by QDA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to compare two different drying methods showed that appearance and texture of cakes containing 5% HDYP were closer to those of control than cakes containing 5% FDYP but overall acceptability of sponge cakes containing yams were comparable to the control cakes regardless of drying methods. The addition of yam powders to sponge cakes increased yam flavor and decreased egg smell.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HDYP and FDYP can be added to the sponge cake formula up to 7% and 5%,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