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oldiers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28초

동상의 임상적 분석 (Clinical Analysis of Frostbite)

  • 최장규;김현철;신홍경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8권3호
    • /
    • pp.158-169
    • /
    • 2015
  • Purpose: Frostbite can affect still soldiers. Initial clinical manifestations are similar for superficial and deep frostbite, so early treatment is identical. It is under-estimated by physicians. We try to identify the challenges of managing these complex tissue injurie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84 patients hospitalized at AFCH from 2009 to 2015 was conducted. We investigated differences of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identification of soft tissue injury, treatment and complications between superficial (SF: 43; 51.2%) and deep (DF: 41; 48.8%) frostbite. Results: The major (94.0%) developed frostbite in dry circumstances (89.3%). Wet circumstances (66.7%) were more susceptible to DF rather than dry (46.7%). The 38 (45.2%) arrived to specialist within 7days. Most prone sites were feet, followed by hands. Toes had more deep injuries. DF presented more increased levels of ALT, CPK, CKMB, CRP. The bone scan of W+S+ was 48.3%, 87.1% and W+S- was 20.7%, 12.9%, respectively. The treatment resulted in improved or normalized perfusion scan with matching clinical improvement. It was a good tool to assess treatment response. Eighteen normal and 8 stenotic type of PCR resulted in normal with matching clinical improvement. One continuous obstructive waveform led to minor amputation. Twelve underwent both PCR and MRA. Among 6 normal PCR, 5 showed normal and one stenosis in MRA. All 5 stenosis and one obstruction showed the same findings in MRA. It was a good tool to evaluate vascular compromise. They were treated with rapid rewarming (11.6%, 22.0%), hydrotherapy (16.3%, 29.3%), respectively. Six (14.6%) underwent STSG, 2 (4.9%) had digital amputation in DF. Berasil, Ibuprofen, Trental were commonly administered. PGE1 was administered selectively for 6.8, 10.8 days, respectively. Raynaud's syndrome (16.3%), CRPS (4.7%), LOM (14.6%) and toe deformity (4.9%) were specific sequelae. Conclusion: We should recommend intensive foot care education, early rewarming and evacuation to specialized units. The bone scanning and PCR should allow for a more aggressive and active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tissue viability.

  • PDF

Reemerging vivax malaria: changing patterns of annual incidence and control programs in the Republic of Korea

  • Han, Eun-Taek;Lee, Duk-Hyoung;Park, Ki-Dong;Seok, Won-Seok;Kim, Young-Soo;TSUBOI, Takafumi;Shin, Eun-Hee;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285-294
    • /
    • 2006
  • Changing patterns of the reemerging Plasmodium vivax malaria in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during the period 1993 to 2005 are briefly analyzed with emphasis on the control measures used and the effects of meteorological and entomological factor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Communicable Diseases Monthly Reports published by th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webpages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United Nations. Meteorological data of Kangwon-do (Province) were obtained from local weather stations. After its first reemergence in 1993, the prevalence of malaria increased exponentially, peaking in 2000, and then decreased. In total, 21,419 cases were reported between 1993 and 2005 in South Korea. In North Korea, a total of 916,225 cases were reported between 1999 and 2004. The occurrence of malaria in high risk areas of South Korea was significantly (P < 0.05) correlated with the mosquito population but not with temperature and rainfall, Control programs, including early case detection and treatment, mass chemoprophylaxis of soldiers, and international financial aids to North Korea for malaria control have been instituted. The situation of the reemerging vivax malaria in the Republic of Korea is remarkably improving during the recent years, at least in part, due to the control activities undertaken in South and North Korea.

군 시설 신재생에너지 보급동향과 적용방향 고찰 (An inquiry into the distribution and application plan of new-renewable energy in Military facilities)

  • 김철;경서경;조우석;오명원;김병선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69-276
    • /
    • 2009
  • South Korea having military power within the $10^{th}$ in world ranking is the biggest single institution among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and comprises force of over seven hundred thousand soldiers. However, outworn equipments and efficiency problem have issued. So, this study is to search the distribution state of new-renewable energy and to analyze application plan on the basis of interview with a official in charge in military. Analysis process is the first, classify surveyed military facilities into troops and the geographical factor. Second, classify a scale and type of facilities that new-renewable energy is supplied. Third, find consideration facts on the basis of interview with a official in charge.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new-renewable energy applied to the military facility is photovoltaic, solar heat, wind power and geo-thermal energy. Also, divide military into the army, navy, air force and marine, visit 14 units and analyze the official's opinion. This study will deduce LCCA(Life cycle cost analysis) considered expenses for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nd will be basic research that suggest an appropriate new-renewable energy model in military.

  • PDF

모듈러 공법을 적용한 군시설공사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ular construction method in military facilities)

  • 박재식;박태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42-647
    • /
    • 2006
  • 최근 우리 군은 장병들의 삶의 질 향상과 군 구조 개편에 따른 이동성능 향상을 위해 모듈러 공법으로 노후시설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향후에도 본 공법에 대한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2005년부터 본 공법을 적용하여 우리군에 시공한 시설들은 아직 초기단계로서 설계도서에 모듈러 건축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일부 공사를 습식공법으로 시공하였으며 또한 현장제작 비율이 높아 공기가 지연되고 품질이 저하되는 사례가 발생하였으므로 단계별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그동안 준공된 시설을 분석한 결과, 현장작업과 습식공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생산성향상을 위해 자동화 설비를 구축하여야 하고 단위모듈 이송 전 이동경로에 대해 주행시험을 실시하여 도로조건을 확인해야 하며 현장조립 시에는 모듈간 접합 및 연결방법을 개선하여 품질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 PDF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예측 가능한 싱크 이동성을 기반으로 한 데이타 전달 프로토콜 (Data Dissemination Protocol based on Predictable Mobility of Sink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박수창;이의신;진민숙;최영환;김상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4권3호
    • /
    • pp.276-280
    • /
    • 2008
  • 무선 센서 망에서 이동성 지원을 위한 많은 데이타 전달 프로토콜들이 군인들이나 구조원과 같은 싱크의 이동 궤적이 랜덤하다는 가정 아래서 디자인되어왔다. 하지만, 많은 응용에서, 예를 들면 전쟁 지역에서 작전 상황 중의 군인의 이동 궤적과 같은, 싱크의 이동성은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싱크들의 예측 가능한 이동성을 고려하여 소스 노드로부터 이동하는 싱크까지 데이타를 우회 없이 직행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싱크의 예측 가능한 이동성 기반 데이타 전달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또한, 우리는 기존의 랜덤한 이동성 기반의 데이타 전달 프로토콜들과의 성능 비교를 통해 예측 가능한 이동성 기반 데이타 전달 프로토콜의 향상성을 증명한다.

분야별 역량분석과 패널토의 등을 통한 BTL 군시설 민간투자사업의 제도개선 방안의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gulations of Military Facilities in BTL Scheme through Capacity Analysis and Focus-Group Panel Interview)

  • 정호영;양희봉;한승헌;박희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10-614
    • /
    • 2008
  • 2005년 1월 '민간투자법 개정'에 의해 민간투자대상시설이 BTL(Build-Transfer-Lease)방식에 의한 학교 복지시설, 군시설 등 새로운 사회기반 시설유형으로 대폭 확대되었다. 이러한 개정으로 과거 민간투자가 불가능했던 군시설물에 2006년 1.3조원을 시작으로, 2008년부터 2011년까지 1.6조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렇게 증가하는 군시설 BTL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서는 기존의 일반적 BTL사업의 문제점과 군 BTL 사업의 사례분석을 통해 현행 사업시스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군BTL 사업의 제도 개선을 목적으로 기존 연구에서 지적된 BTL사업의 일반적인 문제점과 군시설 특성이 반영된 특수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군시설물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각각의 문제점에 대한 심각성(severity)과 그에 따른 군의 대응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역량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전문가 패널토론을 통해 제도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군계약 IT융복합학과를 위한 특성화 교과목 및 교육과정 개발 (Curriculum and Characterization Subjects Development for Department of IT convergence Based Army Contract)

  • 최철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29-13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현역 부사관을 대상으로 하는 군계약학과인 IT 융복합학과의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각종 군사학교의 교육과정을 참고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모델링과정을 통하여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하였다. 제안한 교육과정의 핵심적 특징은 교육수요자인 부사관의 필요에 적합하도록 다음 세 개의 영역을 융합한 것이다. 첫째, 군 과학화 정보화에 필수적인 IT 교과목을 중심으로 편성하였다. 둘째, 병사관리에 필요한 군 리더십관련 교과목을 포함하였다. 셋째, 국내 4년제 정규대학 최초로 군상담사 자격증취득을 위한 관련과목을 교육과정에 포함하여 편성하였다. 아울러 학생들의 강의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병영에서 반복적 훈련과 부사관 수행역할과 관련된 익숙한 업무를 학습예제에 반영하는 특성화 교과목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영월하동 고씨동굴과 난고 김삿갓 시선의 문학외적 학술평가 (Art and Science Revaluation on Literary Outwards of Kim SaKat related with Gossi Cave in Youngworl)

  • 소대화
    • 동굴
    • /
    • 제79호
    • /
    • pp.17-30
    • /
    • 2007
  • 난고 김삿갓의 생애 :선생은 안동 김씨의 시조인 고건 개국공신 신평의 후예로 순조 7년(1807년) 3월 13일 경기도 양주군 회천면 회암리에서 부 안근과 모 함평 이씨 사이의 2남으로 출생하였고, 본명은 병연(炳淵)이고 자는 성심(性深) 호는 난고(蘭皐) 별호는 김삿갓 또는 김립(金笠)이다. 순조 11년(1811년) "홍경래의 난"이 일어났을 때 조부 김익순이 선천부사로 있으면서 홍경래에게 항복, 역적으로 몰려 폐족처분을 받아 가족이 영월로 옮겨와 은둔생활을 하였다. 이러한 생활 속에서도 모친은 자식에게 조부의 사연을 감추고 글을 가르쳤으며, 20세 되던 해 영월 동헌에서 백일장에 응시하여 조부를 비판하는 글로 장원이 되었다. 그 후에 조부라는 사실을 알고 자책과 통한을 이기지 못하여 22세에 집을 나서 방랑생활을 하면서 서민들의 애환을 시로 읊어 서민문학의 큰 틀을 마련하였다. 1863년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에서 작고하여 그곳에 묘를 썼으며, 3년 후 둘째 아들 익균이 지금의 묘로 옮겨 모셨다. (난고선생 묘 옆에 서있는 안내문에서)

무선 센서 망에서 이동싱크 지원을 위한 지역 수정 기반 멀티캐스팅 기법 (Local Update-based Multicasting Scheme for Mobile Sink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이정철;박호성;오승민;정주현;박수창;이의신;김상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1호
    • /
    • pp.80-84
    • /
    • 2010
  • 한 소스로부터 다수의 싱크로의 데이터 멀티캐스팅은 통신 비용 절약 뿐 아니라 효율적인 에너지의 사용을 위해 이루어진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지금까지의 멀티캐스팅 위한 방안들은 대부분 하나의 소스와 다수의 고정적인 싱크들 사이의 최적화된 멀티캐스트 트리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전쟁 지역에서의 적군 감지 시스템, 재난지역 구조 시스템 등의 실질적인 응용들에서, 싱크는 자신의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성을 가지고 센서 네트워크를 돌아다닐 것이다. 불행히도 싱크의 이동성은 전체 멀티캐스트 트리의 빈번한 재구성을 초래하고 이것은 제한된 배터리를 가진 센서들의 에너지 고갈을 야기시킨다. 그러므로, 우리는 지역적인 멀티캐스트 트리의 재구성을 통해 다수의 이동 싱크를 지원하는 에너지 효율적인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방안이 기존 연구들 보다 에너지 자원 관리 측면에서 더 효과적임을 보인다.

고종대 경복궁 중건 시 영건일기에 나타난 목재 조달 고찰 (A Study on the Wooden Procurement in the Diary of Yeonggun during the 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in King Gojong's reign)

  • 김버들;조정식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6호
    • /
    • pp.101-112
    • /
    • 2020
  •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in the second year of King Gojong's reign, which has been spotlighted for political and economic history. The author analyzed the contents of wood procurement with the Yeonggeon Diary, which records each day of construction si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2nd year of King Gojong's reign, Yeonggeon of Gyeongbokgung Palace, was a new building that reflected the old system and 270 years of changed environment on the existing site. Despite the poor economic conditions, it began with years of effort and voluntary volunteer work and dedication. Second, the priority of timber transport was recruiting people in the whole process and the supply and demand of transportation tools. Carrying lumber from the mountains to the riverside and floating it at the right time were all a matter of manpower. Soldiers and carts were used to carry timber that arrived in Hangang River to the construction site. The cart was a consumable product, so it was necessary to continuously use the wood to make cart at the site. Third, fire and flood were the biggest obstacles to the Yeonggeon schedule of Gyeongbokgung Palace. Especially the fire was fatal. It was difficult to extinguish the fire in temporary structure, where was the storage for wood to construct. These disasters greatly affected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Wood procurements of Gyeongbokgung Palace were based on public offerings. At the same time, recycled materials from other palace wood and nearby houses, nationwide buying of private mountain wood, the logging of royal tombs and some of the buildings of Gyeonghui Palace and Changgyeong Palace were relo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