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ign language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9초

한글문장-수화 번역기를 위한 사전구성 (A construction of dictionary for Korean Text to Sign Language Translation)

  • 권경혁;민홍기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41-844
    • /
    • 1998
  • Korean Text to Sign Language Traslator could be applied to learn letters for both the deaf and hard-of-hearing people, and to have a conversation with normal people. This paper describes some useful dictionaries for developing korean text to sign language translator; Base sign language dictionary, Compound sign language dictionary, and Resemble sign language dictionary. As korean sign language is composed entirely of about 6,000 words, the additional dictionaries are required for matching them to korean written language. We design base sign language dictionary which was composed of basic symbols and moving picture of korean sign language, and propose the definition of compound isng language dictionary which was composed of symbols of base sing language. In addition, resemble sign language dictionary offer sign symbols and letters which is used same meaning in conversation. By using these methods, we could search quickly sign language during korean text to sign language translating process, and save storage space. We could also solve the lack of sign language words by using them, which are appeared on translating process.

  • PDF

한국어-수화 번역 시스템 설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Koran Text to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 권경혁;우요섭;민홍기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756-765
    • /
    • 2000
  • In this paper, a korean text to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the hearing impaired people to learn letters and to have a conversation with normal people. We adopt the direct method for machine translation which uses morphological analysis and the dictionary search. And we define the necessary sign language dictionaries. Based on this processes, the system translate korean sentences to sign language moving picture. The proposed dictionaries are composed of the basic sign language dictionary, the compound sing language dictionary, and the resemble sign language dictionary. The basic sign language dictionary includes basic symbols and moving pictures of korean sign language. The compound sing language dictionary is composed of key-words of basic sign language. In addition, we offered the similar letters at the resemble sign language dictionary. The moving pictures of searched sign symbols are displayed on a screen in GIF formats by continuous motion of sign symbols or represented by the finger spelling based on the korean code analysis. The proposed system can provide quick sign language search and complement the lack of sign languages in the translation process by using the various sign language dictionaries which are characterized as korean sign language. In addition, to represent the sign language using GIF makes it possible to save the storage space of the sign language. In addition, to represent the sign language using GIF makes it possible to save storage space of the sign language dictionary.

  • PDF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Sign Language Translation

  • Cho, Jeong-Ran;Kim, Hyung-H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85-192
    • /
    • 2019
  • In the case of a hearing impaired person using sign languag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with a normal person who does not understand sign language. The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is a system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the hearing impaired person using sign language and the normal person who does not understand sign language in this situation. Previous studies on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s for communication between normal people and hearing impaired people using sign language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using video image system and shape input device. However, the existing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does not solve such difficulties due to some problems. Existing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s have some problems that they do not recognize various sign language expressions of sign language users and require special devices. Therefore, in this paper, a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devis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system.

역사적 변천에 따른 한국수어 번역의 형태와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According to Historical Changes)

  • 이준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08-524
    • /
    • 2021
  • 과학기술의 발달에 힘입은 혁신적인 번역 환경은 수어 번역의 확대 가능성과 실현성을 높이는 요소가 되고 있다. 한국수어 번역도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첫째, '한국수어 번역은 한국수어의 역사적 변천과정 속에서 언제 어떻게 나타났는가?', 둘째, '한국수어 번역의 결과로 산출된 번역의 형태와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한국수어 번역의 현황과 전망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들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대답을 찾아간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해 역사적으로 한국수어 번역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한국수어 번역의 형태와 특성은 어떠한지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수어번역 잠재기, 형성기, 확장기로 구분되는 역사적 변천과정에 따른 한국수어 번역의 형태와 특성이 나타났으며, 둘째, 한국수어 말뭉치 사업과 기계번역에 따른 한국수어 번역의 형태와 특성이 도출되었다. 아울러 한국수어 번역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전망을 제시하였다.

대한민국 정부의 코로나 19 브리핑을 기반으로 구축된 수어 데이터셋 연구 (Sign Language Dataset Built from S. Korean Government Briefing on COVID-19)

  • 심호현;성호렬;이승재;조현중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1권8호
    • /
    • pp.325-330
    • /
    • 2022
  • 본 논문은 한국 수어에 대하여 수어 인식, 수어 번역, 수어 영상 시분할과 같은 수어에 관한 딥러닝 연구를 위한 데이터셋의 수집 및 실험을 진행하였다. 수어 연구를 위한 어려움은 2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손의 움직임과 손의 방향, 표정 등의 종합적인 정보를 가지는 수어의 특성에 따른 인식의 어려움이 있다. 둘째, 딥러닝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학습데이터의 절대적 부재이다. 현재 알려진 문장 단위의 한국 수어 데이터셋은 KETI 데이터셋이 유일하다. 해외의 수어 딥러닝 연구를 위한 데이터셋은 Isolated 수어와 Continuous 수어 두 가지로 분류되어 수집되며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양의 수어 데이터가 수집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해외의 수어 데이터셋도 방대한 데이터셋을 필요로 하는 딥러닝 연구를 위해서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수어 딥러닝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대규모의 한국어-수어 데이터셋을 수집을 시도하였으며 베이스라인 모델을 이용하여 수어 번역 모델의 성능 평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을 위해 수집된 데이터셋은 총 11,402개의 영상과 텍스트로 구성되었다. 이를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할 베이스라인 모델로는 수어 번역 분야에서 SOTA의 성능을 가지고 있는 TSPNet 모델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의 실험에서 수집된 데이터셋에 대한 특성을 정량적으로 보이고, 베이스라인 모델의 실험 결과로는 BLEU-4 score 3.63을 보였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 보다 정확하게 데이터셋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한국어-수어 데이터셋 수집에 있어서 고려할 점을 평가 결과에 대한 고찰로 제시한다.

Sign Language Image Recognition System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Kim, Hyung-Hoon;Cho, Jeong-R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93-200
    • /
    • 2019
  • Hearing impaired people are living in a voice culture area, but due to the difficulty of communicating with normal people using sign language, many people experience discomfort in daily life and social life and various disadvantages unlike their desir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study a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a normal person and a hearing impaired person using sign language and implement a prototype system for this. Previous studies on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s for communication between normal people and hearing impaired people using sign language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using video image system and shape input device. However, existing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s have some problems that they do not recognize various sign language expressions of sign language users and require special devices. In this paper, we use machine learning method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to recognize various sign language expressions of sign language users. By using generalized smart phone and various video equipment for sign language image recognition, we intend to improve the usability of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멀티미디어 수화 콘텐츠의 Semantic Logic 플랫폼 연구 (A Study on Semantic Logic Platform of multimedia Sign Language Content)

  • 정회준;박대우;한경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99-206
    • /
    • 2009
  • 초고속 인터넷의 발달로 멀티미디어 수화 콘텐츠가 청각장애인의 수화교육에 활용되고 있다. 수화교육에서 사용되는 대부분 콘텐츠는 한글단어에 대한 수화표현을 수화동영상으로 보여주는 내용이다. 수화를 처음 배우거나, 수화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수화특성을 이해하기 어렵고, 수화표현에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에서 수화표현을 학습하기 위해서 수화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참고하고, Semantic Logic을 적용한 멀티미디어 동영상기반의 수화 콘텐츠 모형에 대한 플랫폼 설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3D 수화교육 스마트폰 앱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Smart Phone App. Contents for 3D Sign Language Education)

  • 정영기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권3호
    • /
    • pp.8-1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인(농아인)과 비장애인의 수화 학습의 기회를 넓히고자 스마트폰용 3D 수화교육 앱을 개발하였다. 특히 한국어 문장을 자동으로 수화구조로 변환하는 수화단어 변환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자연스러운 수화 동작을 얻기위해 모션 캡처 시스템과 정확한 손동작 표현을 위해 데이터 글러브를 이용하여 실제 사람과 같은 3D 수화 애니메이션 DB를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화 애니메이션의 움직임을 실시간 3D 렌더링하여 화면에 보여주기 위해 UNITY 3D 엔진 프로그래밍이 이용되었다. 제안한 수화교육 앱 콘텐츠는 아이폰 앱스토어와 안드로이드 앱스토어에 약 1,300단어의 3D 수화 DB를 가지는 앱으로 배포 중이다.

  • PDF

수어통역사 자격제도 운영에 대한 수어통역사, 청각장애인통역사, 농인의 인식 (Perception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Deaf Interpreters and Deaf on Operation of Sign Language Interpreter Qualification System)

  • 이준우;황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543-556
    • /
    • 2021
  • 본 연구는 현장에서 수어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어통역사와 청각장애인통역사 그리고 수어통역서비스를 이용하는 농인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여 현 수어통역사 자격제도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수어통역사 자격제도 운영의 개선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제분석 결과 각 그룹별로 세 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고 이를 다시 종합한 결과 '수어통역 역량과 전문성을 공인받을 수 있는 자격제도로의 변화'와 '한국수어와 농문화에 기초한 자격제도로의 개선'으로 정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어통역사 자격시험 관리 운영을 전담하는 상설 기관 신설', '수어통역의 전문성 및 수준과 경력이 반영된 자격제도로 개편', '모든 시험 문제와 시험의 과정을 수어 중심으로 진행', '농인이 주체가 되는 시스템', '수어통역사와 청각 장애인통역사를 위한 윤리강령 제정'을 제언하였다.

수화언어통역서비스에 대한 청각장애인의 주관적 인식 유형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 of Hearing-Impaired Persons o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 오수경;송미연
    • 재활복지
    • /
    • 제21권4호
    • /
    • pp.1-31
    • /
    • 2017
  •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에게 보다 유용한 수화언어통역서비스를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Q방법을 활용하여 청각장애인의 수화언어통역에 대한 다양한 주관적 인식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들과 심층 인터뷰를 바탕으로 39개의 진술문을 추출하고, 청각장애인 20명에 대한 Q분류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청각장애인이 많이 이용하는 기관에 수화통역사를 배치하는데 대한 공통 인식 분석과 함께, '수화언어통역의 전문화 추구형', '전통적인 수화언어통역서비스 추구형', '수화언어통역서비스 확대 및 개선 추구형' 등 차별화된 3가지 인식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주요 공공시설에 수화통역사 상주화 방안, 수화통역사 자격제도 및 교육훈련과정의 개선 방안, 영역별 전문화와 수화언어통역서비스 형태의 개선 방안, 고령층에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수화언어통역 이용자의 욕구를 반영한 수화통역사 배치 등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