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afflower seed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19초

CLA와 selenium의 투여가 닭의 체구성과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selenium on body composition and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broiler chickens)

  • 전호진;김진영;임좌진;이수한;이병한;정순욱;박희명;정병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429-43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selenium supplementation in broiler chicken diets would be effective, enhance indices of immune status and body weight, and modulate serum lipid concentration. Forty Hyline brown chickens, 1 weeks of age, were divided into 5 groups of 8 chickens. Chickens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supplemented with 1% CLA (conjugated linoleic acid; Group 1), 1% CLA + selenium (Group 2), 1% safflower-seed-oil as LA (Group 3), 1% safflower-seed-oil as LA + selenium (Group 4) or nothing (Control) for 4 weeks. After 4 weeks, serum, liver, spleen and abdominal fat were taken. Measurement of total immunoglobulin were executed using sandwich ELISA. Weight ratio of liver to body showed that the group fed with CL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fed with CLA + selenium. Weight ratios of spleen and fat to body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concentrations of serum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the group fed with CL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than that fed with CLA + selenium. In concentrations of serum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CLA with selenium protected hepatomegaly and reduced level of serum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erol in chickens.

Comparison of Seed Viability Among 42 Species Stored in a Genebank

  • Lee, Ho-Sun;Jeon, Young-Ah;Lee, Young-Yi;Lee, Sok-Young;Kim, Yeon-Gy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432-438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seed viability among 42 species after ten years of storage in the midterm storage complex ($4^{\circ}C$, 30-40% RH) at th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C) Korean genebank maintain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Republic of Korea and to suggest the relative seed longevity and suitable monitoring intervals. The germination data from initial tests and after ten years of storage were compared to measure changes in viability during storage. The decline in seed viability varied greatly among seeds from -11.5% for Triticum sp. to 80% for melon. Coriander, crowndaisy, safflower, cosmos, Chinesebellflower, waxgourd, melon, castorbean, Welch-onion, hollyhock, wild barley, and tallfescue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viability of 34.2%, 73.4%, 36.5%, 30.0%, 40.2%, 71.3%, 80.0%, 65.9%, 45.5%, 51.4%, 53.0%, and 33.5%, respectively. Gardenpea, soybean, perilla, onion, wild rice, Italian-ryegrass, and pepper showed a 15-30% decline in viability, while the viability of morningglory, adzukibean, maize, and Capsicum sp. decreased by 15% to 5%. Chicory, radish, Chinese-cabbage, bottlegourd, watermelon, cucumber, pumpkin, Cucurbita sp., groundnut, kidneybean, clubwheat, sesame, wheat, Triticum sp., rice, barley, orchardgrass, buckwheat, and wild tomato showed changes in viability of <5%. The changes in storage viability also varied within families. The wild types of rice and barley showed rapid viability loss and presented different aspects from cultivars. Since seed viability of species, classified as index 1 or 2, showed germination losses >15% after ten years of storage, a viability test should be conducted with five year intervals, while species with germination loss of <15% (in index 3 or 4) can be retested at ten year intervals.

홍화(Carthamus tinctorius L.) 씨, 순 및 꽃잎 추출물의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과 항상화 활성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wer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 김현정;전방실;김성규;차재영;조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27-1132
    • /
    • 2000
  • 홍화(Carthamus tinctorius L.)의 씨. 순 및 꽃잎의 수용성 및 메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in vitro 실험계에서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성장기 흰쥐의 뇌 micro-some을 이용한 생테막 지질 과산화 억제정도는 꽃잎 수용성 추출물(97.19%)>순 메탄올 추출물(81.38%)>꽃잎 메탄올 추출물(64.99%)>씨 메탄올 추출물(64.95%) 순으로 나타났다. Limoleic acid 산화 실험계에서는 홍화씨 메탄올 추출물과 홍화씨 수용성 추출물에서 비교적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DPPH 에 의한 수소공여능은 특히 순의 0.1% 메탄올 추출물에서 매우 높은 수소공여작용이 나타나 대조구인 BHT와 거의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들 추출물의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홍화 꽃잎 수용성 및 MeOH 추출물은 12.70% 및 8.05% 홍화씨 수용성 및 메탄올 추출물은 6.96% 및 12.34%, 홍화순 수용성 메탄올 추출물 및 메탄올 추출물이 8.75% 및 5.10%로 나타났다.

  • PDF

홍화씨 분말 및 키토산의 사료 내 첨가가 종란 생산성 및 후기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afflower Seed Powder and Chitosan on Hatching Egg Production and Eggshell Quality in Aged Egg-type Breeder Hens)

  • 김은집;신승철;유선종;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5-24
    • /
    • 2006
  • 본 연구는 종계사료 내 홍화씨 및 키토산의 첨가 급여가 산란종계에서 종란 생산성 및 후기 난각질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54주령 Hy-Line Brown 산란종계 암탉 400수와 수탉 40수를 공시하여 Ca을 3.5%로 수준으로 함유한 실험사료(대조구)에 홍화씨 분말을 0.25% 및 0.50% 수준으로 첨가하거나 키토산을 0.10% 및 0.20% 수준으로 첨가한 총 5개의 실험사료(4반복)를 6주간 급여하였다. 사료섭취량 및 난생산성에서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종란율은 대조구에 비해 홍화씨 분말 및 키토산을 첨가한 모든 실험구에서 첨가 수준과 관계없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평균 난각 강도는 홍화씨 분말 및 키토산 첨가에 의해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P<0.01), 난각 두께는 키토산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수정율 및 입란대 부화율은 대조구에 비해 키토산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P<0.01). 경골 파쇄강도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경골 내 Ca 및 P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홍화씨 분말 0.5% 첨가구와 키토산 첨가구(T3 및 T4)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혈중 estrogen, calcitonin 및 PTH 등 호르몬 농도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산란종계의 후기 난각질 및 생산성의 개선을 위해서는 사료 내 홍화씨 및 키토산과 같은 Ca의 이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후기 난각질과 부화율의 개선을 통해 종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잇꽃의 수집종간 생육특성 및 기름함량변이 (Oil Content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Collected Safflower varieties)

  • 박종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3-129
    • /
    • 2003
  • 국내 홍화 수집종의 재배적 특성과 지방산 함량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수집종의 파종 후 발아기간은 12∼13일로 수집 종간 차이가 없었으며, 발아율은 87.5%이상으로 양호하였다. 지상부 생육특성에서 초장은 파종 후 84일 이후부터는 더 이상 자라지 않았고, 엽수는 파종 후 70일 이후부터 는 증가되지 않았다. 수집종간 엽수는 17∼23매로 수집종간 6매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개화기는 파종 후 79∼90일 경으로 수집종간 11일 정도의 차이를 보였으며, 수집종 중에서 장성종이 79일로 가장 빨리 개화되었다 결실특성은 주지를 포함한 가지수가 4.7∼8.8개로 두상화수 4.8∼8.9개 와 같은 경향이었으며, 두상화당 종실수는 29.3∼49.1개 이였다 100립중은 2.9∼3.9 g으로 나타났다. 기름함량은 조지방 함량이 21. 8∼33.9%이고 , 지방산은 리 놀 렌 산 이 66.6∼77.6%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올레산이 9.2∼16.5%였으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닌산 및 아라키돈산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11개 수집종 중에서 개화기가 가장 빠르고 종실수가 많으며 조지방 함량이 33%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장성 수집종이 품종 육성에 이용할 가장 유망한 종으로 판단된다.

탈지 홍화씨박 에탄올추출물 함유 기능성 건강음료의 제조 (Preparation of Functional Healthy Drinks by Ethanol Extracts from Defatted Safflower Seed Cake)

  • 김준한;김종국;강우원;김귀영;최명숙;문광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39-1045
    • /
    • 2003
  • 탈지 홍화씨박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을 첨가한 기능성 건강음료의 제조와 유용성분을 조사하였다. 수율은 6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이 8.42%로 가장 높았고, 당도는 10.6∼ 13.8%, pH는 2.90∼3.68, 적정산도 0.10∼0.83 수준이었다. L값은 DSD-I가 94.82$\pm$2.45, a값과 b값을 DSD-V가 27.15$\pm$2.65와 28.67$\pm$2.69로 높은 값을 보였다. Glucose는 6015.3∼7918.2mg%, sucrose는 1511.4∼2091.0mg% 수준으로 음료의 주된 당으로 확인되었고, 유기산으로는 citric acid가 179.2∼981.3mg% 수준이었다. 총페놀 함량은 6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이 99.17mg%와 DSD-II 307.84mg%와 DSD-V에 224.06mg%로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에 50.29mg%와 DSD-V에 125.20mg%로 다소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Serotonin-I 함량은 8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 분말에 18.81 ppm과 음료는 2.42∼2.89 ppm 수준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Serotonin-II함량 역시 8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에 30.17 ppm과 음료는 3.79∼4.59 ppm 수준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Acacetin 함량은 amyloglucosidase 가수분해 후 6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에 9.83 ppm과 음료는 0.98∼1.26ppm 수준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EDA(%)는 amyloglucosidase 가수분해 후 6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이 93.97$\pm$2.21%와 음료는 DSD-I이 94.79$\pm$2.26%와 DSD-II가 94.69$\pm$1.37%로 BHA 100 ppm 농도 93.83$\pm$1.49%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음료의 관능평가에서는 1% 인삼추출액과 홍화 황색색소를 첨가하여 제조한 DSD-II가 전반적으로 높은 관능 점수를 얻었다.

홍화(Carthamus tinctorius L.)씨와 발아홍화씨의 화학성분 비교 (Chemical Comparison of Germinated- and Ungerminated-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Seeds)

  • 김은옥;이기택;최상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162-1167
    • /
    • 2008
  • 홍화씨를 이용한 골다공증 및 고지혈증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홍화씨의 소화성, 기능성 및 기호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발아홍화씨를 제조하여 일반성분 및 기능성성분(지방산, tocopherols, 수용성아미노산 및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홍화씨와 비교 분석하였다. 홍화씨는 발아하면서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감소한 반면, 가용성 무질소물, 조섬유소 및 회분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linoleic 및 oleic aicds가 약 80% 이상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 외 palmitic, stearic 및 arachidic acids가 주요 지방산으로 나타났고, 발아에 따른 지방산의 조성 비율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홍화씨와 발아홍화씨의 $\alpha$-tocopherol 함량은 각각 744.7 및 809.0 mg%로서 발아 후 64.3 mg% 증가하였으며, 홍화씨의 주된 아미노산으로 asparagine, arginine, proline, glutamic acid가 차지하고 있었으며, 발아함에 따라 그들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threon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phenylalanine, lysine 및 histidine 등의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홍화씨에는 3종의 리그난(8'-hydroxyarctigenin 4'-O-$\beta$-D-glucoside, 8'-hydroxyarctigenin 및 matairesinol)과 4종의 세로토닌유도체[N-feruloylserotonin 5-O-$\beta$-D-glucoside, N-feruloylserotonin, N-(pcoumaroyl)-serotonin 5-O-$\beta$-D-glucoside, N-(p-coumaroyl)serotonin] 그리고 2종의 플라보노이드(acacetin 7-O-$\beta$-D-glucuronide, acacetin) 화합물이 존재하였으며, 발아함에 따라 세로토닌유도체를 함유한 모든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홍화씨를 발아함에 따라 섬유소 및 유용 기능성성분의 증가와 더불어 설사를 유발하는 고미성분의 감소 그리고 소화성 및 기호성을 떨어뜨리는 홍화씨 껍질의 분리 및 효율성 확대를 이룰 수 있기에 향후 발아홍화씨는 항골다공증 및 항고지혈증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잇꽃 재배지대에 따른 개화 소요일수 추정 및 파종시기별 생육 특성 (Estimation of Days to Flowering according to Various Altitudes and the Effect of Sowing Dates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Safflower)

  • 최영민;문정섭;정동춘;유은애;송희경;이승윤;이진재;최소라;김홍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1-170
    • /
    • 2024
  • 본 연구는 잇꽃(Carthamus tinctorius) 4자원(재래종, IT323225, IT333473, IT333482)의 유효적산온도를 기반으로 개화 소요일수 추정과 파종시기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특성을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잇꽃 4자원은 3월 29일, 5월 3일, 5월 13일, 5월 24일, 6월 2일에 각기 파종하였으며, 생육기간 동안 기상정보수집과 생육단계 및 수량 특성을 조사하였다. 파종시기별 잇꽃 4자원의 평균 개화 소요일수는 재래종(61.0일)이 가장 짧았고, IT333482 (73.2일), IT323225 (74.0일), IT333473 (74.2일) 순이었다. 평균온도를 근거로 산출한 잇꽃 4자원의 기준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재래종 6℃, 579℃, IT323225 11℃, 766℃, IT333473 11℃, 768℃, IT333482 10℃, 750℃이었다. 산출한 유효적산온도와 최근 5년간(2019-2023년)의 일평균기온을 이용하여 재배지대(평야지, 중산간지, 산간지)와 파종시기(4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15일 간격, 10수준)별로 적용한 결과, 잇꽃 4자원은 모두 7월 15일 파종까지 개화 소요일수가 감소한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지대별 소요일수는 평야지 < 중산간지 < 산간지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수량 특성 중 초장, 분지 수, 주당 화기 수, 화기당 종자 수, 백립중, 주당 종자량은 4자원 모두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산란계 사료에 첨가된 식물유지류가 난황의 콜레스테롤 농도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lant Oils on the Cholesterol Level and on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in Hen Egg Yolks)

  • 오홍록;관야도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3-193
    • /
    • 1994
  • White Leghorn hens were fed a commercial formula feeds as a basal diet, which was supplemented with 3 types of plant oil safflower, evening primrose and pine seed, at the 10% level for 3 weeks. No significant changes was found between the basal diet and the oil feeding trials in the egg yolk cholesterol content, the laying rate, the egg weight, and the yolk weight, except the feed intake.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egg yolk lipid, however, the plant oil feedings to hens resulted in considerable increase of $C_{18:2}$ acid with a simultaneous decrease of $C_{18:2}$ acid ,and, consequently, followed by the improvement of balance with P /S and P /M /S ratio close to 1.0 and 1:1:1, which is known a desirable ratio for human health in lipid nutrition, respectively.

  • PDF

홍화자 추출물과 키토산 병용처리에 의한 경조직 재생촉진 효과 (Therapeutic Effects of Safflower Seed Extract and Chitosan on Hard Tissue Regeneration)

  • 정세영;박준봉;권영혁;김성진;박건구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9권4호
    • /
    • pp.244-248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rapeutic effects of Carthami Semen, Paeoniae Raidx extracts and chitosan on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 We found that co-treatment of methanol extracts of Carthami Semen and chitosa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growth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 However, the sigle treatment groups of the extracts showed only 20-30% of the growth increase. Alkaline phosphase activity, one of differentiation markers, was increased approximately 1.5- fold by co-treatment of methanol extract of Carthami Semen and chitosan and calcified nodule formation was also increased at the similar levels as the alkaline phosphatase. But the single treatment groups showed only 20-30% increa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thami Semen and chitosan co-treatment can be used efficiently for periodontium regene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