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native chicks(KNC)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초

당귀 부산물의 급여가 재래닭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Angelica gigas By-products of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Chicks)

  • 류경선;송근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1-265
    • /
    • 1999
  •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Angelica gigas Nakai by-products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chicks(KNC). Five hundred forty KNC were placed into 0, 0.2, and 0.4% Angelica gigas supplements with four replications between males and females. Weight gain, feed conversion ratio(FCR), breast meat lipid, fatty acid and protein contents were measured from 17 to 20 weeks old. Egg production, feed intake and FCR were examined from 22 to 29 weeks at four weeks at four weeks intervals. Basal diets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contained 15% crude protein and 2,850㎉/kg ME for the growing period, 16.5% and 2,800㎉/kg for the laying period. Experiments were designed in a one way analysis. Weight gain of female chicks fed 0.2% Angelica gigas by-product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other treatments for the growing period, but was not consistency in male groups. Moisture, protein, fat content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all treatments. Fatty acid composition(C16:0, C18:0) of chicks fed 0.2% Angelica gigas by-products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In laying period, hens fed 0.2 or 0.4% Angelica gigas Nakai by-products seemed to increase the egg production and significantly improved FCR compared to that of control(P〈0.05). Birds fed 0.4% treatment showed significantly the lowest feed intake and FCR of all treatments(P〈0.05).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ndicated that dietary supplemental Angelica gigas by-products may have a ro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KNC.

  • PDF

Determination of mixed or gender-separated feeding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chickens when compared with white semi-broilers and commercial broilers at 35 days after hatching

  • Myunghwan, Yu;Jun Seon, Hong;Yu Bin, Kim;Shan Randima, Nawarathne;Oketch Elijah, Ogola;Jung Min, Heo;Young-Joo, Yi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4호
    • /
    • pp.719-727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mixed and separate gender feeding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of Korean native chickens (KNC) compared to white semi-broilers (WSB) and a commercial broiler (CB) from hatching to 35 days. Here, 240 chicks were used with eight birds per cage in a randomized design with six replicates per breed. For the KNC lines, three groups of males (KNC-M), mixed-gender birds (KNC-FM) and females (KNC-F) were used. The two-phase feeding program used here consisted of a starter phase (days 1 - 21: crude protein [CP] 20% and metabolizable energy [ME], 3,050 kcal·kg-1) and a grower phase (days 22 - 35: CP 18%, 3,100 kcal·kg-1) for a commercial broiler. The WSB and CB were fed the only starter commercial diet. Fresh water and feed were provided ad-libitum.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KNC group had a lower (p < 0.05) body weight (BW) from day 7 and day 35 compared to that of the CB. Furthermore, the KNC group showed a lower (p > 0.05) average daily gain (ADG) relative to that of the CB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No difference (p > 0.05) was observed in the shank length among the treatments.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owth performance or carcass traits between the KNC-M and WSB groups or in the genders of the KNC group.

죽초액의 첨가가 재래닭의 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 국길;이종봉;고홍범;김광현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1년도 제18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 PROCEEDINGS
    • /
    • pp.77-79
    • /
    • 200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mboo Vinegar Liquid(BVL)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chicken(KNC) for 8 weeks. One hundreds KNC were divided into 4 groups with 5 replicates per treatment and placed in pens. Dietary levels of food waste 0%, 1%, 2% and 4% were included in experimental diets. Th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weight of KNC fed BVL supplement die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from the control group. The lipid content, cholesterol content and TBA in breast meat were significantly(P<0.05) decreased by addition of BVL. However, the addition of BVL did not affect the meat color. The 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eat was decreased(P<0.05), whereas unsaturated fatty acid was increased(P<0.05) by addition of BVL 1% and 2%. Taste of sensory evaluation was improved by addition BV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ietary supplemental BVL 1% and 2% may improve the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KNC. The prevention effect of KNC which challenged with Salmonella gallinarum (1${\times}$10$\^$9/ CFU/ml) was evaluated. A reisolation of S.gallinarum in liver, pathological index of villus and colon were evaluated. There was no reisolation of S.gallinarum in liver and a few pathological index of colon in 4% BVL supplement fed KNC than 1 and 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supplemental BVL 4% may improve the prevention effect to salmonellosis in chickens.

  • PDF

Mixed and separate gender feeding influenced the growth performance for two lines of Korean native chickens when compared to a white semi-broiler and a commercial broiler from day 1 to 35 post-hatch

  • Ogola, Oketch Elijah;Cho, Hyun Min;Hong, Jun Seon;Kim, Yu Bin;Nawarathne, Shan Randima;Yu, Myunghwan;Heo, Jung Min;Yi, Young-Joo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1호
    • /
    • pp.171-178
    • /
    • 2021
  •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ixed and separate gender feeding on growth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chickens (KNC) against a white semi-broiler (WSB) and a commercial broiler (CB) over five weeks. 576 chicks were used with eight birds per cage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18 replicates per breed. For the KNC lines, three groups of male (M), female (F) and mixed-gender (FM) were used. Fresh water and feed were supplied on an ad-libitum basis. Birds were fed a standard starter (d 1 - 22) and grower diet (d 23 - 35). Body weight (BW), feed intake, and shank length (SL) were measured weekly. From the BW and feed consumed data, the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average daily gain (ADG),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calculated. The commercial broiler showed higher performance (p < 0.05) for all the indices measured for the entire period. The CB group consumed more feed and were more feed-efficient thus grew faster. This group was followed by the white semi-broiler and the KNC, in order. An intra-breed comparison for KNCs revealed that the males showed better growth performance with longer SL (p < 0.05) compared to the female and mixed-gender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other than the breed type, mixed and separate gender feeding impacted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the two lines of Korean native chickens. Males for both lines of KNC generally performed better for the parameters measured, as determined by a greater BW and reduced FCR.

교배 조합 토종닭의 이화학적 성상 및 육질 특성 (Chemical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 박미나;홍의철;강보석;김학규;김재홍;나승환;채현석;서옥석;한재용;정재홍;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15-421
    • /
    • 2010
  • 본 시험은 토종닭의 교배 조합이 계육의 이화학적 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계는 국립축산과학원에서 토종닭(적갈색, 흑색)과 육용계의 교배 조합으로 발생된 4계통의 병아리 수컷을 A, B, C, D계통으로 구분하여 이용하였다. 각 계통에서 90수씩 선별하여 12주령까지 준육용계 사료를 이용하여 평사에서 사육하고, 일정 주령(5주, 10주)에 도달하였을 때 각 계통에서 27수씩 선별하여 개체별 생체중을 측정하고, diethyl ether로 마취시킨 후 도계하여 시험에 이용하였다. 도계된 닭들은 부분육(가슴, 다리)의 무게를 측정하고, 비율을 산출한 후 이화학적 성상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계육의 물리적 성상은 5주령에는 모든 항목에서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10주령에는 B계통이 명도, 가열 감량 및 보수력에서 다른 계통에 비해 차이가 있었다(P<0.05). 화학적 성상에서는 5주령에 B계통이 다른 계통에 비해 pH, 수분 함량 및 콜라겐 함량이 낮았으며,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았다. 회분 함량은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다. 10주령에는 A계통이 회분과 콜라겐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P<0.05), 그 외 항목은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관능검사 결과에서, 5주령에서 D계통이 다즙성에서 가장 높았고, 10주령에서 B계통이 연도에서 가장낮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토종닭의 교배 조합은 계육의 물리적 성상에는 크게 영향이 없지만, 5주령에서 화학적 성상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수분과 지방 함량은 다즙성과 연도와 관련이 있다고 추정된다.

토종 순종계를 이용한 토종닭 생산 및 생산성 연구 (The Study on Production and Performance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 박미나;홍의철;강보석;김학규;서보영;추효준;나승환;서옥석;한재용;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47-354
    • /
    • 2010
  • 본 시험은 토종닭의 교배 조합이 생산성과 도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계는 4개 교배 조합으로 발생된 3원 교잡종 초생추를 이용하였다. 시험 설계는 재래계와 육용계의 교배 조합에 의해 부화된 4계통을 각각 A(CS$\times$H), B(CH$\times$S), C(RS$\times$H), D(LH$\times$B)로 하고 암수를 구분하였으며, 계통과 성별에 따라 각각 10수씩 9반복으로 총 90수를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사료는 한국가금사양표준 (2007)에서 제시한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준육용계 사료를 육계 초기(CP 20.0%, ME 3,050 kcal/kg), 전기(CP 18.0%, ME 3,100 kcal/kg) 및 후기 사료(CP 16.0%, ME 3,150 kcal/kg)로 나누고, 자체 제작하여 공시하였다. 체중과 섭취량은 매주 측정하였고, 도체율은 각각, 5주령과 10주령에 조사하였다. 체중의 경우, 5주령까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5주령 이후부터는 D계통에서 체중이 높게 나타났다(P<0.05).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은 체중과 함께 D계통이 5주령 이후로 가장 높았으며(P<0.05), 전 기간 동안의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도 D계통이 다른 계통에 비해 높았고(P<0.05), 사료 요구율도 D계통에서 가장 낮았다. 체중, 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은 D계통을 제외한 다른 계통 사이에서 차이가 없었다(P>0.05). 생체중, 도체중 및 도체율은 5주령에는 계통간 차이가 없었으나, 10주령에는 D계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런 결과들은 한국토종닭 교잡종의 생산성적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Identific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for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native chicken

  • Jin, Shil;Park, Hee Bok;Seo, Dongwon;Choi, Nu Ri;Manjula, Prabuddha;Cahyadi, Muhammad;Jung, Samooel;Jo, Cheorun;Lee, Jun He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8호
    • /
    • pp.1134-1140
    • /
    • 2018
  • Objective: Fatty acid composi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t quality traits because it can contribute to functional, sensorial, and nutritional factors. In this study, quantitative trait locus (QTL) analyses for fatty acid composition traits were investigated in thigh and breast meat of Korean native chicken (KNC). Methods: In total, 18 fatty acid composition traits were investigated from each meat sample using 83 parents, and 595 $F_1$ chicks of 20 week old. Genotype assessment was performed using 171 informative DNA markers on 26 autosomes. The KNC linkage map was constructed by CRI-MAP software, which calculated genetic distances, with map orders between markers. The half-sib and full-sib QT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GridQTL and SOLAR programs, respectively. Results: In total, 30 QTLs (12 in the thigh and 18 in the breast meat) were detected by the half-sib analysis and 7 QTLs (3 in the thigh and 4 in the breast meat) were identified by the full-sib analysis. Conclusion: With further verification of the QTL regions using additional markers and positional candidate gene studies, these results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causative mutations affecting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KNC meat. Moreover, these findings may aid in the selection of birds with favorable fatty acid composition traits.

한국재래닭에 있어 조우성과 만우성 깃털의 발생 양상 및 형태적 특성 고찰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eather Developing Pattern and Morphology in Early- and Late-Feathering Korean Native Chickens)

  • 방민희;조은정;조창연;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55-165
    • /
    • 2018
  • 닭의 깃털은 날개깃과 꼬리깃의 발달과 형태에 따라 조우성과 만우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 병아리 성 감별법 중 조우성과 만우성을 이용하여 부화 시 깃털 발생양상의 차이에 따른 깃털감별법이 산업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재래닭에 있어 자가성감별 계통 조성을 위하여 조우성 병아리와 만우성 병아리의 분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 것으로 한국재래닭 856수를 대상으로 발생 시부터 55일령까지 병아리의 날개깃과 꼬리깃의 발달 양상과 형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K-특이 유전자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로서 조우성과 만우성 닭의 표현형과 유전자형 간의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조우성 병아리는 긴 주익우와 부익우를 가지며, 주익우와 부익우 간 확실한 길이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 만우성 병아리는 조우성 병아리보다 짧은 주익우와 부익우를 보였으며, 주익우와 부익우 간 길이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우성 병아리는 날개깃 모양에 따라 LF-Less, LF-Scant, LF-Equal 및 LF-Reverse와 같은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조우성 병아리의 주익우는 만우성 병아리에 비해 15일령까지 1.5배 정도 더 길다가 50일령에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꼬리깃의 경우, 조우성 병아리는 5일령 때 명확하게 보이지만, 동일시기에 만우성 병아리는 짧고 불명확하였다. 발생 시 주익우 길이 9 mm를 기준하여 조우성과 만우성 개체로 구분하였을 때 조우성은 96.2%, 만우성은 85.4%의 분류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재래닭에 있어 조우성 병아리와 만우성 병아리의 깃털 형태 및 발달 양상의 차이가 뚜렷하기 때문에 발생 시점에서 조우성과 만우성을 쉽게 구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재래닭 및 토착종을 활용한 토종 실용계의 생산성 연구 (The Study on Productivity of Commercial Korea Chickens for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 이명지;김상호;허강녕;김학규;최희철;홍의철;추효준;김종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91-297
    • /
    • 2013
  • 본 시험은 한국 재래계와 토착종의 2원 교배를 통하여 생산된 실용계 생산성을 연구하고자 수행하였다. 5가지 교배조합으로 생성된 암 수평아리를 각각 30수씩 총 300수를 선별하였으며, 5개의 교배조합은 A) 재래종 R계통 ${\times}$ 토착육용종 S계통, B) 토착겸용종 D계통 ${\times}$ 토착육용종 H계통, C) 토착겸용종 D계통 ${\times}$ 토착육용종 S계통, D) 토착겸용종 C계통 ${\times}$ 재래종 Y계통, E) 재래종 Y계통 ${\times}$ 토착육용종 H계통이다. 교잡종별 증체량은 A와 C 교잡종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D 교잡종의 증체량은 다른 계통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p<0.05). 사료 섭취량의 경우도 증체량과 유사하였으며, 사료 요구율은 전 기간에서 D 교잡종이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도체중 및 도체율은 D 교잡종이 다른 계통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C 교잡종의 도체중이 7주령과 10주령에서 가장 높았으며, 13주령에서는 A 교잡종이 우수한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부분육 생산 비율은 다리 30.60~33.75%, 가슴 21.48~24.72%, 날개 11.95~14.33%, 등 21.91~25.83%, 목 7.38~8.72%로 다리의 부분육 생산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생성된 5교잡종을 3원교잡이나 4원교잡종 생산의 부계나 모계로 사용하여 산육성과 산란성이 우수한 토종 실용계를 생산하는데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한국 재래계에서 초기 성장에 따른 소화기관 발달, 소장 미세융모의 소화 효소 및 간조직의 항산화 효소 발현 (Early Development of Digestive Organs, Intestinal Microvilli Digestive Enzymes, and Hepatic Antioxidant Enzymes after Hatching in Korean Native Chicks)

  • 남근희;이영빈;손시환;장인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07-116
    • /
    • 2024
  • 본 연구는 한국 재래계에서 부화 후 일령(0-d, 3-d, 7-d, 14-d, 21-d 및 28-d)에 따른 소화 장기발달, 소장미세융모의 소화 효소 및 간 조직의 항산화 효소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병아리 일령에 따른 체중과 증체량은 부화 후 0~3일령까지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지만, 3일령 이후 28일령까지 체중은 8.6배, 증체량은 281.2 g 증가하였다(P<0.05). 근위, 소장 및 간의 무게는 0~28일령까지 현저하게 증가하고, 선위 및 췌장 무게는 21일령까지 증가하였다(P<0.05). 체중에 따른 상대적 장기무게에서 선위, 근위 및 간은 3~7일령에서 최대로 증가하였고(P<0.05), 소장, 점막세포 및 췌장의 상대적 무게는 3~21일령에서 최대 발달률을 보였다. 소장 점막세포 maltase와 sucrase 특이적 활성도는 모두 0~3일령에서도 높게 유지되며, 14일령에서 최대활성도를 보였다(P<0.05). Leucine aminopeptidase(LAP) 특이적 활성도는 0일령부터 28일령까지 유의적 차이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Alkaline phosphatase(ALP) 특이적 활성도는 0일령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P<0.05), 그 이후 28일령까지 일정 수준의 활성도를 유지하였다. 간 조직에서 항산화 효소의 특이적 활성도는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GPX) 및 glutathione S-transferase(GST)의 특이적 활성도는 모두 0일령에서 가장 낮았으나 일령이 증가할수록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28일령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P<0.05). Catalase 활성도는 0일령부터 28일령까지 모두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질 과산화도(MDA) 함량은 모든 일령에서 낮았지만 21일령에서 일시적으로 증가 후(P<0.05), 28일령에서 다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한국 재래계는 부화 후 3~14일령에서 소화 장기 발달과 소화 효소 활성도가 급격히 증가하며, 간 조직의 항산화 효소는 부화 후 지속적으로 발현되며 28일령에 가장 높은 활성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