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name

검색결과 3,417건 처리시간 0.027초

게임 도메인 개체명인식과 딥러닝 의도분류를 통한 주제대화 성능향상 기술 (Topic convers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technology through game domain entity name recognition and deep learning intention classification)

  • 윤재민;지민성;신동춘;고연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241-242
    • /
    • 2021
  • 대화시스템에서 게임설명요청과 같은 주제대화의 경우, 입력문장의 의도를 정확하게 분류하는 것이 대화시스템 성능과 직결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개체명 인식 방법과 머신러닝 방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법을 제안하여, 머신러닝 방법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방법보다 주제대화의 의도 분류 성능을 향상시켰다.

  • PDF

한반도 도서 지역에 서식하는 당근류의 분류학적 고찰 (A taxonomic study on Daucus species vegetated in islands off the Korean Peninsula)

  • 이병윤;권순교;오경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87-295
    • /
    • 2004
  • 한반도의 서남 도서지역인 대흑산도에 서식하는 당근속(Daucus)식물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중심으로 하여 분류학적 재검토를 수행하였다. 또한, 대흑산도의 해안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당근류를 갯당근(Daucus littoralis Sibth. et Sm. var. koreana Nakai)으로 여러 도감에 기재되어 있어, 이들에 대한 식물명 및 분류학적 실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갯당근으로 동정되어 있는 석엽표본과 현지 조사 결과, 해안에 서식하는 당근류는 잎 및 열매의 형태에서 차이를 보여 D. littoralis가 아닌 D. carota L. subsp. carota로 밝혀졌으며 상기 아종의 국명을 당근(D. carota subsp. sativa)와 구별하기 위해 산당근으로 신청하였고, 줄기가 곧으며 갈라지지 않는 미기록 분류군인 D. carota subsp. maritimus의 국명을 선당근으로 신청하였다.

한국과 중국 조선족 여대생의 의복태도와 의복구매평가기준 비교 (Comparison of Clothing Attitudes and Clothing Purchase Criteria between Korean and Korean-Chinese College Female Students)

  • 김순심;김현식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7-6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othing attitudes and the criteria for clothing selection between Korean and Korean-Chinese college female students in the Yanbian region of China. The subjects were selected as follows: 404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Choongchung area and 242 Korean-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Yanbian region of China.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and t-tes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lothing attitudes of the total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5 factors: the fashion involving factor, the modesty involving factor, the economy conscious factor, the brand-name oriented factor, and the practical user factor. The modesty involving factor, the economy conscious factor, the brand-name oriented factor, and the practical user facto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Korean and Korean-Chinese college female students. Korean consumers thought highly of the economy conscious factor and the practical user factor compared with Korean-Chinese college female students. However, Korean-Chinese college female students thought highly of the brand-name oriented factor and the modesty factor compared with Korean consumers.

  • PDF

사상(四象) 방제명(方劑名)의 영역(英譯) 표준화(標準化)에 대한 연구(硏究) (Research on Standardization of Sasang Typology Formulae English Translation)

  • 김현구;안상영;권오민;안상우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3-115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proposes a new form of English translation in comparison with that shown in English books related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formulae which have been published up to now. Methods: This study formulated a new form of English translation guidelines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nglish translation cases listed i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d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Results: This study as a common rules suggested that names of preparation form should be placed at the very end of the formula name and the first letters of the major words of the formula name should be capitalized. In addition, for the sake of accuracy in English translation of the formula name, this study divided the formula names into 8 types. The 8 sorts of types include: (a) Materia Medica + Preparation Form, (b) Materia Medica + Indication + Preparation Form, (c) Materia Medica Numbers + Preparation Form, (d) Indication + Preparation Form, (e) Concept + Preparation Form, (f) Concept + Materia Medica + Preparation Form, (g) Concept + Indication + Preparation Form, (h) Etcetera. In these types, medicinal herbs should be written in scientific name, and translation of indication can follow Noun+~ing participle form. In case of the terms having a Korean-medicine-based meaning, this study aimed for source-oriented translation.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a general English translation method and examples of the formula names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한국의 흰꽃 피는 꽃다지속 (십자화과) 두 종 (Two white-flowered Draba (Brassicaceae) species from Korean flora)

  • 김회원;김기중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2-16
    • /
    • 2015
  • 한국의 십자화과 꽃다지속 식물 우수리꽃다지 (Draba ussuriensis Pohle)를 백두산에서 새로이 발견하여 보고한다. 본종의 특징은 꽃이 흰색이고 다년생인 점이 구름꽃다지(Draba mongolica Turczaninow)와 유사하지만, 줄기와 과경에 털이 없고 경엽의 수가 작은 점이 구름꽃다지와 다르다. 국명은 학명의 종소명에서 유래한 이름을 사용하였다. 또한 과거 백두산 및 관모봉 지역에서 자라는 구름꽃다지는 D. incana L., D. glabella Pursh, D. nipponica Makino, D. daurica DC. 등으로 혼돈하여 알려졌다. 그러나 백두산 및 관모봉에서 채집한 표본들을 조사하고 유연종들과 비교분석한 결과 D. mogolica로 밝혀져 그간 잘못 사용된 학명을 바로 잡았다. 따라서 한국산 꽃다지속 식물은 흰꽃 피는 두 종과, 노란색 꽃이 피는 꽃다지를 포함하여 총 3종이 분포한다.

훈민정음 한글발음의 성명학 적용 논점 고찰 (Consideration of Issues on the Naming Application of Hunminjeongum Hangul Pronunciation)

  • 김기승;이종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60-172
    • /
    • 2019
  • 이 연구는 현재 대부분의 한국 작명가들이 적용하고 있는 '한글 발음오행을 적용한 작명법'의 합리성을 살펴보는 연구이다. 한글 발음오행 작명법은 이름이 실제 발음으로 표현될 시에, 표현된 발음이 발음하는 사람과 그 발음을 듣는 이에게 청각적인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그 표현되는 이름의 소유주에게 좋거나 나쁜 영향을 준다는 전제하에 한글 발음이 가지고 있는 오행의 상생상극을 이용하여 작명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의 한글 발음오행 작명법에 대하여 연구자는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 발음오행 작명법의 역사적 과정, 현대 국어와의 관련성, 발음오행 작명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그 타당성 여부를 규명한다. 그에 대한 결과로서 훈민정음 창제원리 위반, 발음오행 작명의 역사적 유래, 발음오행 자체의 오류, 현대 국어의 음운법칙에 따른 오류, 발음오행을 적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 등과 그 원인을 제시하여 한글 발음오행 작명법이 불합리하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수치지도와 도로명주소지도의 통합 활용을 위한 건물 매칭 분석과 신규 건물 갱신 (Building Matching Analysis and New Building Update for the Integrated Use of the Digital Map and the Road Name Address Map)

  • 염준호;허용;이재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59-467
    • /
    • 2014
  • 최근 공공기관에서 다양한 공간 정보를 제작하고 보급함에 따라 정부기관 및 지자체 등의 구축된 공간정보를 융합하고 연계하는 일의 중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현지 조사와 별도의 측량 작업 없이 필요한 공간정보를 융합을 통해 생성할 경우 시간과 노동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예산의 이중 집행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새롭게 도입된 안전행정부의 도로명주소지도와 기존의 국가 기본도인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도2.0의 통합과 연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실제 공공기관의 공간정보 관련 업무에 도로명주소지도를 활용하도록 장려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업무에는 국가 기본도인 수치지도가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도2.0과 도로명주소지도의 통합과 연계를 위해 두 지도의 건물 레이어에 대한 매칭을 실시하고 신규 건물을 갱신하였다. 가구계 기반의 ICP(Iterative Closest Point) 기하보정을 통해 두 지도의 건물에 대한 기하학적 차이를 보정하고 계층적 군집화 기반의 다중 대응 객체 탐색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다대다 매칭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매칭기법의 정확도 평가 결과, 95% 이상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매칭 된 두 지도 데이터의 건물 레이어에 대한 통합적인 활용과 융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최신성이 높고 갱신주기가 짧은 도로명주소지도를 이용하여 수치지도의 신규건물을 갱신함으로써 융합된 공간정보를 생성하고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란계와 비산란계의 에너지대사 비교 시험 (Comparison of Energy Metabolisms between Laying and Non- laying Hen)

  • 이영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1-40
    • /
    • 1986
  • 정상적인 산란계와 란소 기능을 정지시킨 비산란계의 에너지 대사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절식시 열생산량(FHP)은 산란계 109.7Kcal/kg$^{0.75}$ , 비산란계 87.4 Kcal/kg$^{0.75}$ 이며 전자의 FHP가 약 25.5% 높았다. 2. 유지를 위한 ME요구량(MEm)에 있어서 산란계 149Kcal/kg$^{0.75}$ 에 대하여 비산란계는 135Kcal/kg$^{0.75}$ 이며 산란계가 10% 높았다. 이는 유지시라 하드라도 란생산을 계속하는 이상체내에서의 산란을 위해 대사작용이 계속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3. 생산을 위한 ME의 정미이용효율(NAME)은 산란계 77%, 비산란계 83%이었다. 이 경우 체에너지 축적이 마이너스였던 산란계의 NAME은 주로 란생산을 위한 ME 이용효율이며 또 산란이 중지된 비산란계의 NAME은 증체를 위한 이용효율에 해당된다고 생각된다. 4. 산란계와 비산란계에 있어서 각각 체중과 체에너지 축적의 회귀식으로 구한 체중 1g 증감할때의 에너지치는 산란계 3.54Kcal, 비산란계5.04Kcal 가 된다. 즉, 산란계는 비산란계에 비하여 약 70%의 에너지가를 나타내어 이들은 체에너지가 란생산을 위해 이용되는 경우의 이용효율을 나타내는 것이라 생각된다. 5. 혈청중 T$_3$ 및 T$_4$ 측정결과 T$_4$농도는 유의차가 없는데 비하여 T$_3$ 농도는 산란계가 비산란계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6. 간추출액중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 ATP citrate lyase, fructose diphosphate aldolase, isocitrate dehydrogenase 및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활성을 측정한 결과 간추출액 1mg 1분간당 분해기질을 기준으로 할 때 측정한 4개 효소활성은 산란계가 비산란계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나 간 1당 1분간 분해 기질을 기준으로 할 때 ICD와 APT citrate lyase만이 산란계의 활성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 PDF

지명을 통한 장소정체성 재현과 지명영역의 변화 : 충주지역 지명을 사례로 (The Change of Geographical Names' Territory and Representation of Place Identity with Place Names : A Case Study of Chungju Geographical Names)

  • 이영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0-12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지명연구 방법의 다양화를 위해 장소정체성과 스케일 정치 그리고 영역경합의 세 가지 개념을 사용하여 충주지역 지명의 특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먼저 장소정체성과 관련하여 새로 바뀐 충주시 '수안보면'은 이전의 지명인 상모면보다 지역이 가지고 있는 천연자원인 온천의 속성을 크게 부각시킬 뿐만 아니라 정체성의 구성 조건인 '수적 유일성'과 '질적 동일성', 그리고 '자아 동일성'을 가지고 있어 이 지역의 장소정체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둘째, 지명을 통한 스케일 정치는 스케일의 상승과 하강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는데 지명 스케일 상승의 사례로는 충주시 이류면의 옛 지명인 이안면을 들 수 있고, 하강의 사례로는 조선시대 읍호승강제에 따른 충주의 읍호승강과 1917년 행정구역개편 때 충주군현 지명이 충주면으로 축소된 경우와 일본에 의한 월악산의 한자지명의 변경을 들 수 있다. 셋째, 지명 영역변화의 사례로는 지명 표기자가 지명 영역과 더불어 변화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먼저 지명 표기자가 지명 영역과 함께 변화한 사례로는 충주시 용두동과 이류면 금곡리가 있다. 지명 표기자가 변하지 않으면서 지명 영역이 변화한 경우는 현재 충주시를 동서로 흐르는 달천을 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지명이 장소정체성을 재현하고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관심 지점 명칭의 단어와 문맥 정보를 활용한 관심 지점의 분류 (Categorization of POIs Using Word and Context information)

  • 최수정;박성배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470-476
    • /
    • 2014
  • 관심 지점이란 상점이나 공원, 음식점 등과 같이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거나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특정한 지리적 위치를 의미한다. 관심 지점은 명칭과 제공 서비스, 카테고리 등과 같은 여러 정보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보들은 위치기반 어플리케이션에서 필수적인 정보이고, 그 중에서도 카테고리 정보는 위치기반 서비스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관심 지점의 카테고리 정보를 직접 모으는 것은 많은 비용과 노력이 들기 때문에 자동으로 수집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카테고리를 자동으로 추정하기 위해서 관심 지점 명칭의 단어 정보와 제한적 주변 문맥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관심 지점 명칭의 단어에는 카테고리를 반영하는 단어들을 포함하고 있어 카테고리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단서가 된다. 제한적 주변 문맥 정보는 관심 지점의 명칭이 언급된 문서에서 명칭이 언급된 주변의 문맥을 의미한다. 명칭이 언급된 주변의 문맥에는 관심 지점의 카테고리를 추정할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어 카테고리를 추정하는 것에 있어서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우리는 제안한 모델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두 가지 데이터셋에서 성능을 평가한 결과, 각 정보를 따로 사용하여 카테고리를 추정한 성능보다 결합하여 사용한 모델의 성능이 더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