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moss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29초

고체발효에서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구연산 생산 최적화 (Response Surface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Parameters for Citric Acid Production in Solid Substrate Fermentation)

  • 김진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5호
    • /
    • pp.879-884
    • /
    • 2012
  • 본 실험에서는 Aspergillus niger NRRL 567의 고체배양을 이용한 구연산 생산 시, 물리/화학적 발효 조건인 배양 온도, 배지 pH, 접종 농도 및 수분 함량이 구연산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단일변수(one-factor-at-a-time)와 반응표면 분석법(surface response methodology)을 이용하여 순차적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단일변수 최적화의 경우, A. niger에 의한 구연산 생산은 물리/화학적 발효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발효 온도 $30^{\circ}C$, 영양 배지 pH 7.1, 수분 함량 75%와 접종 농도 $4.0{\times}10^6$ spores/ml에서 최대 구연산 생산인 98.2 g/kg DPM (dry peat moss)을 보였다. 단일변수 최적화에 근거하여 반응표면 분석법을 도입하여 2차 최적화를 수행했을 경우, 배지 pH와 수분 함량이 구연산 생산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온도 $26.5^{\circ}C$, 영양 배지 pH 9.9, 수분 함량 75.1%와 접종 농도 $6.0{\times}10^6$ spores/ml에서 최대 구연산 생산인 118.8 g/kg DPM가 얻어졌다. 이는 최적화 이전의 대조군에 비해 구연산 생산이 1.6배 증가한 결과이다.

Aspergillus niger NRRL 567을 이용한 고체배양에서 완충용액이 구연산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uffers on Citric Acid Production by Aspergillus niger NRRL 567 in Solid Substrate Fermentation)

  • 김진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5호
    • /
    • pp.874-878
    • /
    • 2012
  • 곰팡이균을 이용한 구연산 생산에 있어 액체배양의 초기 pH는 구연산 생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체배양에서 Aspergillus niger를 이용한 구연산 생산에 여러 pH의 완충용액이 구연산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최적의 완충용액을 찾고자 연구하였다. 실험에 적용된 여러가지 완충용액은 구연산 생산에 영향을 미치며 높은 초기 pH 조건에서 구연산 생산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가지 완충용액 중, phosphate (pH 8.6) 완충용액과 carbonate 완충용액(pH 10.0)이 고체발효에서 구연산 생산에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Carbonate 완충용액(pH 10.0)을 사용하여 고체배지의 초기 pH를 6.8으로 하였을 경우, 최대 구연산 생산인 564.3 g/kg solid substrate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염기 또는 산을 사용하여 고체 배지의 초기 pH를 4.42로 조정한 배지에 비해 phophate 완충용액을 사용한 pH 4.48의 고체배지에서 구연산 생산성이 1.5배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완충용액의 사용이 구연산 생산에 의한 배지의 산성화를 방지해 세포성장과 생산성을 높였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Effect of carrier concentration of ITO films on Quantum Efficiency Window in Heterojunction Silicon Solar Cells

  • Kim, Hyunsung;Kim, Sangho;Yi, Junsi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14-314
    • /
    • 2016
  •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carrier concentration on dielectric constant of ITO films were investigated by spectroscopic ellipsometry. From SE results, we find the pronounced shift of the ${\varepsilon}1$ peaks toward high energy with concentration; while contrarily, the ${\varepsilon}2$ values at low energy region increases with decreasing concentration. These shifts are attributed to the Burstein-Moss and free-carrier absorption effects within ITO films. With increases carrier concentration, the values of extinction coefficients show quite different behaviors in range of wavelength from 200 to 1200 nm. The reduction in k at ${\lambda}{\leq}500nm$, while increasing at ${\lambda}{\geq}500nm$ was observed. The QE of HJ solar cells behaviors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two regions: short-wavelengths (${\leq}650nm$) and long-wavelengths region (${\geq}650nm$). With increasing carrier concentration as well as energy band gap, QE shows improvement at short-wavelength, while at long-wavelength QE shows opposite trend. Widening band gap energy due to Burstein-Moss shift is the key to improve QE in short-wavelength; simultaneously FCA effect due to optical scattering is attributed to the reduction in QE at long-wavelength. In spite of band gap extension, Jsc calculated from QE decreases from 34.7 mA/cm2 to 33.2 mA/cm2 with increasing carrier concentration. It demonstrated that FCA effect may more govern Jsc in the HJ solar cells.

  • PDF

지베렐린($GA_3$) 처리가 Viola속 몇 종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bberelic Acid Treatment on Seed Germination of Several Viola Species)

  • 김갑태;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4-77
    • /
    • 1994
  • 원주지방 근처에 자생하는 Viola속 5종에 대한 실생번식법을 밝히고자, 1994년 봄에 종자를 채취하여 Gibberelin(GA$_3$) 5, 25 및 50ppm 수용액에 24시간 침지하였으며, 대조구로는 지하수에 24시간 침지시켰다. 처리된 종자를 1994년 5월 25일에 혼합토양(모래:peat moss :perlite: vermiculite, 1.1:1:1, v/v)을 채운 Jiffy strips에 10립씩 3반복으로 파종하여 2일에 1회씩 관수하면서 발아된 개체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흰털제비꽃의 종자발아는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다른 종들에서는 처리간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대조구와 GA$_3$처리구로 나누어 볼 때 Viola속 5종의 종자발아에 대한 GA$_3$처리 효과는 대체로 인정되었으며, 25~50ppm 농도가 효과적이었다.

  • PDF

목질계 농부산물을 이용한 고체발효에서 발효조건 최적화를 통한 구연산 생산 증대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Citric Acid by Aspergillus niger NRRL 567 Grown on Agricultural by Products)

  • 김진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3호
    • /
    • pp.402-406
    • /
    • 2014
  • 본 실험에서는 농부산물인 밀짚을 고체배지로 사용하여 Aspergillus niger NRRL 567에서 구연산 생산 시, 발효조건과 첨가제가 구연산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단일변수(one-factor-at-a-time) 최적화를 이용하여 주요 인자의 순차적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발효 72시간에서 온도, 수분함량, 입자크기, pH와 첨가제 농도를 최적화했을 때, 각각 $30^{\circ}C$, 70%, 0.5~1.0 mm, pH 5.5와 4% 메탄올 첨가조건에서 최대 구연산 생산인 206.0 g/kg 건조중량 (DM)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최적화 이전 구연산 최고 생산인 74.5 g/kg DM 대비 177% 증가한 결과이다. 최적화 실험에서 도출된 조건을 밀짚, 옥수수대와 피트모스(peat moss)에 적용하여 고체발효를 수행하였을 때, 발효 120시간에서 각각 231.8, 213.8, 240.2 g/kg DM 구연산 생산을 확보하였다. 본 실험 결과는 밀짚과 옥수수대 등의 목질계 농부산물을 이용한 구연산 생산 시, 고체발효법이 기존의 액체발효법의 대체가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ITO, AZO, SZO 박막의 수소 플라즈마에 대한 안정성 (The stability of ITO, AZO and SZO thin films in hydrogen plasma)

  • 임원택;안유신;이상기;안일신;이창효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27-234
    • /
    • 1997
  • ITO, AZO, SZO 투명전도박막의 수소 플라즈마에 대한 안정성에 관하여 연구하였 다. ITO는 Corning 사의 제품을 사용하였고, AZO와 SZO는 rf magnetron sputtering 방법 으로 증착한 것을 이용하였다. 이 세가지 투명전도박막을 PECVD 챔버 내에 장착한 다음, 수소 플라즈마에 노출시켰다. 이 때 ITO 박막의 광투과도는 시편 표면의 온도와 시간이 증 가할수록 감소하였는데 특히 $300^{\circ}C$에서 30분간 노출시켰을 때 10~20%정도의 광투과도를 나타내었으며, 박막의 전도성을 완전히 잃어 버렸다. 반면 AZO와 SZO의 경우, 수소 플라즈 마 노출 온도와 시간에 대해 전반적으로 광투과도 손실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박막내 수소의 유입으로 인하여 흡수대가 단파장 쪽으로 이동하는 'Burstein-Moss'효과가 나타났 다. 또한 표면구조에서도 AZO와 SZO가 수소 플라즈마 노출에 대해 안정성을 보인 반면 ITO의 표면은 indium과 tin의 금속입자로의 환원으로 인해 매우 거칠어짐을 보였다.

  • PDF

Far-ultraviolet study of the GSH006-15+7: A local Galactic supershell

  • Jo, Young-Soo;Min, Kyoung-Wook;Seon, Kwang-Il
    • 천문학회보
    • /
    • 제39권1호
    • /
    • pp.61.1-61.1
    • /
    • 2014
  • GSH 006-15+7 is a Milky Way supershell discovered by Moss et al. (2012). This supershell shows large shell-like structures in H I velocity maps. We have analyzed FUV emission for the supershell regions based on the FIMS and GALEX observations. Bright FUV flux at the boundaries of the supershell is mostly originated from dust scattering of FUV photons by dust clouds which was also observed at the boundaries of the supershell. We could find the distance to the supershell can be closer more than 30% compared with the distance of 1500 pc suggested by Moss et al. (2012) from the dust scattering simulation. And we also found the albedo and the phase function asymmetry factor of interstellar grains were 0.30 and 0.40, respectively. The confidence range for the albedo covers the theoretical value of 0.40, but g-factor is rather smaller than the theoretical value of 0.65. The small g-factor might mean the environment of turbulent ISM of the supershell. Meanwhile, the excess of C IV and X-ray emissions in the inside of the supershell can support the existence of hot gas and cooling in the supershell. And the C IV and X-ray emissions are monotonically decrease as away from the center of the SNR. This indicates the size of the hot bubble has considerably shrunk. We applied a simple simulation model to the PDR candidate region of the lower part of the supershell and obtained a H2 column density N(H2) = 1017.0-18.0 cm-2 and total hydrogen density nH ${\geq}$ 10 cm-3. This result shows the PDR candidate region represents a transition region from the warm phase to the cool phase in the PDR.

  • PDF

야생초류의 자원화를 위한 연구 -지베렐린($GA_3$) 처리가 몇 야생초류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for the Utilization of Wild Herbaceous Species -Effects of Gibberelic Acid Treatment on Seed Germination-)

  • 김갑태;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6-61
    • /
    • 1995
  • 강원지방에 자생하는 야생의 초본식물 6종에 대한 실생번식법을 밝히고자, 1954년 봄과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Gibberelin(GA$_3$) 25 및 50ppm 수용액에 24시간 침지하였으며, 대조구로는 지하수에 24시간 침지시켰다. 처리된 종자를 1995년 4월 23일에 혼합토양(모래:peat moss: perlite: vermiculite, 1:1:1:1, v/v)을 채운 플라스틱 화분(직경 12,높이 11cm)에 40립씩 3반복으로 파종하여 2일에 1회씩 관수하면서 발아된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1995년 5월 13일에 채취된 할미꽃 종자는 1995년 5월 31일에 처리하고 6월 1일에 묘포에 파종하였다. 향유, 금낭화 및 배초향의 종자발아는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가는 쑥부쟁이, 거북꼬리 할미꽃 등의 종들에서는 처리간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금낭화와 배초향에서는 25ppm, 향유에서는 50ppm 처리구에서 발아촉진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야생초류의 자원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PDF

토탄을 이용한 저질개선제가 꼬막 Tegillarca granosa의 혈액학적 성상에 마치는 영향 (Effects of Sediment Improvements with Peat Moss on the Blood Properties of Blood Cockle, Tegillarca granosa)

  • 이경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3-48
    • /
    • 2010
  • 토탄과 같은 자연소재를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연안 저질개선제 살포가 꼬막의 혈액학적 성상 몇 근육 글리코겐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 실험을 실시하였다. 저질개선제를 단위면적($m^2$)당 0, 100, 300, 800g의 양을 살포 후 10일 동안 숙성시킨 꼬막을 수조에 수용하여 14일 동안 사육 실험한 결과 저질개선제를 단위면적($m^2$)당 800g 살포한 구에서 48시간 후에 1개체가 폐사한 것 이외에 심험종료까지 폐사가 일어나지 않아 자연소재로 구성된 저질개선제가 생물 자체에는 직접적인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꼬막 혈액의 전혈량, 헤마토크리트값, 헤모글로빈량에 있어서는 저질개선제 살포 농도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혈액 글루코스량 및 근육 글리코겐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모듈형 식물장식을 활용한 실내공간 장식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of the Decorations Using Module Plants in Interior Spaces)

  • 이종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62-6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ethods of the decorations using module plants in interior spaces. This research produced 18 types of the module plant decoration: considering the classifications of module plants(soil, hydroculture, moss), directions of module plants (up, side, down), assembling ways of module plants (horizontal, vertical). Applying these 18 types to the interior space decoration (floor stand, wall attach, ceiling hanging), 54 types were classified. After that, 150 cases of the decoration using module plants in interior spac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result, the cases were belong to 25 types of 54 types. The important types were the types to be able to decorate wide area of walls or ceilings without occupying floor area: SOIL-UP-VERTICAL, HYDROCULTURE-UP-VERTICAL, MOSS-SIDE-VERTICAL. These types were the decorations with function of bio-filter for air cleaning. Special types were SOIL-SIDE-HORIZONTAL, SOIL-SIDE-VERTICAL with soil developed not to pour and SOIL-DOWN-HORIZONTAL, SOIL-DOWN-VERTICAL with lucks not to pour soil. Plants will be used widely in interior design because of the awareness of eco-friendly design. The strength that module plants are portable, changable, able to exchange parts helps users to maintain plants in interior spaces. For designers, module plants are flexible materials in order to make variety of forms to adjust to interior spac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bout methods of the decorations using module plants in interior spaces are useful to designers who want to design interior spaces eco-friendly and user-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