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mathematics books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7초

수학교양도서와 웹 2.0지도(구글맵) 매쉬업을 통한 수학 이야기 지도 만들기 프로그램 개발 (A Study on Development of Program connecting with math-story books and web 2.0map(Google map))

  • 김상미;권오남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443-458
    • /
    • 2011
  •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수학교과에 대한 가치인식의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관련 입시의 수단으로서만 수학교과를 인식하고 있는 대다수의 학생들에게 수학교과의 실용성과 역사성을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생활 속의 수학과 수학사가 담겨있는 수학교양도서는 수학교과의 실용성과 역사성을 인식할수 있는 효과적인 매체로 기대된다. 더불어 생활 속의 수학과 수학사를 생활 맥락에 연계하여 표현할 수 있는 매체로 웹 2.0지도가 있다. 수학교양도서의 생활맥락 수학이야기를 웹 2.0지도에 나타내는 능동적인 스토리텔링과정을 통해 수학교과의 실용성과 역사성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수학교양도서와 웹 2.0지도는 개인의 역량에 따라 표현해 낼 수 있는 산출물의 수준과 과제수행 속도가 다양하여 교과시간에 운영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다. 그러나 '09 개정교육과정으로 도입된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다면 이러한 어려운 점을 다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웹 활용 체험학습 교수설계모형의 절차에 따라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학교양도서와 웹 2.0지도(구글맵)의 매쉬업을 통한 수학 이야기 지도 만들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학 교과의 실용적이고 역사적인 가치 인식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루카 파치올리 (Luca Pacioli)

  • 김성숙;강미경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3-190
    • /
    • 2016
  • Luca Pacioli was a Franciscan friar, a prolific writer, a devoted teacher, a mathematician and a close friend of Leonardo da Vinci. He is also known to be the"father of accounting". He is best remembered for his two books on mathematics: "Summa de Arithmetica Geometria Proportioni et Proportionalita" and "De divina proportione". These two books, which were printed in the field of mathematics for the first time by using Gutenberg's printing technolog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in Europ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various aspects of his life and mathematical contribution of Pacioli based on these two books.

PERIODIC SURFACE HOMEOMORPHISMS AND CONTACT STRUCTURES

  • Dheeraj Kulkarni;Kashyap Rajeevsarathy;Kuldeep Saha
    • 대한수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28
    • /
    • 2024
  • In this article, we associate a contact structure to the conjugacy class of a periodic surface homeomorphism, encoded by a combinatorial tuple of integers called a marked data set. In particular, we prove that infinite families of these data sets give rise to Stein fillable contact structures with associated monodromies that do not factor into products to positive Dehn twists. In addition to the above, we give explicit constructions of symplectic fillings for rational open books analogous to Mori's construction for honest open books. We also prove a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Stein fillability of rational open books analogous to the positivity of monodromy for honest open books due to Giroux and Loi-Piergallini.

조선(朝鮮) 간본(刊本) 《상명산법(詳明算法)》의 원문서지적(原文書誌的) 분석(分析) (A Textual Bibliographic Analysis on the block books 《Xiangming Suanfa》 pu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 이은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81-222
    • /
    • 2020
  • 《Xiangming Suanfa》 is a mathematics text published in 1373. The preface and postscript of the block books 《Xiangming Suanfa》 in the Joseon Dynasty were published as they had been in the original text from China. It can be considered to be based on 《Xiangming Suanfa》 was published in Mingjingtang. The five different block books which is published in Korea, possessed in Yonsei University Library, Sanghuh Memorial Library of Konkuk University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ere compared. Through recension-correction of the text, this thesis is intended to help researchers in utilizing the research by providing fine print.

남.북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A Study of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North Korean Elementary School′s Educational Process and Text Books in Mathematics)

  • 조국행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207-218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help the teachers in school to widen the knowledge and to understand the North Korean society by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 and North Korean elementary school's mathematics education process and text books. It is needless to say that we need to have mor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North Korea as the international and national situation is changing so rapidly these day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understand North Korea is to understand their education. So, 1 wrote this thesis as a way of getting ready for the united Korea by knowing mathematics texts and their system, composition,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in North Korea If this little try is going to be a help in anyway, I will try to do a better study in future.

  • PDF

수학 기초학력 부진아 지도를 위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방안 탐색 - 초3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기초 수학 결과 분석 - (In Search of Improvement Schemes on Textbooks and Teacher Guide Books for Low Achievement Students in Mathematics : A Careful Analysis of the Results of Korean Elementary 3 Grade Students National Diagnosis Assessment on Basic Scholastic Ability in Area of Mathematics)

  • 조영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1호
    • /
    • pp.69-88
    • /
    • 2006
  • 학습 수준이 낮은 학생들일수록 교육 내용의 조직이나 제시 방식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교육 내용의 조직이나 제시 방식의 미묘한 차이에 따라 학습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2004년에 실시된 초등학교 3학년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한 영역인 기초 수학의 평가 결과를 토대로 하여, 동일한 성취기준에 속한 평가 문항일지라도 그 조직과 제시 방식에 따라 학생들의 정답률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알아보았으며, 그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수학 기초학력에 미도달한 학생집단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한 분석 내용에 비추어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현행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및 부진아를 대상으로 한 교재 집필에 유용하다고 여겨지는 구체적이면서 실질적인 지침을 제시하였다.

  • PDF

중국 및 조선시대 산학서에 나타난 원주율과 원의 넓이에 대한 고찰

  • 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6
    • /
    • 2003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Chinese and Korean evaluate $\pi$ and measure tile area of circle by reviewing the problems in the old mathematical books. The books are Gu-Jang-San-Sul(The nine chapters on tile mathematical art) for China and Gu-Il-Jib for Chosun Dynasty. The result shows that our ancestors used the different values of ${\pi}$ in relation to the accuracy and the various methods for measuring the area of circle.

  • PDF

초등 수학 교재에서의 계산 오류 활용 실태 분석 (Analysis of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Workbooks, and Teachers's Guide Books in respect of Using Computational Error Patterns)

  • 이영선;김수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6권4호
    • /
    • pp.345-359
    • /
    • 2004
  • 본 연구는 기존의 계산 오류 연구 결과가 초등수학 지도에 적극 활용되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계산 오류 연구 결과가 최근의 초등 수학 교재에서 어느 정도 반영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미래 교재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재의 분석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제6차와 7차 교육과정의 수학 교과서, 수학 익힘책, 그리고 교사용 지도서를 계산 오류 활용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교과서에서는 제6차와 7차 공통적으로 계산 오류가 활용되지 않았으며, 7차의 경우는 수학 익힘책, 교사용 지도서에서도 그 활용도가 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토대로 차기 교육과정에서의 수학 교재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 PDF

묵사집산법(?思集算法)에 수록된 퇴타개적문(堆?開積門)의 현대적 재구성 및 수학교육적 활용 방안 (A Modern Reconstruction of the Problems on the Sums of Sequences in MukSaJipSanBup and its Pedagogical Applications)

  • 양성현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9
    • /
    • 2020
  • Under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mathematics teachers can help students inductively express real life problems related to sequences but hav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problems asking the general terms of the sequences defined inductively due to 'Guidelines for Teaching and Learning'. Because most of textbooks mainly deal with the simple calculation for the sums of sequences, students tend to follow them rather than developing their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through finding patterns in the sequences. In this study, we reconstruct 8 problems to find the sums of sequences in MukSaJipSanBup which is known as one of the oldest mathematics book of Chosun Dynasty, using the terminology and symbols of the current curriculum. Such kind of problems can be given in textbooks and used for teaching and learning. Using problems in mathematical books of Chosun Dynasty with suitable modif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is a good method which not only help students feel the usefulness of mathematics but also learn the cultural value of our traditional mathematics and have the pride for it.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 제시된 분배법칙 지도내용 분석 (The Analysis of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books with Respect to Distributive Principles)

  • 김미환;이수은;김수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3호
    • /
    • pp.451-467
    • /
    • 2017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및 익힘책에 분배법칙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차후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분배법칙 지도가 철저한 중국과 일본 교과서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과서 분석을 위한 다섯 가지 준거를 마련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교과서와 익힘책이 여러 가지 측면에서 분배법칙을 효율적으로 다루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분배법칙을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에 명문화하고,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명시적으로 다루는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