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honey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24초

木瓜片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Texture 특성 (Texture Characteristics of Mokwapyun as affected by Ingredients)

  • 이지연;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86-393
    • /
    • 1994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most favorable recipe for Mokwapyun. The ingredients were changed in a variety aspects. The kind and amount of sugar and starch are following: white sugar, brown sugar, honey(4T, 5T); white sugar and honey, brown sugar and honey(2T+2T, 3T+1T, 3T+2T). There are potato starch and mungbean starch. In this, the amount of starch to water are 4t to 3t and 5t to 3t. The moisture content of Mokwa was 76.23%, and that of Mokwapyun made of mungbean starch 41~50%, and the Mokwapyun made of potato starch was 38~47%. The pH of Mokwa juice was 3.15~3.43. The brix of Mokwa juice was 5.3%, and that of Mokwapyun made of potato starch was 43.1~45.9%, and the Mokwapyun made of mungbean starch was 40.1~46.5%. Mokwapyun tasted the best when it was made of potato starch(starch to water=4t to 3t) mixed white sugar(3T) and honey(1) than that of made of one kind of sugar, and was higer evaluated the texture.

  • PDF

2011년 시판된 벌꿀 중 amtraz, bromopropylate, coumaphos, cymiazole 모니터링 (Nonitoring of amitraz, bromopropylate, coumaphos, cymiazole in honey samples sold in 2011)

  • 이원만;류재정
    • 분석과학
    • /
    • 제26권1호
    • /
    • pp.1-10
    • /
    • 2013
  • 많은 양봉업자들이 그들의 벌을 보호하기 위해 동물성의약품들을 사용한다. 우리나라에서 벌에 사용되는 동물성 의약품은 아미트라즈, 브로모프로필레이트, 쿠마포스, 시미아졸 등이다. 2006년 중반에 한국 정부에서는 아미트라즈와 쿠마포스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을 각각 0.2, 0.1 ppm으로 설정하였다. 해마다 양봉환경이 변하고 있으므로 꿀 속의 동물성 의약품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에 지역시장이나 인터넷을 통해 모은 10개 벌꿀 시료들에 대하여 아미트라즈, 브로모프로필레이트, 쿠마포스, 시미아졸 잔존량을 HPLC-DAD로 조사하였다. 조사한 10종의 벌꿀에서는 살충제로 사용되는 이들 성분이 25 ppb 이상으로는 검출되지 않았다.

등검은말벌과 꿀벌의 장내 세균 군집 비교 (Intestine Bacterial Microbiota of Asian Hornet (Vespa Velutina Nigrithorax) and Honey Bee)

  • 김의연;서정원;양소희;김인선;구연종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5-140
    • /
    • 2018
  • 한국에서 말벌은 양봉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종이다. 특히 비교적 최근에 전국적으로 번식하는 말벌 종인 등검은말벌 (Vespa velutina nigrithorax)은 작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냥 능력으로 꿀벌을 공격하여 양봉 업계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그러나 이 새로운 침입 종에 대한 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에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등검은말벌의 장내 박테리아 군집을 조사하고 이 결과를 꿀벌의 장내 박테리아 군집과 비교하여 등검은말벌의 방제를 위한 자료로 이용하고자 했다. 아시아 말벌과 꿀벌 장의 박테리아 게놈 DNA를 수집하여 16S rDNA를 증폭시켜 가변 부위인 V3, V4 염기서열을 판독 하였다. 계통별 분석결과 목 (order) 수준에서 Flavobacteriales는 등검은말벌에서 가장 우점인 박테리아였고, Aeromonadales와 Pseudomonadales가 그 뒤를 이었다. Flavobacteriaes는 꿀벌의 박테리아 군집과 비교했을 때 등검은말벌에서 증가하였으며, Aeromonadales와 Pseudomonadales는 우점종이지만 꿀벌에 비해 낮은 점유율을 보이는 등 두 개체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번 연구를 통해 이전에 동정되지 않은 등검은말벌 장 박테리아의 16S rDNA 염기 서열을 분석하였고, 이들 박테리아는 Thalassomonas, Caedobacter, Vampirovibrio, Alkaliphilus 및 Calothrix 속으로 분류되었다.

꿀벌에 기생(寄生)하는 Nosema apis의 병원성(病原性)과 발육단계(發育段階)에 관한 연구(硏究) (Experimental Studies on Pathogenicities and Developmental Stages of Nosema apis(Zander, 1909))

  • 강영배;김동성;장두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25
    • /
    • 1976
  • Studies on pathogenicities and developmental stages of Nosema apis (Zander, 1909) were carried out through artificial infection to Nosema free honey bees with various levels of spores isolated from local honey bee colon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linical symptoms were observed as dysentery, enteritis of mid-gut (enlargement and decoloration), crawling posture and shortening of the longevity of worker bees in the rearing honey bee colony inoculated with the spores. 2. Number of spores harvested from laboratory rearing honey bees were progresively increased to 4 weeks after inoculation. The regression equations and coefficients of correlations to various spore levels were as follows in each treatment colony. Colony 1. ($$1,000{\times}10^4spores/ml$$) $$y_{c1}=471{\times}10^{4}x+454{\times}10^4(r=0.65^*$$) Colony 2. ($$500{\times}10^4spores/ml$$) $$y_{c2}=340{\times}10^{4}x+207.8{\times}10^4(r=0.99^{**}$$) Colony 3. ($$100{\times}10^4spores/ml$$) $$y_{c3}=150{\times}10^{4}x+84.2{\times}10^4(r=0.99^{**}$$) Colony 4. ($$10{\times}10^4spores/ml$$) $$y_{c4}=13.8{\times}10^{4}x+13{\times}10^4(r=0.98^{**}$$) 3. Average longevity of worker bees artificially infected with Nosema apis was shortened as 21.7~43.8% compare to the control. (p<.05, p<.01) 4. The spores which were isolated from honey bee colony infected with Nosema disease were ovoid or spherical form, and measured, as a rule, from $4.7{\mu}m$ to $6.1{\mu}m$ (mean $5.3{\mu}m$) in length and from $2.4{\mu}m$ to $3.2{\mu}m$ (mean $2.9{\mu}m$) in width. 5. In the mid-gut of honey bees, the spore was progresively germinated and became trophozoite stage. The trophozoites were grown to meronts and their binary fission were begun. The divided two sporoblasts were developed to the spores which had elastic membrane. The new spores were shed in excreta of honey bees 10~15 day after inoculation at $25{\pm}2$ centigrade. 6. The ultrastructure of spore membrane consisted of three layers, such as, outer, middle and inner layer. The sporoplasm consisting lamellar structure occupied only anterior part of the spore and was often extended to posterior direction where definite vacuoles and a polar filament was able to detect.

  • PDF

아까시나무 밀원식물단지 적지 선정을 위한 위성영상과 GIS의 응용기법 (Application Method of Satellite Image and GIS for Suitability of Black Locust Forest as Honey Plant Area)

  • 조명희;김준범;조윤원;백승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7-37
    • /
    • 2001
  • 위성영상과 GIS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sia L.) 서식지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해석하고 아까시나무 밀원식물단지의 최적지를 선정함으로서 밀원식물단지 조성을 위한 과학적인 공간분석기법의 기초를 구축하였다. 다양한 공간분석을 위하여 지형(고도, 경사, 사면방향) 수계, 토양, 임상, 토지피복 및 기상(온도, 습도, 강수량)등의 자연환경 자료와 도시, 도로 등의 인문환경 자료를 이용하였다. 선형조합법과 요소조합법을 이용한 도면중첩법 분석결과 영천시의 아카시나무 최적지는 고경, 임고, 청통, 화남면 등의 지역으로 선정되었다. 아울러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하여 영천지역의 아까시나무 밀원단지 적지분석을 수행한 결과 생장가능지역에 대한 현재의 분포는 42.53%, 최적지 지역은 26.77%로 나타났으며 영천시 전체 면적 중 아까시나무 밀원단지 최적지 면적은 $15.79km^2$로 분석결과 산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위성영상과 GIS 응용기법은 아까시나무 밀원식물단지 적지선정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벌꿀의 조성(組成)과 저장중(貯藏中)의 Diastase 및 Hydroxymethylfurfural함량변화(含量變化) (Composition, the Changes of Diastase Activity and Hydroxymethylfurfural Content During Storage of the Various Honey Samples)

  • 한제경;김관;김동연;이상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55-162
    • /
    • 1985
  • 양봉밀과 토종봉밀의 일반성분, 당, 유리아미노산 조성, 저장중의 diastase활성도 및 HMF 변화는 다음과 같다. 일반 성분 중 조회분은 밤꿀이 0.46%로 다른 벌꿀에 비하여 많았고, 조단백질은 양봉밀이 평균 0.10%로서 토종봉밀에 비하여 약 3.2배가 많았다. 무기물은 밤꿀에 있어서 Ca이 2.07mg%, P이 6.81mg%, Fe이 2.70mg%로 가장 많았다. 저장 중 diastase활성도 변화에 있어서 $4^{\circ}C$ 또는 $20^{\circ}C$저장 온도에서의 단기간 저장으로는 그의 활성도가 거의 감소되지 않았으며, $70^{\circ}C$에서 30분간 가열처리로 효소의 활성도가 감소되었으나 이를 $20^{\circ}C$에 저장 하였을 때는 그렇지 않은 것과 거의 동일 하였다. 양봉밀의 평균 당조성은 fructose 40.20%, glucose 32.43%, sucrose 1.09%, fructose/glucose 비는 1.24였다. 또한 토종봉밀은 fructose 37.37%, gluctse 31.92%, sucrose 0.74%였으며 fructose/glucose비는 1.19였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은 총 16종을 확인하였는데 그 중 proline함량이 가장 많아 그 함량은 총 유리아미노산의 39.59-46.86%를 차지하는 14.02-14.40mg%였다. 그러고 밤꿀에서 Phe 이 3.28mg%로 9.26%를 차지하였으며 광양산의 토종봉밀에서 Asp가 2.76mg%로 8.98%를 차지하였다. 저장 중 HMF 함량변화는 $4^{\circ}C$ 저장에 서는 거의 없었으나, $20^{\circ}C$, 80일간의 저장에서 밤꿀이 0.470mg%, 아카시아꿀이 0.336mg%, 유채꿀이 0.164mg%, 토종봉밀인 광양산이 0.426mg%, 광주산이 0.259mg%, 운봉산이 0.117mg%로 증가되었다. 또한 $50^{\circ}C$에서 3주간 저장으로 유채꿀이 8.71mg%, 아카시아꿀이 7.79mg%, 밤꿀이 5.35mg%증가되었다.

  • PDF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 (L.)] 사육을 위한 경제적 인공사료 개발 (Development of Economical Artificial Diets for Greater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L.))

  • 이승욱;이동운;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85-392
    • /
    • 2007
  • 본 연구는 꿀벌부채명나방의 경제적 사육을 위한 인공사료 개발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가격이 비싼 벌꿀을 대체하여 물엿과 설탕을 이용한 사료별 꿀벌부채명나방의 발육과 발육기간 및 산란수, 성충 수명 등을 조사하였다. 당 종류별 유충의 두폭과 체장은 비슷하였으나 체중은 1/2벌꿀 + 1/2물엿 처리가 255.5 mg으로 가장 무거웠고, 설탕은 144.3 mg으로 가장 가벼웠다. 꿀벌부채명나방 번데기의 체중도 1/2벌꿀+1/2물엿이 196.7 mg으로 가장 무거웠다. 당 종류별 꿀벌부채명나방의 유충 발육기간은 벌꿀이 포함된 사료가 30.9일로 가장 짧았으며 설탕은 36.5일로 가장 길었다. 꿀벌부채명나방의 용화율과 우화율은 79.3% 이상이었다. 모든 사료에서 꿀벌부채명나방의 교미 성충의 수명은 암컷이 $6.3{\sim}8.0$일이었고, 수컷은 $7.9{\sim}11.2$일이었다. 사료별 꿀벌부채명나방 암컷 성충의 산란수는 설탕물 첨가 사료에서 1,269개로 가장 많았다. 당 종류별 인공사료 조성에 대한 비용은 밀기울이 쌀겨보다 10배 정도 많았으며, 벌꿀은 물엿과 설탕의 6배와 13배였다.

Flavonoid in Clover Honey Exerts a Hypnotic Effect via Positive Allosteric Modulation of the GABAA-BZD Receptor in Mice

  • Han, Kyoung-Sik;Yang, Hyejin;Yoon, Minseok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64-1369
    • /
    • 2017
  •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natural sleep aids due to various side effects of long-term administration of 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insomnia. Honey has been reported to exhibit numerous potential health benefits, and it is hypothesized that honey may favorably affect insomnia treatment.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hypnotic effect of clover honey (CH) and to determine its in vivo mechanism. The total flavonoid content (TFC) of CH and fractions extracted with ethylacetate (EtOAc) and $H_2O$ was measured. The pentobarbital-induced sleep test using $GABA_A$-benzodiazepine (BZD) agonists and antagonist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otential mechanism of action behind the sedative-hypnotic activity of CH in mice. The results showed that administration of 500 and 1,000 mg/kg of CH significantly (p<0.01) reduced the sleep latency to a level similar to that of diazepam (DZP, 2 mg/kg), and 1,000 mg/kg of CH significantly (p<0.01) prolonged the sleep duration, which was comparable to that of DZP (2 mg/kg). Administration of the EtOAc fraction with a higher TFC significantly reduced the sleep latency at 50 to 200 mg/kg and prolonged the sleep duration at 100 to 200 mg/kg, which were comparable to those after administration of DZP (2 mg/kg). However, co-administration of CH and EtOAc with flumazenil, a specific $GABA_A-BZD$ receptor antagonist, blocked the hypnotic effect.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hypnotic activity of CH may be attributed to allosteric modulation of $GABA_A-BZD$ receptors. The TFC of CH is expected to be a key factor that contributes to its hypnotic effect.

꿀벌의 Nosema 병(病)에 관한 연구(硏究) 1. 원인체분리(原因體分離) 및 감염실태조사(感染實態調査) (Studies on Nosema Disease of Honey Bees 1. Isolation of Nosema apis and a Survey of Nosema Disease in Honey Bees)

  • 서명득;김창섭;강영배;김동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79-285
    • /
    • 1975
  •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solate the etiogical agent and to survey the distribution of Nosema disease in honey be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etiological agent of the so-called "crawling disease" in honey bees characterized by the symptoms of crawling, diarrhea, and enteritis etc. was first isolated and identified with Nosema apis (Zander 1909) in Korea. 2. 455 colonies were randomely sampled and surveyed in 4,766 bee colonies out of 56 apiaries and 51 colonies (11.2%) out of 455 bee colonies were infected with N, apis. 3. Infection rates according to the period of honeyflow as follows: Brassica napus (Apr.): 25/130 colonies (18.4%) Rohinia pseudoacacia (May) : 8/55 colonies (14.%) Trifolium repels(Jun.): 15/99 colonies (13.6%) Castanea crenate (Jul.): 3/46 colonies (6.5%) Lespedeza bicolor(Aug.): 0/60 colonies (-) Fagopyrumesculentum(Sept.) & Perilla frutescens(Oct.) 0/65 colonies (-) 4. The typical clinical signs of Nosema disease were appeared on loth day after N. apis was orally administered with the level of $16{\times}10^4$ spores/ml to the healthy adult bees. Spores could be harvested with the level of $121{\sim}236{\times}10^4$ spores/ml on 10th day and $392{\sim}429{\times}10^4$ spores/ml on 15 days after infection. 5. In adult honey bees infected with N. apis artificially the 50% lethal day of life-span was 9 to 10 days and 100% lethal day was 16 to 19 days. However, in the control 50% lethal day was 19 to 23 days and 100% lethal day was 31 to 33 days.

  • PDF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벌꿀의 품질평가 (Determination of Honey Quality by Near Infrared Spectroscopy)

  • 조현종;하영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56-360
    • /
    • 2002
  • 다양한 품질특성을 가지는 230점의 벌꿀시료를 선발하여 품질평가 요소에 대한 각각의 검량식을 작성하였으며, 검량식 평가를 위한 벌꿀시료는 50점을 사용하였다. 근적외선 스펙트럼에 대한 수학적 처리를 하여 검량식을 얻었으며 회귀분석방법은 PLS법이 가장 적합하였다. 이화학적 분석과 NIR을 이용해 얻은 분석치를 비교한 결과 수분의 RSQ는 0.997, SEP는 0.10%로 매우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fructose와 glucose는 RSQ가 0.926, 0.951로 나타났으며 SEP는 각각 0.54%, 0.52%이었으며, sucrose와 maltose는 SEP가 각각 0.25%, 0.22%로 나타났다. HMF의 SEP는 2.96 mg/kg이었으며 산도는 SEP가 0.73 meq/kg이었다. 탄소동위원소비율은 SEP가 $1.08{\textperthousand}$로 오차가 컸으나 RSQ값이 0.950으로 비교적 안정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으로도 꽃꿀의 순도를 판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