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atfish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5초

차넬메기의 산란 유도 (Induced Spawning of 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 (Teleostomi : Siluriformes))

  • 김동수;최경철;김인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5-30
    • /
    • 1990
  • 차넬메기(Ictalurus punctatus)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양식어종이나 우리나라의 경우 대량산란이 이루어지지 않아 아직 양식 대상종으로 각광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차넬메기를 염색체공학 기법을 이용, 배수체를 생산하기 위한 일환으로 온도자극과 호르몬처리를 통해 산란을 유도하였다. 그 결과 처리하지 않은 군은 산란하지 않은 반면 온도자극시, $24^{\circ}C$로 부터 $30^{\circ}C$$6^{\circ}C$를 증가시킨 군이 $24^{\circ}C$ 부터 $27^{\circ}C$까지 온도를 증가시킨 군보다 약 4배 정도의 높은 산란유도율을 보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호르몬 중 잉어뇌하수체를 어체중 1 kg당 4.4mg의 농토로 1$\~$3회 주사한 군은 $78.6\%$의 산란유도율을 보였고, human chorionic gonadotropin을 어체중 1kg당 1,100 IU의 농도로 1$\~$3회 주사한 군은 $66.6\%$의 산란유도율을 나타내었다.

  • PDF

In vivo Effects of Di-n-butyl Phthalate and Di-2-ethylhexyl Phthalate on the Nonspecific Defense Mechanism of the Bagri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 Masroor Fatima;Jee Jung-Hoon;Keum Yoo-Hwa;Kang Ju-Ch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9권1호
    • /
    • pp.14-21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 vivo toxicity and effects of two phthalate esters (PEs), di-n-butylphthalate (DBP) and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on the immune system of the bagri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Groups of experimental fish were subjected to daily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300 or 1000 mg $kg^{-1}$ of DBP or DEHP for 3 days, and the cellularity and functional activity of phagocytes were measured in the spleen and pronephros (head kidney). The number of spleen leukocyte cell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in response to low and high doses of DEHP and DBP, respectively; however, the cellularity of the pronephros was more susceptible to higher dose of DEHP than DBP. Nonspecific immunity, as determined by the phagocytic index (PI) and phagocytic capacity (PC), was significantly depressed by DEHP at 1000 $1000mg\;kg^{-1}\;day^{-1}$ in the pronephros at 3 days after injection. Furthermor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levels of serum glutamic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and 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GPT) indicated marked hepatic dysfunction in immunosuppressed fish. Treated fish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otal serum protein but no significant alteration in lysozyme activit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sensitivity of the fish immune response for predicting PE-induced immunotoxicity.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Teleostomi : Siluriformes)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Cytogenetic Analysis of Bagri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Teleostomi : Siluriformes))

  • 박인석;이충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15
    • /
    • 1996
  •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의 염색체수는 2n=52(1~9번 중부염색체 : 상대길이 2.89~6.22, 완비 1.09~1.58 ; 10~22번 차중부염색체: 상대길이 2.88~5.88, 완비 1.80~3.65; 23~26번 단부염색체 : 상대길이 2.63~3.30, 완비 9.01~10.67)였으며 fundamental number는 104이였다. 이형의 성염색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적혁구를 대상으로한 간 측정, 계측 항목에서 암 수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p<0.05), 적혈구 세포와 핵의 크기는 각각 $11.03{\times}9.67{\mu}m$$4.18{\times}3.66{\mu}m$이였다. 암 수에서 적혈구 수는 $6{\sim}7{\times}105/ml$이였다. 아가미 조직에서 인 계수시 1개 혹은 2개의 인형성부위가 나타나 2배체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한국산 민물어류에 기생하는 Orientocreadium 속 흡충류 : Orientocreadium koreanum sp. nov. 및 O. pseudobagri Yamaguti, 1934 (Two Korean Digenetic Trematodes : Orientocreadium. koreanum sp. nov. and O. pseudobagri Yamaguti 1934(Orientocreadiidae) from Freshwater Fishes)

  • 김기홍;임한종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1-90
    • /
    • 1995
  • 한국산 민물어류에 기생하는 연충류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2종류의 흡충류를 동정, 분류하였다. Orientocreadium koreanum n. sp.는 퉁가리의 장에서 검출된 신종이며, O. pseudobagri Yamaguti, 1934는 동자개의 장에서 검출된 한국산 미기록 종이었다. Orientocreadiidae과의 분류학적 문제점들에 관해 고찰하였으며, 분류된 2종에 대해 기존의 기록종들과의 차이점들을 상세히 논하였다.

  • PDF

한국산 동자개과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III. 골격형질의 다변량 분석 (Systematic Studies on the Bagrid Catfish (Siluriformes: Bagridae) from Korea III. Multivariate Analysis of Osteological Characters)

  • 이충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2-257
    • /
    • 1989
  • 우리 나라 서남해안에 유입되는 하천에 주로 서식하고 있는 동자개과 어류 110 개체의 골격표본을 중심으로 12개 골격형질을 추출하여 이들의 분류학적 위치와 계통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동자개과 어류는 종전의 4속에서 2속으로 즉 Pseudobagrus속과 Leiocassis속으로 분류되었으며, Pseudobagrus속에는 P. fulvidraco, Pseudobagrus sp., P. brevicorpus이고 Leiocassis속에는 L. nitidus와 L. ussuriensis가 해당 되었다. 또한 지금까지는 P. brevicorpus는 Pseudobagrus sp.와 가까운 관계로 알고 있었으나 그 보다는 오히려 P. fulvidraco와 더욱 가까운계통관계로 나타났다.

  • PDF

Aeromonas veronii의 실험적 감염에 의한 양식 메기, Silurus asotus의 병리학적 변화 (Pathological Changes in Cultured Korean Catfish (Silurus asotus) Artficially Infected with Aeromonas veronii)

  • 김진도;도정완;최혜승;서정수;정승희;조혜인;박명애;이남실;박성우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486-492
    • /
    • 2013
  • 최근 국내의 양식 메기에 표피 박리와 근육 괴사를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질병이 발생하였다. 그 폐사율은 낮으나 질병으로 인한 상품가치의 저하로 경제적 손실이 크다. 병어로부터 원인균을 분리하고 자연감염어와 인위감염어의 병리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원인균은 Aeromonas veronii로 동정되었으며, 원인균을 건강어에 인위감염시켜 폐사 및 증상의 발현을 매일 관찰하였다. 인위감염된 어류의 증상은 자연감염어와 유사하였으며 원인균을 감염시킨 후 7일 이내에 모두 폐사하였다. 병어의 조직표본을 제작하여 관찰한 결과, 자연감염어의 간, 비장, 신장의 울혈 및 간세포 변성과 비장 협조직의 초자적변성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심장에서 염증성 변성과 세균응집체가 관찰되었다. 소화관에서의 울혈과 점막고 유층의 섬유화 현상도 특징적이었다. 자연감염어에 비해 약한 경향이지만 인위감염어의 조직학적 변화도 관찰되었으며, 소화관에서의 조직학적 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남한강 지류에 서식하는 퉁가리(Liobagrus andersoni)의 식성 (Feeding Habits of Korean Torrent Catfish, Liobagrus andersoni in a Tributary of the Namhan River, Korea)

  • 윤희남;김종명;배양섭;채병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6-245
    • /
    • 2007
  • 남한강 지류인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봉황리 한포천에서 2005년 10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계절별로 퉁가리(L. andersoni)를 대상으로 식성을 조사 연구하였다. 주요먹이생물로는 파리목, 하루살이목, 날도래목 등의 수서곤충이었으며, 체장이 50 mm 이하인 개체들에서는 크기가 매우 작으며, 먹이생물이 풍부한 꼬마하루살이류와 깔따구류를 주로 섭식하였고, 점차 성장하면서 크기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납작하루살이류가 주요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깔따구류와 날도래류는 모든 개체들에서 고르게 섭식되었다. 계절에 따른 먹이생물의 구성은 여름과 가을에 다양하였고 겨울에 단순한 경향을 보였는데, 봄에는 하루살이류를 집중적으로 섭취하였으며, 여름과 가을에는 비교적 균등하게 먹이생물을 선택하였고, 수온이 낮은 겨울에는 이동력이 약한 날도래류와 깔따구류를 집중적으로 섭식하였다. 또한 위충만도 분석 결과 본 종은 섭식활동이 주로 일몰직후 시작되어 02~03시에 가장 활발하였으며, 일출직후부터는 점차 감소하여 낮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퉁가리는 야간에 여울역의 바위나 자갈의 표면에 서식하는 수서곤충을 주로 섭식하는 저서성 육식포식자에 속하는 어류로 판단된다.

자연산과 양식산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정소의 생식소발달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Male Gonadal Development between Wild and Cultured Yellow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 조윤정;유수향;박철우;김종욱;김재구;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30-135
    • /
    • 2020
  • 양식업에서 인기 있는 어종 중 하나인 동자개를 자연산과 양식산을 구분하여 생식소 발달을 관찰하였다. 자연산과 양식산 동자개는 2018년 4월에서 10월에 채집하여 수컷의 생식소 지수, 비만도지수 및 생식소 발달을 연구하였다. 광학현미경으로 관찰된 월별 생식소 발달과 GSI를 기반으로 생식소 발달 단계는 자연산과 실외 사육장은 4월 성숙기, 5월 산란기, 6월에서 7월 퇴화기, 8월에서 10월 휴지기로 관찰되었다. 실내 사육장은 4월에서 6월까지 성숙기, 7월에서 8월 산란기, 9월 퇴화기, 10월 휴지기로 구분되었다. GSI 값은 자연산과 실외 사육장은 5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실내 사육장은 9월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 차이를 보였다. CF는 자연산과 양식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자연산은 6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실외 사육장은 11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본 실험 결과, 실외 사육장 동자개 수컷을 인공 수정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자연산 생식주기와 같은 5월에 인공 수정을 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열대산메기, Clarias batrachus의 수조내사육시의 적정사육 수온과 월동수온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 on the Optimum Growth Temperature and Wintering Temperature of the Catfish, Clarias batrachus, in the Aquarium)

  • 조재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7-205
    • /
    • 1984
  • 열대산 메기 Clarias batrachus를 새로운 양식어종으로 만들기 위한 기초연구의 하나로 이 종의 성장적수온 및 월동을 위한 성장가능최저수온과 저수온에서의 사치가 시작되는 수온을 찾기 위해 1981년3월부터 1982년 3월까지 체중 $12{\sim}40g$사이의 1년생으로서 $14^{\circ}C$에서 $34^{\circ}C$사이의 수온에서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이 종의 약 12g에서 28g사이의 것의 성장적정수온은 약 $25^{\circ}C$로 나타났고 이 수온에서는 이보다 높거나 낮은 수온에서보다 성장과 사료섭취량, 그리고 사료효율면에서 가장 좋은 결과가 나왔다. 성장최저한계수온은 $18^{\circ}C$로 나타났으며 62일간의 실험에서 1일성장률은 약 $0.1\%$로 낮았으나 폐사는 없었고 활동도 비교적 활발하였다. 따라서 이 종의 월동가능최저수온은 $18^{\circ}C$로 사료된다. $16^{\circ}C$또는 이보다 약간 낮은 수온에서 방치하면 약 30일내에 대부분 폐사하며 $14^{\circ}C$이하에서는 $1{\sim}7$일 내에 모두 폐사하였다. 따라서 이 종에 있어서 폐사가 시작되는 수온은 $16^{\circ}C$로 사료된다. 성장가능최저수온 근처에서 장기간사육할 경우 급작스런 수온하강, 특히 $15^{\circ}C$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전체 어류에 치명적인 피해가 예상되므로 주의하지 않으면 안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의 생식년주기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Bande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 임상구;한창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23-833
    • /
    • 1997
  •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의 명확한 생식년주기를 밝히기 위하여, 본 종을 1992년 5월부터 1993년 6월까지 전라남도 영산강 상류로부터 채집하여 암수의 GSI, HSI, 비만도, 난모세포 발달 단계의 분포빈도, 그리고 생식소와 간의 조직학적인 주년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하여 생식년주기를 다음과 같은 5단계로 구분 할 수 있었다. 1) 성장기 (4월$\~$5월초): 암컷의 GSI값이 증가하고 주변인기 난모세포들이 점진적으로 성장하였으며, 수컷의 세정관 상피에서는 정원세포들이 활발히 분화되기 시작하였다. 2) 성숙기 (5월$\~$6월초): 암수 모두 GSI가 빠르게 증가하고 여러 단계의 난모세포들이 관찰되었으며, 정소 내에는 정자 형성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3) 성숙 및 산란기 (6월$\~$8월): 암컷의 GSI는 높은 값을 유지하였고, 난모세포들은 많은 양의 난황을 축적하였으며, 수컷의 세정관에는 대부분 정자로 채워져 있었다. 4) 퇴화기 (9월$\~$11월): 암수 GSI는 감소되고, 난소 내에는 대부분 주변인기 세포들로 채워져 있고, 간세포에는 지방구들이 많이 축적되었다. 5) 휴지기 (12월$\~$다음해 3월): 암수 GSI는 낮은 값을 유지하며, 난소 내의 주변인기 세포의 증가와 정자 형성은 보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