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Yam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3초

Activity Report of Young Astronomers Meeting in 2015-16 Season

  • 현민희;안성호;박진태;정하은;허정은;홍승수;이혜란;신지혜;유현주;윤형식
    • 천문학회보
    • /
    • 제41권1호
    • /
    • pp.64.2-64.2
    • /
    • 2016
  • 지난 2015년 4월, 젊은 천문학자 모임(Young Astronomers Meeting, YAM)은 봄 정기총회를 가졌고 2015-16 시즌을 위한 임원진으로 회장 현민희, 부회장 안성호, 총무 박진태가 선출되었다. 이 외에도 각 학교별 운영위원으로 경북대학교 신지혜, 경희대학교 윤형식, 서울대학교 정하은, 세종대학교 허정은, 연세대학교 홍승수, 충남대학교 유현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이혜란 회원이 활동 중이다. 현 임원진은 이번 임기 내 목표로 지금까지의 YAM 역사를 정리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YAM 역사 정리 부분에서는, 1991년 서울대학교에서 개최된 한국천문학회에서의 YAM 창단 이후의 모든 활동과 역대 임원진에 대한 서류 자료를 정리하고 홈페이지에 게시하였다. YAM 홈페이지 구축 부분에서는 지난 2015년 8월, 한국천문학회에 YAM 홈페이지 구축을 위한 제안서를 제출, 2016년 초에 학회의 승인을 받아 한국천문학회 홈페이지 서버에 YAM 홈페이지를 개설하였다. 이와 더불어 2016년 2월에 개최된 "2016 YAM & We Love Galaxies 공동 워크샵"을 통해 국내 대학원생들을 위한 워크샵을 개최하고 추후 지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이번 포스터 발표를 통해 2015-16 시즌 동안의 활동 결과 보고와 2016-17 시즌 활동 계획을 논의할 것이다.

  • PDF

마(Dioscorea japonica) 분말 첨가 프랑크푸르터 소시지의 품질과 저장 특성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frankfurter sausages with added yam (Dioscorea japonica) powder)

  • 장동현;이근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36-645
    • /
    • 2014
  • 마 분말 0.5, 1.0과 2.0%를 첨가한 프랑크푸르터 소시지를 제조하여 진공포장한 후 $10^{\circ}C$에서 6주간 저장하며 품질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마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수분, 조단백질 함량은 감소하였고, 조지방과 회분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마 첨가량 자체가 낮았던 관계로 그 차이는 미미한 편이었다. 마 첨가량 차이에 의한 수분활성도 값은 저장 3주 후 부터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H는 저장 후기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BA 값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 하였는데 마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천천히 증가하였다. VBN 값은 저장기간이 연장될수록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마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더 크게 증가하였다. 마 첨가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L^*$ 값과 $a^*$ 값은 감소하고, $b^*$ 값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기계적 경도 측정치는 마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관능학적 품질 평가에 따르면 T3는 3주, 그리고 C, T1, T2는 4주까지 상품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적으로 마 분말은 1.0%까지 프랑크푸르터 소시지에 첨가하여도 물리화학적 품질 및 저장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Dioscorea batatas DECAISNE)전분의 Rheology 및 열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Rheological and Phermal Properties of Dioiscorea batatas DECAISNE Starch)

  • 최일숙;이임선;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7-63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he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yam starch. Yam starch had a hydrodynamic volume with the intrinsic viscosity,[$\eta$], of 0.29dl/g deionized water. The values of the intrinsic viscosity of yam starch, determined to pH 2-11, varied between 0.07 to 0.18 dl/g. The highest intrinsic viscosity was obtained at pH 7. At salt concentrations 0-0.2 M NaCl, the intrinsic viscosity of yam starch was decreased up to 0.05 M NaCl concentration then increased to 0.07 M NaCl concentration and remained constant to reach 0.2 M NaCl concentration. The overlap parameter, calculated with the intrinsic vicosity data, was 3.45 g/dl in deionized water. The thermal properties of yam starch were investigat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ree endotherms were observed both pH solution and salt concentation. In the presence of pH 9, the onset temperature of gelatinization peak was the lowest temperature of 50.$32^{\circ}C$ and the enthalpy ($\Delta$H) was increased in this solution. The effect of salt on the thermal properties of yam starch was determined at salt concetration of 0-0.2 M NaCl. The enthalpy significantly decreased to salt concentration 0.07 M NaCl and the lowest onset temperature of this concentration was 52.$90^{\circ}C$.

  • PD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Yam (Dioscorea batatas Decne.) on Azoxymethane-induced Colonic Aberrant Crypt Foci in F344 Rats

  • Son, In Suk;Lee, Jeong Soon;Lee, Ju Yeon;Kwon, Chong Su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2호
    • /
    • pp.82-88
    • /
    • 2014
  • Yam (Dioscorea batatas Decne.) has long been used as a health food and oriental folk medicine because of its nutritional fortification, tonic, anti-diarrheal, anti-inflammatory, antitussive, and expectorant effect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hich are known to be implicated in a range of diseases, may be important progenitors of carcinogene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ulatory effect of yam on antioxidant status and inflammatory conditions during azoxymethane (AOM)-induced colon carcinogenesis in male F344 rats. We measured the formation of aberrant crypt foci (ACF), hemolysat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colonic mucosal antioxidant enzyme gene expression, and colonic mucosal inflammatory mediator gene expression. The feeding of yam prior to carcinogenesis significantly inhibited AOM-induced colonic ACF formation. In yam-administered rats, erythrocyte levels of glutathione, glutathione peroxidase (GPx), and catalase were increased and colonic mucosal gene expression of Cu/Zn-superoxide dismutase (SOD), Mn-SOD, and GPx were up-regulated compared to the AOM group. Colonic mucosal gene express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e., nuclear factor kappaB,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tumor necrosis factor alpha, and interleukin-1beta) was suppressed by the yam-supplemented di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yam could be very useful for the prevention of colon cancer, as they enhance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 and modulate inflammatory mediators.

아미노 결합 정지상 HPLC 컬럼을 이용한 마 껍질의 allantoin 함량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Allantoin in Dioscorea japonica Peel Using an Amino Bonded-Phase HPLC Column)

  • 이미정;김자민;김훈성;한동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47-352
    • /
    • 2021
  • 마에는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식용 및 약용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allantoin은 대표적인 마의 2차 대사산물로서 의약품 및 기능성 화장품 제조에도 활용되는 고부가가치 산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미노 결합 정지상 HPLC 컬럼을 이용하여 마의 속과 껍질의 allantoin 함량을 분석하였다. Allantoin 표준용액의 검량선의 결정계수(R2)값은 0.9999로 높은 직진성을 보였으며,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각각 0.0229 mg/mL 및 0.0694 mg/mL로 설정되었다. 마 속과 껍질의 건조중량 기준 allantoin 함량은 각각 3.09±0.02 mg/g, 3.91±0.11 mg/g으로 속보다 껍질에 더 많은 allantoin이 함유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농업부산물인 마껍질이 새로운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클로버 오일을 이용한 생마 저온부패균의 제어 및 기능성 생마 신선편이의 제조 (Control of Yam-Putrefactive Psychrotrophic Bacterium Using Clove Oil and Preparation of Functional Fresh-Cut)

  • 류희영;박상조;이봉호;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6-72
    • /
    • 2007
  • 생마의 저장성 및 접근성 강화에 따른 소비증대 및 유통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생마 저온부패균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천연물을 선별하였다. 저온$(4^{\circ}C)$ 및 상온$(30^{\circ}C)$ 부패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Pseudomonas rhodesiae YAM-12 에 대해 다양한 자생 및 약용식물 추출물 800여종의 항균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클로버 오일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생마 신선편이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건전생마 신선편이에 1%클로버 오일을 3분간 침지하여, $4^{\circ}C$에서 31일간 저장한 경우, 색차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미생물의 증식 또한 완전히 억제되었다. 한편 P. rhodesiae YAM-12를 인위적으로 오염시키고(초기농도 $10^3$ CFU/g), $4^{\circ}C$에서 14일간 저장한 경우에도, 1%클로버 오일의 처리는 색차 변화를 최소화하며, 미생물증식을 $10^4$ CFU/g로 억제하였다. 반면 무처리, 멸균수 및 NaOCl 처리의 경우에는 심각한 부패와 함께 색차변화로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클로버 오일의 항균, 항산화, 항혈전 활성과 향신료로 사용되어온 점을 고려할 때, 클로버 오일을 처리한 생마 신선편이는 별도의 화학 방부제 처리 없이 생마의 유통안전성 향상 및 부패억제, 기능성 및 향미부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열대마 영여자 추출물의 항응고 및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Anti-coagulation and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 of Aerial Bulbils of Dioscorea alata L.)

  • 전수경;최소영;임경란;이종필;박준홍;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53-159
    • /
    • 2024
  • 열대마로 알려진 Dioscorea alata L.는 전 세계 650여종의 마 중에서도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으며, 적도, 아적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재배하고 있다. 실제 중국과 인도에서는 주요 식용자원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기존의 단마 및 장마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확량을 나타내는 열대마 재배가 증가하고 있으며, 열대마에 높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열대마의 주아(영여자)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단마 및 열대마 영여자의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여, 단마 영여자와 비교하여 열대마 영여자의 영양특성 및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열대마 영여자는 특유의 황색과 함께 영양적으로 우수하며, 단마 영여자와는 달리, 열대마 영여자 추출물은 1.25 mg/ml 농도에서 아스피린보다 우수한 트롬빈, 프로트롬빈 및 혈액응고인자 저해를 나타내어 강력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도 우수하였다. 또한 열대마 영여자 추출물은 2.5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도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열대마 영여자가 새로운 항혈전 소재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Effect of mucilage from yam on activation of lymphocytic immune cells

  • Jang, Cheol-Min;Kweon, Dae-Hyuk;Lee, Jong-Hw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권2호
    • /
    • pp.94-99
    • /
    • 2007
  • The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of mucilage fraction from yam were investigated. The proliferation of BSA-primed lymph node cells was enhanced between 4.1- to 10.9-fold compare to control, when cultured with 1 to $25{\mu}g/mL$ of yam-mucilage fraction. It showed strong immunostimulating activity than ginseng extract and as remarkable as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M101-4 known as a positive immunostimulator. Mitogenicity to lymph node cells was fully induced by concanavalin A and lipopolysaccharide. The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and Peyer's patch cells was enhanced between 5.0- to 14.1-fold and 2.4- to 6.4-fold, respectively, when cultured with 1 to $25{\mu}g/mL$ of yam-mucilage fraction. It enhanced the production of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L-6 in the culture of RAW 264.7 macrophage cells. In the culture of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production of cytokines was as similar as compared to controls. In unstimulated RAW 264.7 cells, both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L-6 production were enhanced between 15.6- to 60.1-fold and 2.3- to 9.1-fold, respectively. Mucilage fraction from yam is expected to be a safe immunopotentiator to maintain the host immunity and develop a physiologically functional food.

2-AF와 MNNG에 대한 마 식이섬유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 of Dietary Fiber from Yam (Dioscorea batatas D$_{ECNE}$) Against 2-AF and MNNG)

  • 신남희;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33-338
    • /
    • 1998
  • 산마의 총 식이섬유가 2-AF와 MNNG에 대해서는 각각12.4%와 18.7%의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재배마는 33.2%와 49.1%의 억제효과를 보여 재배마의 $\alpha$-cellulose는 각각 0.5%, 1.0%농도에서 70.0%와 76.9%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MNNG에 대해서는 모든 농도에서 90% 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Pectin의 2-AF에 대한 억제효과는 산마의 경우 0.1% 농도일 때 42.5%로 가장 높았고, 재배마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MNNG에 대해서는 산마 1.0%와 재배마 0.7% 농도일 때 각각 51.8% 와 31.0%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반응 시간에 따른 억제 효과는 2-AF에 대해 산마, 재배마 및 표품의 $\alpha$-cellulose (0.5%)는 3시간일 때, MNNG에 대해서는 6시간일 때 최고의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산마, 재배마 및 표품의 pectin(1.0%)의 2-AF에 대해 반응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억제 효과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으며 MNNG에 대해 1시간 30분일 때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산마와 재배마에서 추출한 $\alpha$-cellulose와 pectin은 2-AF에 의해 유발되는 돌연변이원성에 비해 MNNG에 의해 유발되는 돌연변이원성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 PDF

Effect of Flooding and Soil Salinity on the Growth of Yam (Dioscorea batatas) Transplanted by Seedling of Aerial Bulblet in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 Sohn, Yong-Man;Song, Jae-Do;Jeon, Geon-Yeong;Kim, Doo-Hwan;Park, Moo-E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14
    • /
    • 2011
  • The effect of flooding and soil salinity on the growth of yam (Dioscorea batatas) were studied on the experimantal site temporally establish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near Gwanghwal myun, Gimjae-gun, Jellabukdo, Korea). Yam seedlings planted by using aerial bulblet as alternative of sliced tubers, were grown for 20-days and transplanted in black-vinyl mulched ridges (about 20 cm in height) at 70cm interval by $20{\times}60cm$ spacing in the $4^{th}$ of May, 2010. Soil salinity was maintained at lower than 1.2 ds $m^{-1}$ during the growing period and did not result to salt injury in all plants. However, flooding injury very seriously led to plant death and plant mortality rates at $67{\pm}21$ and $82{\pm}9%$ of yam plants in the compost and no compost treatment, respectively, died by heavy flooding during the rainy summer season. The main reasons of the flooding injury included the decreased rainfall acceptable capacity (RAC) after the rising of water table and a slowdown of water infiltration rate after the formation of an impermeable soil crust in the furrow bottom with continuous and heavy downpour during the rainy summer season. The effect of compost treatment was not statistically observed because of the severe spatial difference caused by wet injury, although yam tuber yield was higher at 30 kg $10^{-1}$ in the compost treatment than in the no-compost treatment at 20 kg $10^{-1}$. However, the size of tuber ranged at 1.23 to 1.60 cm in diameter and 3.7 to 5.0 cm in length in all both treatment, which means they are still reproducible for the next cropping season. Conclusively, proper counter-flooding measure and soil salinity control critically important for successful yam production in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