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mutagenic Effect of Dietary Fiber from Yam (Dioscorea batatas D$_{ECNE}$) Against 2-AF and MNNG

2-AF와 MNNG에 대한 마 식이섬유의 항돌연변이 효과

  • 신남희 (경희대학교 가정대학 식품영양학과) ;
  • 구성자 (경희대학교 가정대학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8.11.01

Abstract

On the mutagenicity induced by 2-aminofluorene (2-AF) with S9 mix and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without S9 mix, the antimutagenic effects of dietary fiber (total dietary fiber, u-cellulose and pectin) from Yam were examined by the Ames assay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Total dietary fiber, $\alpha$-cellulose ind pectin from natural and cultural Yam didn't have mutagenicity. Most of sample dietary fiber showed the antimutagenicity. Total dietary fiber from cultural Yam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from natural Yam on mutagenicity induced by 2-AF and MNNG. $\alpha$-cellulose from cultural Yam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from natural Yam on mutagenicity caused by 2-AF and MNNG. Pectin from natural and cultural Yam had antimutagenic effect on mutagenicity induced by MNNG. In this study, antimutagenicity on MNNG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n 2-AF. Antimutagenic effect of Samples had influence on incubation time. $\alpha$-cellulose and pectin from natural and cultural Yam showed stronger antimutagenic effect than standard $\alpha$-cellulose and standard pectin, respectively, on mutagenicity induced by 2-AF and MNNG.

산마의 총 식이섬유가 2-AF와 MNNG에 대해서는 각각12.4%와 18.7%의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재배마는 33.2%와 49.1%의 억제효과를 보여 재배마의 $\alpha$-cellulose는 각각 0.5%, 1.0%농도에서 70.0%와 76.9%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MNNG에 대해서는 모든 농도에서 90% 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Pectin의 2-AF에 대한 억제효과는 산마의 경우 0.1% 농도일 때 42.5%로 가장 높았고, 재배마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MNNG에 대해서는 산마 1.0%와 재배마 0.7% 농도일 때 각각 51.8% 와 31.0%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반응 시간에 따른 억제 효과는 2-AF에 대해 산마, 재배마 및 표품의 $\alpha$-cellulose (0.5%)는 3시간일 때, MNNG에 대해서는 6시간일 때 최고의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산마, 재배마 및 표품의 pectin(1.0%)의 2-AF에 대해 반응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억제 효과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으며 MNNG에 대해 1시간 30분일 때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산마와 재배마에서 추출한 $\alpha$-cellulose와 pectin은 2-AF에 의해 유발되는 돌연변이원성에 비해 MNNG에 의해 유발되는 돌연변이원성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