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War

검색결과 1,449건 처리시간 0.029초

The Project of about Distinguishing of Modern Clothing after 21c Iraq War

  • Yang, Bo-La;Lim, Young-Ja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Costume Conference
    • /
    • pp.52-52
    • /
    • 2003
  • As clothing, fashion is changed by life circumstance, reform of social custom, condition of economy, inner or outside every accident and complicately psychologic a main cause work. But definite and great accident like revolution or War is originated. The War effect in clothing, eating, housing life, specially social culture affect social culture have an affect.

  • PDF

A note for a classroom activity - Predicting German Tank Production during World War II

  • Kim G.-Daniel;Kim Sung-Soo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0권3호
    • /
    • pp.229-238
    • /
    • 2006
  • During World War II there was a statistical analysis conducted by the Allied analysts to estimate the German war productions, including their tank productions. This article revisits the analysis of the tank productions as a classroom activity format. Various reformed ideas are proposed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perspectives of the point estimation. Comprehensive simulation works and actual classroom discussions will be provided along wit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s.

  • PDF

6·25전쟁 당시 사용된 가죽가방의 보존처리와 구조적 특징 (Conservation Treatment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Leather Briefcase Used during the Korean War)

  • 강현삼;장한울;이현주;구지혜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7권
    • /
    • pp.57-6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6·25전쟁 당시 유엔군으로 활동하였던 참전용사의 서류가방을 보존처리하고 주요 구성 재질인 가죽에 대해 동물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관련 연구 성과를 낸 국립고궁박물관 연구진과 함께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보존처리 계획을 수립하였다. 가죽의 표면 특징을 분석한 결과, 많은 모공이 관찰되고 패턴이 일정하지 않으며 크기가 작고 밀도가 높아 송아지 가죽으로 추정하였다. 가방은 가죽과 함께 목재로 구성되어 있다. 오랜 기간 열화로 인해 목재와 가죽이 틀어져 있어 구조적 안정을 위한 보존처리가 필요하였다. 우선 내·외부에 고착된 오염물을 제거하였다. 가죽이 경화되어 딱딱해진 상태였기 때문에 연화를 위한 가습 과정을 거치고 아교를 사용하여 접합이 필요한 부분들을 보수하였다. 이번 보존처리 및 가죽 분석 결과가 향후 가죽 유물 및 전쟁·군사 유물 연구를 위한 기초조사에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curity System for War game Simulation System

  • Song Jong Seok;Li Chu Yu;Jin Long;Ryu Keun H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712-715
    • /
    • 2004
  • War game Simulation System is a simulation system of military operation. In order to ensure all of the data that are running are secure, this system has to emphasize the security policy.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unning environment and the weakness of the security about exiting system. For improving the weakness, we design and implement this security system that is consisted of three components: Authentication System, Encryption System and Network Security System. Therefore, we can apply War game Simulation System to security system and improve the secure performance of this one.

  • PDF

호주군 여성인력의 활용과 우리군에 주는 시사점 (A Study on the case of Application of Women's Personnel in the Australian Defence Force)

  • 김인찬;김종훈;심준학;이강희;조상근;박상혁;홍명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269-273
    • /
    • 2023
  • 호주군은 1899년 제2차 보어전쟁에 참전한 이후, 제1·2차 세계대전, 6·25전쟁, 베트남 전쟁 등에 참전하였다. 호주군은 전쟁의 장기화로 나타난 군인의 사회적 인지도 하락과 지속적인 병력 부족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여성인력의 지위와 역할을 지속 확장하였다. 제2차 보어전쟁 간 의료지원으로 시작한 여성인력의 역할은 제2차 세계대전 시기 통신, 정비, 운전, 비밀문서 관리, 레이더 감시 등 전투 지원 임무로 확대되었다. 베트남 전쟁 이후 각 군 참모총장은 여성의 군 참여 확대를 위한 위원회를 설치하고 여성이 아닌 군인으로 인정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전쟁과 평화유지 활동에서 여성인력의 활약은 2014년, 특수부대를 포함한 모든 전투 직위가 여성에게 개방되는 계기가 되었고, 각 군은 2030년까지 여성 비율을 증가하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최근 지속되는 저출산문제로 인구절벽과 병력 가용자원 부족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바 본 연구를 통해 호주군의 여성인력 활용의 역사와 현재의 모습을 통해 우리 군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위협적 메시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 최근 한반도 정세 관련 보도의 Q방법론적 분석 - (Type of Subjective Perception on the Fear Message - Q-methodological analysis on the latest Report of Korean Peninsula Situation -)

  • 이순모
    • 정보화연구
    • /
    • 제10권2호
    • /
    • pp.223-236
    • /
    • 2013
  • 최근 한반도 정세와 관련하여 북한의 전쟁위협으로 긴장이 고조되고 심각한 위기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북한의 전쟁위협에 대해 남한의 주민들(수용자)이 느끼는 주관적 인식에 대해 Q방법론적 분석틀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전쟁위협에 대해 남한 주민들의 인식 유형은 '무반응형', '공포 반응형', '심리적 불안형', '냉소적 무시형' 등 네 가지로 분석되고 있다. 먼저, 제1유형인 무반응형은 북한의 전쟁위협 자체에 큰 공감을 하지 못하는 유형이며, 제2유형인 공포 반응형은 '혹시 이러다 무슨 일이 생기는 것 아닌가'하는 불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고, 북한의 전쟁위협에 대해 위기감을 느끼는 유형이다. 제3유형인 심리적 불안형은 북한의 전쟁위협으로 인해서 남북관계가 위기라고 느끼고 있는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제4유형인 냉소적 무시형은 북한의 위협이 허풍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북한이 양치기 소년 같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분류되고 있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Q방법론을 적용한 것은 연구참가자의 위협적 메시지에 대해 주관적 인식과 위협이라는 심리적 의미에 보다 심층적인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A Study on the Substantial impact of US high rate tariff policy on the Korean companies -Based on analysis of Article 301 of the US Trade Law -

  • Nam, Seon M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63-68
    • /
    • 2019
  • Recently, the United States and China have declared a 25% retaliatory tariff for the partner country products of 50 billion dollar scale. "Trade war" is getting full swing. Such conflicts between economic powers may spread to Japan like the domino phenomenon following the EU (European Union) and become bigger in the global trade war. As a result, Korea has an economic system with a high degree of external dependence, and there is an expert's analysis that it will become the largest victim of the global trade war. If the WTO Dispute Settlement Authority approves this US 301 retaliation measure in the same way as the past case (US-EU hormone-treated beef imports), the United States will not import any Chinese imported products Chinese products) can be imposed. If the US launches a special 301 or super 301, which is stronger than the regular 301, then China is very likely to enforce US retaliation against it, and the trade war between the two countries could become a reality. This phenomenon is likely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Korean companies. In particular, Korea, which is highly reliant on intermediate goods exports to China, is expected to suffer a great deal of damage. Therefore, Korea needs flexible response at home and abroad,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autonomy of companies and protect export industries. Adjusting corporate tax rate as well as domestic industry height will be one way. The long-term (21 months) trade war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has resulted in economic uncertainty. The resulting damage must be compensat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compensation through the economic council between countries. In the future, the punitive damage compensa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네트워크 전쟁의 도래와 테러리즘의 새로운 흐름 - 국가대응전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National Strategy For Countering the New Terrorism As Network War)

  • 안희남;장기붕
    • 시큐리티연구
    • /
    • 제16호
    • /
    • pp.137-159
    • /
    • 2008
  • 21세기 정보혁명은 인류가 전혀 예견치 못한 새로운 형태의 갈등을 낳고 있다. 스와밍(Swarming)과 같은 전술적 네트워크전쟁을 행하게 되었다. 네트워크 전쟁은 환경감시, 반독재투쟁 등 좋은 의미의 행태와 테러리즘과 같은 폭력적 형태를 동시에 포함한다. 오늘날 테러리즘은 형제적 혹은 이념적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자행되는 것이 일반화 되어가고 있다. 그것은 네트워크 전쟁의 형태로 나타난 뉴테러리즘이다. 최근 알카에다를 포함한 테러조직은 형제적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그들이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맞춰 테러리즘을 자행한다. 뉴테러리즘은 불특정 다수에게 많은 희생을 강요하는 새로운 형태의 테러리즘이다. 실제 많은 국가가 이것의 피해를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이것에 대처하는 방안 마련이 각국의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대응방안으로 미시적 거시적 관점에서 방어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비상대피시설의 거주 공간 활용을 위한 제도 개선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System Improvement for the Utilization of Residential Spaces of the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in Responding to War)

  • 김유진;황은경;함은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78-86
    • /
    • 2013
  • 몇 년전 발생 한 천안함 피격 및 연평도 포격사건부터 최근 북한의 핵실험까지 남북한 전쟁에 대한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쟁이 발발하였을 경우 국민들이 일정기간 동안 안전하게 거주할 수 있는 임시거주 공간 확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소방방재청의 재해구호계획 수립지침에서는 자연재해에 대비한 임시거주 공간에 대한 기준은 있으나, 전쟁에 대응한 임시거주 공간에 대한 기준은 없는 상황이다. 특히, 대규모 이재민을 수용할 수 있는 지하 임시거주 공간에 대한 기준 마련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쟁 이재민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도 분석 및 재해 관련 법령 간 비교 분석을 통해 전쟁 대응 임시거주 시설 활용을 위한 관현 제도 개선 방향에 대해 설정하고자 한다.

On the Likelihood of Peace and War on the Korean Peninsula: A Causal Loop Analysis

  • 김강훈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0권4호
    • /
    • pp.5-25
    • /
    • 2009
  • Since the end of the 1950-1953 Korean War, many scholars and policymakers have expressed concern about the possibility of another conflict on the peninsula. In certain respects, the post-1953 North-South Korea relationship resembles the Cold War that existed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1945-1990. Although a "hot" never occurred, peace was never guaranteed. By looking at international theories (i.e., realism and liberal theory) and by utilizing casual-loop diagram analysi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on the likelihood of peace and war on the Korean peninsula. First, several factors (e.g., economic stagnation of North Korea, unstable political systems, and so on) emphasized by realism perspectiv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ikelihood of conflic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onversely, several determinants (e.g., economic assistance to North Korea, inter-dialogue between two Koreas, cultural and social exchange, and so on) emphasized by liberal approach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likelihood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Given the two different interpretations about the likelihood of conflict or peace, it can be argued that a second military action might occur on the Korean peninsula if realism theories are true. However, if practical factors exist on the Korean peninsula, the two Korean can optimistically expect a peaceful reunification in the future, without interference from other countr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