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ervation Treatment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Leather Briefcase Used during the Korean War

6·25전쟁 당시 사용된 가죽가방의 보존처리와 구조적 특징

  • 강현삼 (전쟁기념관 전시유물부) ;
  • 장한울 (전쟁기념관 전시유물부) ;
  • 이현주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
  • 구지혜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
  • Received : 2022.03.28
  • Accepted : 2022.04.25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conservation treatment of a briefcase used by a soldier who fought in the Korean War as a member of the United Nations Forces. The zooid characteristics of its main material, leather, were analyzed in collaboration with the researchers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who have conducted relevant research. A plan for conservation treatment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briefcase was made of leather with a wooden frame. The many densely arranged tiny pores in different patterns on the leather's surface suggests calf leather. The wooden frame and leather had suffered deformation over long years of deterioration and thus required conservation treatment to enhance their structural stability. The conservation treatment began with the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the exterior and interior of the briefcase. The stiffened leather was softened through humidification, and torn or separated areas were restored using cowhide glu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conservation treatment and analysis of the leather material will serve as useful sources for basic research on leather items as well as wartime and military items.

본 연구에서는 6·25전쟁 당시 유엔군으로 활동하였던 참전용사의 서류가방을 보존처리하고 주요 구성 재질인 가죽에 대해 동물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관련 연구 성과를 낸 국립고궁박물관 연구진과 함께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보존처리 계획을 수립하였다. 가죽의 표면 특징을 분석한 결과, 많은 모공이 관찰되고 패턴이 일정하지 않으며 크기가 작고 밀도가 높아 송아지 가죽으로 추정하였다. 가방은 가죽과 함께 목재로 구성되어 있다. 오랜 기간 열화로 인해 목재와 가죽이 틀어져 있어 구조적 안정을 위한 보존처리가 필요하였다. 우선 내·외부에 고착된 오염물을 제거하였다. 가죽이 경화되어 딱딱해진 상태였기 때문에 연화를 위한 가습 과정을 거치고 아교를 사용하여 접합이 필요한 부분들을 보수하였다. 이번 보존처리 및 가죽 분석 결과가 향후 가죽 유물 및 전쟁·군사 유물 연구를 위한 기초조사에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군사편찬연구소, 통계로 본 6.25 전쟁, p384, (2014).
  2. 김성칠, 역사 앞에서, 창작과 비평사, 파주, p280, (2009).
  3. 국립고궁박물관, 가죽문화재 식별 분석 공동연구서, p14, (2020).
  4. 김수철, 최재완, 이지은, 근.현대문화재 인력거 재질 분석연구, 보존과학회지 32, p33-42, (2016). https://doi.org/10.12654/JCS.2016.32.1.04
  5. 김수철, 박정혜, 장한울, 최재완, 안주영, 근.현대문화재 인력거 보존처리, 보존과학회지 32, p203-213, (2016). https://doi.org/10.12654/JCS.2016.32.2.09
  6. 강대일, 박혜진, 보존환경에 의한 피혁유물의 손상 연구 : 자외선과 수분에 의한 영향을 중심으로, 보존과학회지 27, p.155-162, (2011).
  7. 조하늬, 남도현, 김미현, 이재성, 비무장지대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발굴 수습 철제 총기류의 보존처리와 탈염처리 방법 고찰, 보존과학회지 37, p821-830, (2021).